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학계에서 “박정희, 전두환, 이명박 정권을 넘어서 윤석열 정권이 공영방송 자체를 소멸시키려 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한국언론정보학회는 9일 성명을 내어 “한국 공영방송 시스템이 절체절명의 위기를 맞고 있다”며 “공영방송 장악을 위해 감사원과 검찰 등 권력기관이 앞장선 데 이어 방송통신위원회가 그 뒤를 잇고 있다. 지금의 방송통신위원회는 독립성과 공정성이 심각하게 훼손된 채 파행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언론정보학회는 정부·여당 추천 위원 중심의 방통위가 ▲수신료 분리징수 시행령 개정 ▲공영방송 이사 해임 등을 정당성과 당위성 없이 독단적으로 밀어붙이고 있다면서 “정부·여당 추천의 이사들로 공영방송 이사회를 재편하고 나아가 사장까지 바꾸어 공영방송을 장악하겠다는 시도가 자행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이동관 방통위원장 지명과 관련해 언론정보학회는 “이명박 정권에서 언론장악에 관여했다고 비판받는 대표적 인물로 방송통신 관련 경험도 없기에 전문성도 의심된다”고 지적했다. 언론정보학회는 “여권 인사조차 ‘정권의 나팔수, 하수인이 되는 방송을 만들고 총선을 치르겠다’는 것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며 “후보로 지명되자마자 ‘공산당 언론’을 들먹이는 그의 사고체계는 이를 반영한다. 이러한 인물이 조화와 균형을 통해 방송통신 정책을 이끌어가야 하는 부처의 장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언론정보학회는 ‘TBS 지원조례 폐지’ ‘수신료 분리징수 시행령 개정’ ‘YTN 사영화 추진’ ‘여당의 KBS 2TV, MBC 사영화 거론’ 등을 언급하며 “박정희 정권이 군사 쿠데타로, 전두환 정권은 언론통폐합을 통해, 그리고 이명박 정권은 검찰과 감사원을 통해 방송과 언론을 장악하더니 윤석열 정권은 이보다 더 나아가 공영방송 자체를 소멸시키려 하고 있다. 언론자유와 방송 공공성, 공영방송 제도의 가치라는 것은 자신들의 정치적·경제적 권력 독점에 방해만 될 뿐이라는 인식을 드러낸 것”이라고 지탄했다.
언론정보학회는 “언론·미디어 학자들은 공영방송 시스템을 훼손하고 방송 공공성과 민주주의 가치와 이념을 폐기시키려는 정치권력의 독단에 깊은 우려를 표명한다”며 “공영방송은 법과 제도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에서 방송 공공성을 보호하기 위한 시민의 권리이다. 권력의 힘에 의해 강압적으로 전개되는 방송 공공성 훼손과 공영방송 무력화 시도들은 반헌법적인 쿠데타와 다르지 않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언론정보학회는 “언론·미디어 학자들은 민주주의와 시민의 권리 확장을 위한 공영방송 제도와 시스템, 그리고 방송통신 거버넌스의 재정비 및 정상화가 필요함을 역설한다”며 “이는 정치후견주의에 입각한 힘의 논리 또는 정치권력의 강압과 독단이 아니라 사회적 공론화를 통한 합의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노력할 것이며, 진정한 시민의 공영방송 제도와 시스템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언론정보학회는 “악의 평범성은 순치 속에 깃든 냉소와 외면에서 비롯된다. 시민을 위한 진정한 공영방송 제도와 시스템을 사회적 합의 속에서 모두가 함께 만들어 나가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추천키워드
관련기사
- 국민 55% "이동관, 총선 겨냥 방송장악 인사"
- KBS 야당추천 이사 "방통위 이사장 해임 추진은 위법한 권한 남용"
- 차기환, 네 번째 공영방송 이사 기염
- 'KBS 이사 법카 유용' 차기환이 방문진 이사로?
- 방통위, 인사검증 없이 '묻지마' 공영방송 보궐이사 속도전
- MBC 구성원 "방통위, 방송장악에 혈안"
- 방통위, 감사 진행 중 방문진 이사장에 "감사원법 위반" 통지
- 여권 방통위원, KBS·방문진 보궐이사 추천·임명 강행
- '김효재 추천' 임정환 방문진 이사 자진사퇴…왜?
- 이동관, '윤석열 검찰 강압수사' 내세워 언론장악 부인
- "이동관 손에 피 안묻히고 MBC 장악하려는 몸부림"
- "윤석열·이동관, 정부 비판하면 공산당으로 모는 세상 만들 것"
- 이동관 "공산당 언론" 발언에 "셀프 저격 아닌가"
- 비정상에 의한 방통위 정상화, 이번엔 대법원 판결 무시
- "이동관 반대에 그쳐서는 안 된다"
- "이동관, 윤 정권 비판기사 싸잡아 공산당 기관지 취급"
- 이동관 "공산당 언론, 국민이 잘 아실 것" 색깔론
- 왜 BBC·NHK가 아니라 BBC '인터내셔널'이나 NHK '국제방송'일까
- 이동관, 방통위원장 지명 이틀만에 'YTN 법적조치' 시사
- "방통위 해체" 요구 자초하는 이동관 방통위원장 지명
- 이동관, 방통위원장 지명 일성 "가짜뉴스와의 전쟁"
- 언론연대 "공영방송 이사 부당해임 되풀이 말라"
- 방통위, 이번에는 EBS 이사 해임 추진
- 방통위, '위법' 근거도 없이 KBS 이사장 해임 속도전
- 헌재, 'TV수신료 분리징수 헌법소원' 전원재판부 회부
- 양대 공영방송 이사들 "방송 장악 음모 포기하라"
- 방통위, 14일 남영진 KBS 이사장-정미정 EBS 이사 해임
- 3대 공영방송 이사들 "야만적 방송장악 기도 포기하라"
- 공영방송 전·현직 이사 32인 "공영방송 장악·형해화 중단하라"
- 언론연대 "방송독립 말하면 반국가단체냐"…박성중 사과 촉구
- 윤 대통령, 결국 이동관 임명 강행...“정권 몰락 신호탄”
- 이동관 취임 일성 '공영방송·포털 가짜뉴스와의 전쟁'
- KBS시청자위 "국민 설득하는 수신료 프로그램 제작해야"
- "'시정 홍보', '부당 해고'…TBS를 어디까지 망가뜨릴 셈인가"
- 김효재, 방통위 퇴임 57일만에 언론재단서 3년 임기 시작
- 뉴욕타임즈 기자 "윤 정부 언론탄압 비판, 문 정부 때와 왜 다른가"
- "윤석열 정권 '약탈적 언론 사유화', 총선에서 저지해야"
- TBS 대표·경영본부장 사표…경영 리더십 붕괴
- 브이뎀 민주주의보고서 "한국, 윤 정권 들어 독재화 전환'"
- '윤석열 방송장악 국정조사' 어디부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