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윤석열정권 언론장악저지 야4당 공동대책위원회'(이하 야4당 공대위)의 '방송장악 저지 전국순회 토크콘서트'가 중단됐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단식을 진행하고 체포동의안이 가결된 상황에서 '토크콘서트나 한다'는 친이재명계 강성지지층의 비난 여론을 고려한 결과라고 한다.
하지만 언론시민사회는 민주당이 어지러운 정세 속에서도 언론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한 정책을 멈추지 말고 펴나가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방송장악 저지 토크콘서트'는 24일 부산편, 26일 서울편을 남겨두고 전면 취소됐다. 지난 7일 제주, 15일 광주에서 열린 '방송장악 저지 토크콘서트'에서 양승동 전 KBS 사장, 박성제 전 MBC 사장은 언론탄압 사례와 함께 윤석열 정부 언론정책과 언론기관 인사교체의 위법성을 설명했다.
민주당·정의당·기본소득당·진보당은 야4당 공대위를 출범시켰다. 야4당은 "윤석열 정권의 언론장악 프로젝트를 보다 많은 국민들에게 알리고 공영방송을 지키는 방법을 함께 모색하겠다"며 '방송장악 저지 전국순회 토크콘서트'를 개최해 왔다.

22일 민주당 최고위원회에서 고민정 최고위원(언론자유특별위원장)은 "언론장악 저지를 위해서, 각 지역 언론인들에게 힘을 주고 대국민 홍보를 강화하기 위해서 해직 경험이 있는 언론인들과 함께 토크콘서트를 어렵사리 진행해 왔다. 가만히 있을 수만은 없어 대정부 투쟁의 일환으로 진행해 왔던 것"이라며 "하지만 대표가 단식까지 하는 이런 마당에 토크콘서트나 한다며 비아냥이 쏟아졌다"고 전했다.
고 최고위원은 "하여 이번 주와 다음 주에 예정돼 있던 토크콘서트는 모두 취소한다"며 "도움을 주셨던 많은 분들께, 그리고 언론인들께 죄송한 마음 전한다"고 했다. 고 최고위원은 친이재명계 강성지지층으로부터 이른바 '수박'('겉과 속이 다르다'는 의미로 비이재명계·친문재인계를 비난하는 용어) 인사로 지목되어 왔다.
친이재명계 서은숙 최고위원은 이재명 대표 체포동의안 가결과 관련해 언론 비판을 쏟아냈다. 서 최고위원은 "성실하게 의정활동하고 애당심을 가지고 당을 위해 노력했지만 언론·방송은 그런 의원들의 활동에 큰 관심이 없었다"며 "반면 당과 당대표를 비판하고 분열적 발언을 하는 의원들의 이름과 발언은 크게 각광받았다. 그동안 실력으로 평가받아 언론·방송에서 주목받은 적이 없던 의원들이 윤석열 정권 하에서 당과 당대표를 비난하면 대서특필되었다"고 주장했다.

공영방송 지배구조에서 정치권 후견주의를 근절하기 위한 이른바 '방송3법 개정안'이 21일 국회 본회의에 상정되지 못했다. 김진표 국회의장은 '여야 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며 방송3법, 노란봉투법(노조법 2·3조 개정안)을 본회의에 상정하지 않았다.
22일 13개 언론·시민사회단체는 공동성명을 내어 민주당을 향해 "혼란한 정세 속에서도 방송의 정치적 독립은 나아가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모두의 삶과 민주주의를 보호하고 개선하자며 입법 청원으로 국민의 뜻을 모아 국회로 보낸 방송3법과 노조법 등 핵심 법안들의 처리도 정치적 혼란의 탁류에 유실될 위기에 처했다"며 "그러나 정세가 어지럽다고 해서 민주주의와 언론자유의 진전을 멈출 수는 없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윤석열 정권이 방통위를 동원해 벌이는 공영방송 장악의 사태를 보라. 스스로 위법함을 알고도 정치적 장악을 위해 KBS 이사들을 해임하고 방문진(MBC 대주주) 권태선 이사장의 해임처분에 대한 집행정지가 결정된 이후에도 같은 이유로 김기중 이사를 해임하는 뻔뻔스러움을 보였다"면서 "민주당에 요구한다. 당 내부의 정치적 혼돈과는 별개로 한국 사회와 민주주의는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했다.
이어 이들은 김 의장을 향해 "윤석열 정권이 입법권을 짓밟으며 민주주의 시계를 거꾸로 돌리고 있는 데는 무력한 국회의장의 책임도 크다"며 "여야 이견을 핑계로 민생과 민주주의 진보를 위해 명백히 필요한 법안들을 안건 상정하지 않는 것은 국회의 대표자로서의 직무유기"라고 비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공영방송 정치독립법, 이번에는 김진표가 제동
- "독재로 회귀한 '윤석열 정권'의 폭거 막을 기회는 이번뿐"
- "80년대 언론자유 짓밟던 군홧발, 검찰 구둣발로 바뀌어"
- 김의철 전 KBS 사장의 소명 "불법 해임 악습 끊어내야"
- 동아일보 "정권 교체=사장 교체, 계속되는 한 공영방송 독립 요원"
- 언론노조 "정권교체→공영방송 사장 해임 악순환, 참담하다"
- 해임된 언론기관장 4인이 기자들에게 전한 말
- 여권의 뉴스타파 총공세, 보수언론서도 "언론자유 위축 우려"
- "윤 정권 대선공작몰이, 전두환 이후 가장 강도 높은 언론통제"
- 야4당, '방송장악 저지 전국 순회 토크콘서트' 개최
- “주류 방송의 힘은 여전히 막강, 극악한 언론장악 이유죠”
- 40여 개 시민단체 "이동관 방통위원장 임명은 민주주의 파괴"
- "윤석열 정권의 방송장악, 민주당도 책임 피할 수 없죠"
- 거대양당이 예고한 '총선은 침대축구로'
- TV조선, '고민정 웃음' 영상 '블러 처리'키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