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한국프레스센터 청소 노동자들이 원청인 한국언론진흥재단(이사장 김효재)에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개악 위기 상황에 대한 책임을 요구하고 있다. 언론재단으로부터 하청을 받은 용역사가 청소 노동자들의 임단협을 위협하고 있기 때문이다. 청소 노동자들은 국회를 향해 노란봉투법(노조법 2·3조 개정안)의 처리를 촉구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서울지부와 프레스센터분회는 오는 26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앞에서 언론재단에 원청 사용자 책임 이행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한다.

언론재단이 계약하는 미화 용역사 소속 프레스센터 청소 노동자들은 매년 임단협 체결에 애를 먹고 있다. 언론재단은 매년 조달청 입창을 통해 미화 용역 계약을 진행한다. 매년 미화 용역사가 변경된다는 얘기다. 청소 노동자들은 매년 임단협이 자동 해지되고 새로운 용역사와 임단협 협상을 다시 진행해야 하는 상황이다.
특히 올해 들어 용역사 '경기교육'이 기존 임단협 내용을 무시하고 임금 삭감과 노동자 처우 조항 폐지를 주장하고 있다고 한다. 청소 노동자들이 투쟁 끝에 올해 임금을 지난해 협약임금으로 복구했지만 경기교육은 여전히 단협에서 노조 복리후생기금 지급, 연차 강제 소진 금지 조항을 폐지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공공운수노조 서울지부는 원청인 언론재단에 프레스센터 미화 용역사 입찰을 진행할 때 임단협을 승계하는 조건으로 용역계약을 맺으라고 요구했다. 언론재단은 관련 내용을 공공운수노조와 협의하겠다는 입장이다. 양측은 현재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공공운수노조 프레스센터분회는 지난 20일 성명에서 "우리의 노동 가치는 절대 작지 않지만 우리가 받는 처우는 노동의 가치에 비해 턱없이 작다"며 "서울시 생활임금(시간당 1만 1779원)에 턱없이 모자라는 임금을 받고 있으며 용역업체가 바뀌어 애써 맺은 임단협은 무용지물이 되고, 십수 년째 성실히 일하는 노동자도 연차 개수는 매년 그대로"라고 했다.

프레스센터분회는 "용역업체가 바뀌었다는 이유 하나 때문에 우리 분회가 십수 년간의 투쟁으로 지켜온 단협을 절대로 후퇴시킬 수는 없다"며 "이 모든 문제의 근본적 원인은 청소 용역업체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노조의 임단협을 전혀 보호하지 않은 원청사 언론재단에게 있다. '진짜 사장' 언론재단이 청소 노동자 처우 책임져라"라고 했다.
공공운수노조 서울지부·프레스센터분회는 ▲국회는 이재명 정부 공약인 노란봉투법을 처리할 것 ▲원청인 언론재단은 하청 노조의 임단협을 보호하는 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했다. 노란봉투법은 '진짜 사장 책임법'으로도 불린다. 하청 노동자가 '진짜 사장'인 원청과 교섭을 진행하도록 규정하기 때문이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