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40여 개 시민단체들이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임명은 언론자유와 민주주의 파괴 선언”이라며 윤석열 대통령의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참여연대, 민주언론시민연합, 국정원감시네트워크, 진보네트워크 등 40여 개 시민사회 단체들은 23일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동관의 방통위원장 임명은 대통령과 청와대·국가정보기관·검찰·감사원 등 사정기관까지 한 몸처럼 움직였던 이명박 정부의 언론장악과 여론조작 공작을 재현하겠다는 의지를 공식화하는 것”이라고 규탄했다.

참여연대, 민주언론시민연합, 국정원감시네트워크, 진보네트워크 등 40여 개 시민사회 단체들이 23일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이동관 임명은 언론자유와 민주주의 파괴다'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사진=민주언론시민연합) 
참여연대, 민주언론시민연합, 국정원감시네트워크, 진보네트워크 등 40여 개 시민사회 단체들이 23일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이동관 임명은 언론자유와 민주주의 파괴다'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사진=민주언론시민연합) 

이들은 기자회견문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임명을 강행할 것이라 예상이 나오고 있는데, 언론의 자유, 나아가 민주주의가 위협받는 상황”이라며 “청문회에서 이동관은 이명박 청와대발 언론장악 공작을 주도적으로 지시했다는 정황을 보였다. 적어도 언론장악 공작 관련 사항을 문서로 보고받았으며, 그 실행을 묵인하거나 방조했음을 시인한 것으로 따라서 이동관은 공직자는커녕 수사와 조사를 받아야 할 대상임이 더욱 명백해졌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온갖 불법과 범죄행위로 국정을 농단하고 민주주의를 파괴했던 이명박·박근혜 정부의 마지막이 어땠는가. 윤석열 정부가 이동관 임명을 강행해 그 잘못을 되풀이한다면, 국민의 준엄한 심판을 마주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진 기자회견에서 채영길 민언련 공동대표는 “윤 정부가 파시즘 수렁에 빠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본격적으로 제기되고 있다”며 “지금 시기는 마치 나치 초창기, 진보단체와 출판사·노조에 행했던 파시스트적 폭력과 유사하다. 지금 우리는 신냉전 전선에 영문도 모른 채 전제주의보다 무서운 전쟁에 내몰리고 있다”고 규탄했다.

채 공동대표는 “전제주의 국가는 폭력이 국가 운영 원리인데 그것을 완성하기 위한 방송과 언론 장악 자리에 MB 정권의 괴벨스 이동관을 앉히려고 하는 것”이라면서 “공영방송을 일거에 날려버릴 언론 장악 부역자를 다시 무덤에서 불러내 공영방송 이사와 대표로 임명하려고 한다. 헌법이 보장하는 언론과 표현의 자유를 무력화하고 사회를 무지하게 만들려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채 공동대표는 “이태원 참사, 오송 지하도 참사, 고 채 상병 참사에 이르기까지 서민들의 삶은 어려워지고 그 자리를 죽음이 채우고 있다. 이제 우리 삶과 생명에 대한 안전까지 걱정해야 할 시기인데 시민들이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참여연대, 민주언론시민연합, 국정원감시네트워크, 진보네트워크 등 40여 개 시민사회 단체들이 23일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이동관 임명은 언론자유와 민주주의 파괴다'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사진=민주언론시민연합) 
참여연대, 민주언론시민연합, 국정원감시네트워크, 진보네트워크 등 40여 개 시민사회 단체들이 23일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이동관 임명은 언론자유와 민주주의 파괴다'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사진=민주언론시민연합) 

엄주웅 언론비상시국회의 대회협력팀장은 “이동관 씨가 ‘공산주의’ 언론을 언급했는데, 모두가 알다시피 족벌 언론이 정부를 비판하나, 재벌 언론이 정부를 비판하나, 그나마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는 공영방송을 장악해 재벌·족벌 언론화시키겠다는 것이 공산주의 아니냐”며 “이동관 씨는 우리나라 언론판을 전체주의로 만들기 위해 돌아왔다. 단순히 경영진만 교체하는 것이 아닌 민영화 등을 통해 지배구조까지 바꿔 영원히 정부 비판적인 방송의 발을 못 붙이게 하는 사명을 띠고 왔다”고 말했다. 

엄 대외협력팀장은 “어제 고 이용마 MBC 기자의 4주기였는데, 바로 그날 이용마 기자를 탄압했던 장본인 중 하나인 이진숙 씨가 방통위원으로 내정됐다”며 “최소한의 균형성과 중립성조차 포기한 것이 이 정부의 행태"라고 말했다.

이지현 참여연대 사무처장은 “이동관 후보자는 이명박 정부 대변인 시절, 언론 장악 주도 정황, 극우 기자 소송지원 추진 정황, MBC 경영진 교체 계획 정황, 공영방송과 언론사 장악 전황 등이 드러났는데 이러한 사실만으로도 방통위원장 임명을 논할 수 조차 없는 인물”이라며 “우리는 다시 언론을 정권의 나팔수로 길들이려 온갖 공작을 벌이던 과거로 돌아갈 수 없다”고 말했다.

이 사무처장은 “이명박 정부 때 언론 장악 공작을 주도한 이동관을 임명하는 것은 대통령이 매번 말하는 법치, 자유민주주의 공정과도 거리가 멀다”며 “당장 이동관 임명 강행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