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임명 강행에 야당과 언론시민사회 단체에서 규탄 목소리가 쏟아졌다. 이들은 한목소리로 “윤석열 정권의 뜻대로 되지 않을 것”이라며 이번 이동관 방통위원장 임명이 정권의 몰락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임명안을 재가했다. 윤석열 출범 이후 여야 합의에 의한 인사청문 보고서 채택 없이 장관급 인사를 임명한 것은 이번이 16번째다. 최근 김효재·김현 상임위원의 퇴임으로 방통위는 당분간 2인 체제로 운영될 예정이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의원 일동과 민주당 언론자유특별위원회는 성명을 내어 “국회는 수많은 의혹에 대한 최소한의 해소도 없이, 인사청문보고서 채택 없이 일방적으로 임명한 이동관 방통위원장을 거부하고 인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이동관씨는 방송장악 의지를 내비쳤고, 본인의 거짓말과 잘못을 지적하는 언론사와 언론인에 대한 고소고발 겁박도 빼놓지 않았다”며 “방통위의 독립적 운영을 보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법률과 언론 자유를 위해 바쳤던 수많은 희생은 윤석열 대통령과 이동관씨 앞에 하루아침에 무너졌다”고 지적했다.
민주당은 “윤석열 대통령은 국민, 국회, 언론인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동관 방통위원장을 임명한 이유를 국민 앞에 직접 설명하라”며 “앞으로 이동관 방통위원장 체제에서 벌어질 방송장악과 언론탄압은 모두 윤석열 대통령 책임이다. 합의제 기관 방통위를 엉망으로 만들고 방송시장을 망가뜨린 정권으로 역사가 기록할 것임을 분명히 경고한다”고 말했다.
강은미 정의당 원내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언론자유의 재앙, 민주주의 파괴의 5공화국으로의 퇴행으로 참담함을 금할 수 없다”며 “정부에 비판적인 신문은 죄다 정치수사, 정치감사의 대상이 되고, 사정기관과 행정력을 동원한 국힘당 기관지 양성화가 머지않은 미래다”라고 비판했다. 강 원내대변인은 “윤석열 정부의 무도한 언론장악을 막는 입법 대책에 나설 것”이라며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과 방송문화진흥회법 등 방송3법, KBS 수신료 통합징수 법안을 이번 정기국회에서 반드시 통과시킬 것”이라고 했다.

전국언론노동조합, 한국기자협회, 언론개혁시민연대, 새언론포럼 등 13개 언론현업·시민단체들은 같은 날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주화 이후 가장 참혹했던 언론탄압·장악의 주동자가 방송 독립과 공공성 증진을 위해 만들어진 방통위 수장이 된 것”이라며 “한국 민주주의의 퇴행이자 언론과 표현의 자유 역사에 닥친 심대한 위기”라고 규탄했다.
이들 단체는 “결코 윤석열 정권의 뜻대로 되지 않을 것”이라며 “민주주의와 국민의 뜻에 반하는 이동관 임명은 정권 몰락의 신호탄이자, 반헌법적 언론통제 권력의 패퇴를 증명하는 역사의 반복이 될 것이다. ‘말이 없는 다수’는 민주주의와 언론과 표현의 자유가 침탈되는 때에 늘 분연히 일어서 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 단체는 “언론장악이 노골화될수록 정권의 처참한 최후도 가까워질 것”이라며 “이동관은 정권과 함께 침몰하기 전에 방통위원장직에서 사퇴하고 이미 극우 정권으로 역사에 남을 윤석열 정권은 정해진 패배의 길에서 벗어나라. 언론 장악을 꿈꿨던 자들의 추악한 말로를 기억하라”고 경고했다.

민주언론시민연합은 이날 성명을 내어 “자질과 도덕성 모두 부적합한 인사의 임명을 강행한 윤석열 정권은 극우 파시스트 정권이라 불리기에 손색이 없다”며 “윤석열 정권과 그 친위세력은 이동관 방통위원장을 통해 공영방송 민영화를 실행해 이번에야말로 공영방송을 말살하고 정경유착이 일상화된 재벌기업들에게 공영방송을 팔아 기어이 영구적인 극우방송을 만들 것이 분명하다”고 비판했다.
민언련은 “하지만 윤석열 정권의 뜻대로는 되지 않을 것”이라면서 “이명박·박근혜 정권이 그렇게 무지막지하게 공영방송을 장악했어도 국민의 심판에 의한 정권 몰락을 막지는 못했다. 어떤 악조건에서도 시민과 민주주의는 언제나 길을 찾았기 때문이다. 언론자유와 민주주의를 지켜온 시민들과 함께 결단코 ‘이동관 방송파괴위원회’를 끝까지 막아낼 것”이라고 밝혔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추천키워드
관련기사
- 40여 개 시민단체 "이동관 방통위원장 임명은 민주주의 파괴"
- 이동관 청사진, 결국 '공영방송 민영화'
- 대통령실, 민주당 '이동관 부적격 보고서' 수령 거부 중
- 이동관, 또 YTN 법적대응… 방통위원장 지명 후 2번째
- 이동관, 국정원 언론장악 문건에 "한두 번 가져오길래…"
- "이동관이 가야 할 곳은 과천 방통위 아닌 감옥"
- '가짜뉴스 대응 예산' 최우선으로 챙기겠다는 이동관
- 국정원감시넷 "이동관은 인사청문 대상 아닌 수사·조사 대상"
- 이동관 청문회 D-1 'KBS 인사개입' '학폭' '농지법 위반' 재점화
- 이동관, YTN에 3억 손배청구·형사고소
- 이어지는 이동관 대변인실 '문건' 보도 "일그러진 언론관"
- 13개 언론·시민단체 "윤석열 방송 위한 숙청극…방통위 해체해야"
- 이동관, 첫 출근 때 "내 얘기 의심하고 검증하라"…과연?
- "이동관 '인수위 고문' 경력, 결격사유 유권해석해야"
- 언론학자들 "윤 정권, 박정희·전두환 넘어 공영방송 소멸 시도"
- 국민 55% "이동관, 총선 겨냥 방송장악 인사"
- 이동관, '윤석열 검찰 강압수사' 내세워 언론장악 부인
- "윤석열·이동관, 정부 비판하면 공산당으로 모는 세상 만들 것"
- "이동관, 윤 정권 비판기사 싸잡아 공산당 기관지 취급"
- 방송협회장 "정부가 추진하는 인위적 변화, 공영방송에 큰 위협"
- 이동관, 대놓고 방통심의위 심의 개입 선언
- 윤 정부 언론·미디어 정책, MB정부·대통령 특보 출신 손에
- 과거 방통위 2인체제 의결 전무…이동관·이상인은
- 언론현업·시민단체 "국회, 하루빨리 방송장악위원장 끌어내려야"
- 민주당, '윤석열 정부 언론장악' 국정조사 추진
- 이동관 "방송3법, 대통령 거부권 행사는 당연한 귀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