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기획재정부가 편향적으로 정부광고를 집행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지난 4년 기재부 정부광고는 종합편성채널, 보도전문채널에 집중됐다. 2024년부터는 종편 중 JTBC에 대한 광고 집행 실적이 없었다.
국회 기획재정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조승래 의원실이 13일 공개한 '최근 5년간 정부 TV광고 집행 현황'에 따르면, 기재부의 지상파 정부광고는 2021년 7월 KBS '한국판 뉴딜 홍보를 위한 예능프로그램' 협찬(3630만 원)이 마지막이었다. 기재부는 2020년 5월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경제정책' 홍보로 5000만 원을, 같은 해 '아시아개발은행 연차총회 정책 홍보'로 1억 원을 각각 MBC, KBS에 집행했다.

하지만 2021년 7월 이후부터 기재부는 지상파에 정부광고를 집행하지 않았다. 기재부는 2021년 7월 25일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정책' 홍보를 명목으로 JTBC 다큐플러스에 1억 5730만 원을 협찬했다. 2021년 11월에는 '단계적 일상회복 시대-우리 경제의 성과와 비전' 광고를 JTBC(3000만 원), tvN(3천만 원), YTN(2000만 원), 연합뉴스TV(2000만 원)에 집행했다.
2022년 12월에는 '2023년 경제정책방향' 광고를 JTBC(5500만 원), MBN(4000만 원), TV조선(5500만 원), 채널A(4000만 원), IPTV(2700만 원), YTN(4000만 원), tvN(3000만 원), 연합뉴스TV(4000만 원)에 집행했다. 2023년 11월에는 종편4사에 각각 3750만 원의 '약자복지 예산' 광고가 돌아갔다.

기재부는 2024년 1월 '2024년 경제정책방향' 광고를 기점으로 종편4사 중 JTBC을 제외했다. 당시 광고는 TV조선·채널A·MBN·tvN·연합뉴스TV에 각각 4000만 원 집행됐다. 2024년 12월 '내 곁에 우리 곁에 2025 예산안' 광고는 MBN(2000만 원), YTN(1766만 6천 원), 연합뉴스TV(1430만 원), 한국경제TV(1714만 3천 원)에 돌아갔다. 2025년 1월 '2025 경제정책방향' 광고는 TV조선·채널A·MBN·연합뉴스TV·YTN·tvN에 각각 4000만 원 집행됐다.
조승래 의원은 "기재부가 정부 정책을 광고하면서 지상파를 외면하고 공영방송인 KBS에조차 광고를 의뢰하지 않은 것은 무책임한 처사"라며 "종편 중에서도 특정 채널에는 광고 의뢰를 하지 않는 등 편향성이 의심되는 만큼, 해당 정부광고 의뢰에 대한 명확한 기준과 설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이재명 정부, 보수신문 편중 정부광고 수술 나서
- 이 대통령, 문체부 보고에 "정부광고 대상 매체 효율성 제고하라"
- 언론재단, 지역·중소언론 공익광고 50억 집행 추진
- 정부광고, 세금 안 내는 유튜브에 세금 지원 형국
- 최민희 "정부광고 대행 '미디어진흥재단' 신설 구상"
- 지역방송협의회 "국정 5개년 계획 유감...대선 공약 이행하라"
- 최민희 "언론재단·김효재는 개혁 대상"
- 언론재단 정부광고 독점대행, 정말 문제없나
- 국정기획위, 허위정보 대응-정부광고 구조 개선 등 7대 과제 접수
- 지역민방노조 "언론재단 정부광고 독점 대행 구조 해체해야"
- "정부광고, 암묵적 '보도 거래' 수단 …명확한 집행 규정 만들어야"
- [단독] 매일신문·문화일보, 윤석열 정부광고 신문 4·5위 기염
- 방송협회, "정부광고 대행 독점 개선" 공약 이행 건의
- 정부광고 수수료, 새 정부의 지역방송 재정난 타개책 될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