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김의철 KBS 사장이 “현 단계에서 사퇴할 의사가 없다”고 밝혔다.
28일 열린 KBS이사회에서 여권성향 이사들이 김의철 사장의 사퇴를 요구했다. 이은수 이사는 KBS 직능단체의 성명을 언급하며 “사장은 사원들에게 흔들리지 말고 뜻을 모아달라고 요청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사원들의 과반은 김 사장의 퇴진에 뜻을 모았다. 경영진 우선 퇴진이 급선무”라고 말했다.
권순범 이사는 “불과 몇년 전 ‘고대영 사장 퇴진 운동’을 할 때 당시 김의철 사장이 ‘KBS와 후배를 위해 퇴진을 요청한다’고 말했는데, 지금 후배들이 동일한 말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아나운서협회·경영협회·영상제작인협회·방송기술인협회는 “김 사장은 현 위기를 초래한 책임을 지고 사임해야 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에 대해 김의철 사장은 “수신료 분리징수가 철회되면 자리에 연연하지 않겠다는 말씀을 드렸고, 현재 그 생각에 변함이 없다”며 “지금 현 상태에서 당장 사퇴하는 게 국면을 조금이라도 긍정적으로 돌리는 데 전혀 작용하지 않는다는 판단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쉽지 않은 상황이지만 경영진은 관련 팀을 꾸려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비하고 있고, 끝까지 노력할 것이다. 이사회에서도 수신료 분리징수는 안 된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혀주길 간곡히 호소드린다”고 말했다.
야권성향의 윤석년 이사는 “이 문제(수신료 분리징수)가 KBS뿐 아니라 우리나라 방송 생태계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에 KBS 이사회뿐 아니라 구성원들도 졸속으로 추진한 것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대안을 조속히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최소한 구성원과 이사회가 분리징수에 대한 동일한 목소리를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상요 이사는 “경영진과 집행부를 질타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이 문제에 대해 이사회 자체 내에서의 숙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이사는 “이럴 때일수록 공영방송 KBS가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KBS 경영진은 수신료 분리징수와 관련해 헌법소원 등 법률적 대응 외에 관련 팀을 꾸려 대응해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경영진은 “만에 하나 시행령이 공포됐을 시 한전과의 계약방식 등 예상되는 시나리오 별로 법률 검토 및 대응에 대한 논의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KBS 기자협회 과반, 김의철 사장 사퇴 요구 '반대'
- KBS PD 과반 "김의철 사장 사퇴해야"
- 언론노조 KBS본부 "김종민 이사는 당장 사퇴가 정답이다"
- 여권 성향 KBS이사 "방송사 하나 없어지는 것"
- 대통령실 권고 1주일만에 마련된 '수신료 분리징수' 시행령
- 정책연구와 딴판인 방통위 수신료 분리징수 추진
- 대통령실 "수신료 분리징수와 KBS 사장 사퇴는 별개"
- KBS "수신료 분리징수에 대한 현실적 대안 없다"
- 김의철 KBS 사장 "수신료 분리징수 철회되면 물러나겠다"
- 민주당, 정부·여당에 '공영방송 국민공론화위' 제안
- KBS, '수신료 분리징수' 비상경영 체제 돌입
- 윤석년 다음은 남영진? KBS노조 법카 의혹제기
- '수신료 공론조사'에 테이블 올라서 발까지 구른 여권 이사
- 'KBS사장 퇴진 투표'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고발
- 권익위, 'KBS 이사장 법카 부정사용 의혹' 현장조사
- 방통위, 남영진 KBS 이사장 해임 절차 돌입
- 방통위, '위법' 근거도 없이 KBS 이사장 해임 속도전
- KBS이사회, '김의철 사장 해임제청안' 긴급상정
- 김의철 KBS 사장 "이사회, 여권 위주로 바뀌자 해임 나서…유감"
- 여권 우위 KBS 이사회, '김의철 사장 해임제청안' 상정
- 김의철 KBS 사장 "해임에 이를 만큼 큰 잘못 저지르지 않았다"
- KBS 야권 이사들 "해임 제청안 의결, 절차적 하자 있다"
- 김의철 전 KBS 사장, '해임정지 기각' 항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