[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전국언론노동조합이 TBS 서울시 출연기관 해제와 관련해 “TBS 폐국 위기의 주범은 오세훈 서울시와 서울시의회”라며 “인간의 양심이라는 게 있으면 지금이라도 TBS 구성원들과 시민들에게 석고대죄하라”고 요구했다.

언론노조는 “언론노동자와 시민들은 생존의 위기에 놓인 TBS를 머지않은 미래에 권력의 간섭과 치졸한 재정 탄압으로부터 자유롭고 믿음직한 방송으로 다시 세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2022년 10월 서울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TBS 관련 질의에 답변하는 모습 (국회사진기자단=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2022년 10월 서울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TBS 관련 질의에 답변하는 모습 (국회사진기자단=연합뉴스)

11일 TBS의 서울시 출연기관 지위가 해제됐다. 지난 2022년 11월 서울시의회가 TBS 지원 폐지 조례안을 통과시킨 지 2년 만이다. 서울시와 서울시의회는 TBS 출연기관 해제를 별렀다. 

언론노조는 “TBS는 더 이상 방송을 제작할 수 없는 불능상태가 됐고, 구성원들의 임금체불과 집단 실직 위기가 현실화하고 있다”며 “유일무이한 지역 공영방송사이자 시민의 자산이었던 TBS는 서울시 권력의 폭정 속에 폐국과 민영화의 갈림길에 서게 된 것”이라고 비판했다.

언론노조는 “‘김어준 방송의 불공정성’에 대한 책임을 묻는다며 프로그램 하나를 핑계 삼아 방송국을 통째로 날리겠다는 극안무도한 짓을 벌인 결과 수백 명의 선량한 노동자와 그 가족들은 하루아침에 생존권을 위협당하는 처지로 내몰렸다"면서 "30년 역사의 지역 공영방송은 흔적 없이 사라질 상황”이라고 말했다.

언론노조는 오세훈 서울시장에 대해 “사실상 아무런 노력도 하지 않음으로써 공영방송의 폐국과 TBS 노동자들의 생존권 위기를 적극적으로 방조했다”며 “과거 무상급식에 반대한다며 학생들 밥그릇을 엎고 시장직에서 물러났던 오세훈은 십수 년이 지난 오늘 수백 명 방송노동자들의 밥그릇을 다시 엎어 버렸다. 과연 오세훈다운 행보”라고 꼬집었다. 

지난 4월 22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시의회 본관 앞에서 TBS 노동조합, 전국언론노동조합 TBS 지부 노조원 등이 TBS 폐지 조례안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팻말을 들고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 4월 22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시의회 본관 앞에서 TBS 노동조합, 전국언론노동조합 TBS 지부 노조원 등이 TBS 폐지 조례안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팻말을 들고있다 (사진=연합뉴스)

언론노조는 “폐국 위기에 내몰린 조직을 살리기 위해 분골쇄신해도 모자랄 TBS의 책임자들은 수수방관으로 일관하며 오세훈 시장과 국민의힘의 정치적 이해만을 대변하다 조직을 파탄냈다”며 “박노황 이사장과 서울시 추천 이사들은 지원조례 폐지와 출연 출자 기관 지위가 해제된 이상 더 이상 TBS에 남아 있을 아무런 이유도 없다"고 잘라 말했다. 

언론노조는 “그 어떤 방송보다도 시민의 목소리를 듣고, 시민이 참여하는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데 진심이었던 TBS를 다시 서울시민의 품으로 돌려보낼 것"이라며 "우리는 오늘날 생존의 위기에 놓인 TBS를, 머지않은 미래에 권력의 간섭과 치졸한 재정 탄압으로부터 자유롭고 믿음직한 방송으로 다시 세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