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서울시 미디어재단 TBS가 사내 특별기구 '공영방송 TBS 지속발전위원회'(이하 TBS 지속발전위)를 설치했다. 국민의힘 서울시의원들이 발의한 'TBS 조례 폐지안'에 대응하고 지역공영방송으로서 미래 비전을 수립하기 위한 취지에서다.  

TBS는 지난 7일 이사회, 시청자위원회, TBS노동조합·전국언론노동조합 TBS지부 대표자 등으로 구성된 'TBS 지속발전위'를 구성했다고 12일 밝혔다. TBS는 경영진, 직원, 시민, 학계가 사내 특별기구인 지속발전위에 참여해 조례 폐지안 철회를 위해 힘을 모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 상암동 TBS 사옥 (사진=TBS)
서울 상암동 TBS 사옥 (사진=TBS)

TBS 지속발전위는 ▲공영방송 TBS의 책무 등 미래비전 정교화 ▲공적재원과 자체수입을 감안한 재정자립 방안 ▲지역 공영방송 관련 법·제도 개선 등의 의제를 논의하게 된다. 논의결과는 TBS 폐지 조례안이 본격적으로 논의되는 서울시의회 11월 정례회 이전인 10월 말~11월 초에 토론회를 통해 공식 발표될 예정이다. 

또한 TBS는 양대노조가 제안한 '공영성강화 공정방송위원회'(이하 공방위)를 노사 단체협약에 근거해 설치한다. 공방위는 ▲시사보도 기능 전면 개편 ▲서울지역 특화 콘텐츠 기획·제작 ▲시민참여 강화 ▲다문화 방송 확대 ▲콘텐츠 평가·변화 등을 TBS 구성원들과 논의하고 '시사·보도 프로그램 제작 가이드라인' 등 TBS 제작 지침을 전면 재정비한다는 방침이다. 

지난달 28일 출범한 '서울 공영방송 TBS를 위한 사원행동'은 TBS를 지키기 위해 모든 구성원이 한목소리로 나서야 한다는 취지에서 '지역 공영성 강화를 위한 특별기구' 설치를 요구하고 관련 의제를 제시한 바 있다.  

TBS 구성원들은 지난달 28일 오전 서울 상암동 TBS 사옥 앞에서 '서울 공영방송 TBS를 위한 사원행동' 출범식을 개최하고 서울시의회에 'TBS 조례 폐지안' 철회를 촉구했다. (사진=TBS 사원행동)

유선영 TBS 이사장은 "지속발전위가 TBS 비전과 재정독립 강화, 법제도 개선 등을 논의하고 공방위가 콘텐츠 측면에서 KBS·MBC와는 다른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면 TBS 운영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지역 저널리즘을 확실히 한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서울시와 협상해야 한다"고 말했다. 

백미숙 TBS 시청자위원장은 "TBS가 오세훈 서울시장 구상대로 교육방송을 한다 해도 이는 학교 교육이 아닌 시민을 위한 광의의 교육이어야 한다"면서 "TBS의 정체성은 결국 프로그램으로 구현된다. 시민 후원으로 공영성을 지켜오고 있는 미국의 PBS나 NPR을 수도권 지역공영방송의 모델로 삼을 수 있다"고 말했다. 

유선영 이사장은 지속발전위 논의와는 별개로 TBS 조례 폐지안과 방송심의제도에 대한 위헌 소송을 이사회 차원에서 검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TBS 이사회는 조례 폐지안의 위법성을 검토하는 한편 공정성을 잣대로 한 시사·보도프로그램 심의제도에 대해 위헌 소송을 제기할 것을 경영진에 요청했다. 

서울시의회 사무처가 더불어민주당 '언론독립 TF' 요청으로 TBS 조례 폐지안에 대한 법률자문을 받아 본 결과 '조례안 전체가 위법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서울시도 TBS 조례 폐지안이 관련 법률과 충돌할 수 있다며 심도있는 논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관련기사▶TBS '조례 폐지안', 서울시의회 법률고문도 "상위법 위반")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