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사실 확인 결과 언론노조에 공영방송 운영위원 추천권이 있지 않고, 5개 공영방송사 경영권을 장악해 편파 방송을 주도한 적도 없는 것으로 밝혀져 이를 바로잡습니다"

국민의힘이 '공영방송의 공적책무 이행방안'을 논의하는 토론회를 개최했다. 국민의힘은 한편에서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 사퇴를 종용하고 방송정책을 관할하는 국회 상임위원회를 보이콧 중이다. 

토론회 모두 발언에서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 겸 비대위원장 직무대행은 현재 공영방송이 공정성·객관성을 잃어버렸다며 전국언론노동조합(이하 언론노조)을 문제로 또 지목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 겸 비대위원장 직무대행이 1일 국회 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열린 'ICT 혁명시대 공영방송의 가치 재정립과 공적책무 이행방안' 토론회에서 축사하고 있다. (사진=미디어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 겸 비대위원장 직무대행이 1일 국회 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열린 'ICT 혁명시대 공영방송의 가치 재정립과 공적책무 이행방안' 토론회에서 축사하고 있다. (사진=미디어스)

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국민의힘 미디어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윤두현 의원 주최로 'ICT 혁명시대 공영방송의 가치 재정립과 공적책무 이행방안' 토론회가 열렸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첫 정기국회가 개회된 이날 토론회에 권 원내대표, 주호영 전 비대위원장, 김기현 전 원내대표 등 국민의힘 의원 1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토론회 핵심 의제는 공영방송 개념의 법적 규정과 협약제도 도입이지만 국민의힘 의원들은 공영방송 공정성에 문제가 있다는 불만을 쏟아냈다. 권 원내대표는 "제가 공영방송 KBS·MBC 노조를 한 번 비판했더니 민주노총 산하 언론노조에 가입된 모든 언론의 적이 되어버렸다"면서 "공영방송 제1원칙은 공정한 보도, 객관적 보도이다. 공영방송이 공정성·객관성을 다 잃어버렸다는 것이 국민들의 생각이고, 그 결과가 시청률로 나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권 원내대표는 "공영방송이 이제는 새로운 가치와 책무로 국민에게 신뢰받는 방송으로 거듭나야 될 때가 됐다"면서 "특히 여야가 교체될 때마다 지배구조를 어떻게 할 것이냐는 문제가 나오는데, 민주당이 주장하는 방법으로는 모든 공영방송이 노영방송이 될 수밖에 없다는 게 저희 입장"이라고 했다. 

권 원내대표가 '노영방송화'라고 주장한 민주당의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안은 '운영위원회 설치'를 골자로 한다. 보수진영은 좌파 언론노조가 운영위원 대부분을 추천한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다. 

1일 국회 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열린 'ICT 혁명시대 공영방송의 가치 재정립과 공적책무 이행방안' 토론회 (사진=미디어스)
1일 국회 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열린 'ICT 혁명시대 공영방송의 가치 재정립과 공적책무 이행방안' 토론회 (사진=미디어스)

앞서 권 원내대표는 지난 7월 KBS라디오에 출연해 "민주노총 산하 언론노조가 KBS·MBC를 장악해 좌지우지하고 있는데 여당이 어떻게 방송을 장악할 수 있겠나"라고 발언해 논란을 빚었다. KBS·MBC 기자들이 '사주가 있는 회사는 사주 뜻대로 보도가 된다고 생각하나', '노조 출신 간부가 많다고 불공정 보도가 많은가' 등의 질문을 이어가자 권 원내대표는 "KBS 보도를 보라. 양심이 있으면 그런 질문을 하면 안 된다"며 답변을 거부했다. 

이에 언론노조는 권 원내대표를 허위사실 유포 혐의(명예훼손)로 경찰에 고소했으며 관련 언론보도에 대한 정정 및 반론보도를 이끌어냈다. 동아일보는 지난달 24일 A28면 1단에 <[반론보도] 5월 19일자 "[오늘과내일] 민주당의 ‘KBS·MBC 영구장악법’ 꼼수” 관련>을 게재했다. 동아일보는 "본보는 공영방송 운영위원 17명 추천권을 대부분 언론노조가 갖도록 설계됐다는 취지로 논평했다"며 "이에 대해 언론노조는 '공영방송 운영위원 추천권도, 공영방송 장악을 꾀한 바도 없다'고 알려왔다. 이 보도는 언론중재위원회 조정에 따른 것"이라고 썼다. 

미래한국은 같은 날 <“공영방송이 민주당·언론노조의 영원한 밥그릇인가” 정정보도문>을 내어 "사실 확인 결과 언론노조에 공영방송 운영위원 추천권이 있지 않고, 5개 공영방송사 경영권을 장악해 편파 방송을 주도한 적도 없는 것으로 밝혀져 이를 바로잡습니다"라고 공지했다. 

국민의힘이 21대 국회에서 발의한 공영방송 지배구조개선안은 여야의 공영방송 이사 추천권을 명문화했다. 그동안 여야는 공영방송 이사회를 7대 4, 6대 3 등의 비율로 나눠 추천해왔다. 이 같은 위법적 관행은 '정치적 후견주의'라는 비판을 일으키고 있다.

국민의힘은 21대 국회 후반기 들어 방송정책을 관할하는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를 보이콧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정청래 과방위원장이 회의 일정 협의 등에 있어 독단적인 상임위 운영을 하고 있다는 이유로 정부부처 결산 회의에 불참하고 있다. 권 원내대표와 윤 의원은 과방위 소속이다. 

국민의힘은 지난 7월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정연주 방송통신심의위원장 사퇴, KBS 수신료 자율납부·폐지 등을 주장하며 원구성 협상 막판까지 과방위원장 자리를 요구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