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노하연 기자] 노동권 보장, 임금 인상 등을 위해 고공농성을 벌였던 김형수 금속노조 경남지부 거제통영고성조선하청지회장이 농성 97일 만에 땅을 밟았다.

금속노조 경남지부 거통고조선하청지회는 19일 오후 서울 중구 한화빌딩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 지회장의 고공농성 해제를 발표했다. 이날 기자회견에 민주노총, 금속노조, 대학생단체와 더불어민주당 이언주·민병덕·김주영 의원, 진보당 윤종오 원내대표, 사회민주당 한창민 대표 등이 함께했다. 

김형수 거제통영고성조선하청지회장이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금속노조 경남지부 제공)
김형수 거제통영고성조선하청지회장이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금속노조 경남지부 제공)

한화오션 하청 노사는 지난 17일 2024년 임금·단체협약에 잠정 합의했다. 합의안에 ▲상여금 50% 인상 ▲상용공 확대 ▲취업 방해 금지 ▲산재 예방 활동 등이 포함됐다.

19일 오후 1시까지 조합원 찬반투표를 진행했다. 투표 결과 하청 노조 측에서 찬성률 91.5%가 나와 하청 사측과 임금·단체협약이 체결됐다. 이어 오후 1시 40분경, 장창열 금속노조 위원장과 이김춘택 하청지회 사무장이 크레인을 타고 철탑으로 올라가 2024년 임금·단체협약서에 서명했고, 김 지회장은 오후 2시 30분께 철탑에서 내려왔다.

김 지회장은 기자회견에서 “이 땅의 비정규직에 대한 차별과 혐오가 사라지는 그날까지 끝까지 투쟁하겠다”면서 앞으로 노조법 2·3조 개정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김 지회장은 “노조법 2·3조 개정을 가로막고 있던 윤석열은 이제 사라졌다”며 “그 누구도 노조법 2·3조 개정을 막을 사람이 없다”고 했다. 노조법 2·3조 개정안은 하청노동자에 대한 원청 책임을 강화하고 사용자가 노동자에게 무분별하게 손해배상·가압류를 청구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5월 20일 서울 중구 명동 세종호텔 앞에서 열린 '고진수 세종호텔 해고노동자 고공농성 100일, 사회원로·종교·시민사회단체 기자회견'에서 고진수 씨를 포함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5월 20일 서울 중구 명동 세종호텔 앞에서 열린 '고진수 세종호텔 해고노동자 고공농성 100일, 사회원로·종교·시민사회단체 기자회견'에서 고진수 씨를 포함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김 지회장은 고공농성을 이어가고 있는 고진수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세종호텔지부장과 박정혜 금속노조 한국옵티칼하이테크지회 수석부지회장을 향해 “먼저 내려오게 돼 미안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며 “두 동지가 땅을 밟을 때까지 하청지회가 끝까지 연대하겠다”고 말했다. 고 지부장은 이날로 127일째, 박 수석부지회장은 529일째 고공농성을 이어가고 있다.

금속노조는 기자회견문에서 “한화오션의 탐욕에 브레이크를 걸고 상용직 하청노동자 고용 확대, 임금 인상, 차별 해소가 한국 조선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는 것을 명확히 제시했다는 점에서 작지만 값진 승리”라고 평가했다.

또한 “이재명 ‘국민주권’ 정부에서의 노조법 개정 내용이 ‘내란 수괴’ 윤석열 정부에서의 노조법 개정과 같아서는 안 된다”며 “사용자 정의를 확대하는 것뿐 아니라 노동자 정의를 확대해 건설노동자, 화물노동자, 특수고용직 노동자, 플랫폼 노동자 등 모든 노동자에게 노동3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