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이성구 TBS 대표 직무대행이 경영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 실본부장의 불참을 지시해 끝내 회의가 파행됐다.

TBS 양대노조는 이 직무대행을 '무자격자'로 판단, 임명권자인 오세훈 서울시장에게 '차선책'을 요구했다. 앞서 오 시장은 TBS 민영화가 실패할 경우 '차선책'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성구 TBS 대표이사 직무대행 (사진=TBS)
이성구 TBS 대표이사 직무대행 (사진=TBS)

11일 TBS 노동조합과 전국언론노동조합 TBS지부는 공동성명을 내어 오 시장의 인사참사로 TBS가 좌초 위기에 놓였다고 밝혔다. TBS 양대노조는 10일 예정된 7차 단체교섭, 8차 노사비대위가 이 직무대행의 실본부장 불참 지시로 결렬됐다고 전했다. 노사비대위에는 강양구 경영전략본부장 1명만 사측 교섭위원으로 참석했다. TBS 사측은 다른 실본부장들이 노사비대위에 불참한 이유에 대해 '업무가 너무 바빠서'라고 답했다고 한다. 

TBS 양대노조는 "지난 8일 전체 간부회의에서 이 직무대행의 실본부장 불참 지시가 있었음을 최종 확인했다"며 "앞서 사측은 교섭 참여 위원 제한, 노측 노무사 교섭위원 배제 등 자주적 노조 활동을 방해하는 황당한 요구를 안건으로 올리기도 했다"고 전했다. 

TBS 양대노조는 이 직무대행이 아직 조직도 꾸려지지 않은 '재구조화 추진단'의 TF팀장 지명자를 노사협의회 자리에 배석시키려 했다는 점에 주목했다. TBS 사측이 구조조정을 밀어붙이려 한다는 얘기다. 앞서 TBS 사측은 노조의 반발에 구조조정 계획을 철회한 바 있다. 

TBS 양대노조는 "'재구조화'는 그 이름부터가 구조조정의 의미를 띠고 있으며 실제 노조가 입수한 '재구조화 추진단 구성 방안'에 따르면 '영상사업 부분 자회사 설립에 관한 사항'이 담겨 있다"면서 "이는 영상제작 인력 재편과 구조조정으로 읽힐 수 있는 대목이라 논란이 예상된다"고 했다.

TBS 양대노조는 "노조는 TBS의 회생을 위해 살을 도려내는 심정으로 사측의 불합리한 비용 절감 방안을 적극적으로 협조해왔다"며 "전가의 보도처럼 사측이 주장하는 경영위기 극복을 위한 구조조정은 법적 절차가 매우 까다로우며, 공정하고 명확한 근거 규정과 투명한 절차에 의해 진행되어야 함에도 직무대행의 사적 감정이 내포된 인적 청산으로 가고 있다는 우려가 구성원 사이에서 팽배하다"고 했다. 

오세훈 서울시장 (사진=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 (사진=연합뉴스)

TBS 양대노조는 이 직무대행의 즉각적인 사퇴와 오세훈 서울시장의 사태 수습을 촉구했다. TBS 양대노조는 "더 이상 이 직무대행에 답을 요구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제 우리는 TBS를 방치하고 문제의 인물을 대표에 앉힌 최종 인사권자인 오 시장에게 답을 요구할 것"이라고 했다. 

TBS 양대노조는 "TBS 폐지조례 실효를 딱 한 달 앞둔 시점에 서울시 책임 면피를 위해 꽂은 직무대행의 실체는 방송의 공공성에 대한 무지를 넘어 사유화하려는 위험천만한 인물"이라며 "언론의 자유, 편성과 제작 자율성을 자신만의 아집으로 재해석해 그가 현재 벌이고 있는 모든 일이 대권주자인 오 시장에게 곧 흉기가 될 것"이라고 했다. (관련기사▶서울시, TBS '폐국' 몰아넣고 '헤어질 결심')

TBS 양대노조는 "오 시장은 하루빨리 문제의 인물은 걷어가고, TBS 구성원의 생계를 챙기겠다는 약속과 오 시장이 밝힌 차선책이 무엇인지 밝혀주기를 바란다"고 했다. 

오 시장은 지난달 12일 서울시의회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TBS는 자체적으로 자구책을 마련해 나름대로 방안을 찾고 있는 과정"이라며 "뜻대로 안 되거나 불가능할 때를 대비한 차선책도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다만 오 시장은 '차선책'의 내용에 관해 "아직까지 밝힐 단계는 아니다"라며 자구책 마련이 우선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