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전국언론노동조합 민주언론실천위원회(이하 언론노조 민실위)가 올해 3월부터 6월까지 언론중재위원회에 조정 신청한 언론노조 혐오 보도·논설 12꼭지 중 11꼭지가 삭제(2건), 정정보도(1건), 반론보도(8건) 처리됐다. 

언론노조는 나머지 한 꼭지인 조선일보 칼럼에 대해 언론중재위 조정이 불성립 돼 소송을 계획했지만, 조선일보가 정정 알림없이 수정했다고 전했다. 

지난 5월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6개 언론현업단체(방송기자연합회·전국언론노동조합·한국기자협회·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한국영상기자협회·한국PD연합회)는 '공영방송 정치독립 5월 입법 총력집회'를 진행한 모습 (사진=미디어스)
지난 5월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6개 언론현업단체(방송기자연합회·전국언론노동조합·한국기자협회·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한국영상기자협회·한국PD연합회)는 '공영방송 정치독립 5월 입법 총력집회'를 진행한 모습 (사진=미디어스)

21일 언론노조 민실위는 '기본 잃은 저널리즘-언론노조 혐오 보도·논설 대응결과'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내고 삭제·정정·반론보도 처리된 사례를 공개했다. 이들 보도는 언론노조가 더불어민주당·문재인 정부와 모종의 관계를 맺고 '정권 대변인' 역할을 하면서 공영방송을 장악했다는 내용으로 민주당이 당론으로 발의한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안'을 비난했다. 

언론중재위 조정 결과, 매일신문은 4월 19일자 <언론·시민사회단체 "민주당 방송법 개정안, 전국민적 저항에 직면할 것>, 4월 29일자 <"방통위법 개정안 내용 경악스럽다"… 민주당 단독 처리 비판> 기사를 삭제했다. 미래한국은 5월 10일자 인터뷰 기사 <"공영방송이 민주당·언론노조의 영원한 밥그릇인가">에 대해 정정보도를 게재했다. 

시사포커스는 4월 20일자 기사 <KBS 직원연대, 언론노조 KBS본부 노보 '지배구조 개선' 옹호 글 반박>에 대한 반론보도를 게재했다. 시사포커스는 ▲공영방송 지배구조를 개선해야 한다는 강형철 숙명여대 교수의 기고가 언론노조와 보조를 맞춘 것 ▲언론노조의 이중성과 반개혁적 반민주적 행태에 대한 문제제기부터 해야 한다 등 KBS 직원연대 주장을 인용, 보도했다.

이에 대해 언론중재위는 "언론노조는 '강 교수와 보조를 맞춘 바 없고, 이중성을 드러냈거나 반개혁적 반민주적 행태를 보인 적도 없다'고 알려왔다"는 반론보도를 게재하도록 조정했다. 

언론노조 민실위 보고서 갈무리
언론노조 민실위 보고서 갈무리

뉴데일리 4월 14일자 <박한명 칼럼-새 정부 미디어 혁신의 본질 '언론노조 바로보기'>, 5월 24일자 기사 <"공영방송·언론노조 상시 감시"…'국민언론감시연대' 출범>, 펜앤드마이크 6월 10일자 기사 <"언론이 대한민국 민주주의를 위협, 언론독재 카르텔을 깨겠다"… 공정언론국민연대 오늘 창립>에 반론보도가 게재됐다.

이들 기사는 ▲언론노조가 공영방송을 장악하고 방송 편성에 개입했다 ▲특정 정당과 협약을 맺고 이들의 선거 승리를 위해 기여했다 ▲선거가 끝난 뒤엔 주요 공공기관·기구에 직접 참여해 정권의 대변인 역할을 해 왔다는 내용이다. 

특히 펜앤드마이크는 언론중재위 참석 전 조정대상 문단을 통째로 지웠다고 언론노조는 전했다. 언론중재위 서울제3중재부는 펜앤드마이크의 문단 삭제를 두고 '언론노조 측 이의제기로 8월 2일 해당 기사를 수정했다'고 적시하도록 했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도 반론보도를 게재했다. 조선일보는 5월 25일자 사설 <'내로남불'로 정권 잃고도 또 방송 장악 내로남불>에서 공영방송 운영위원 25명 추천권이 언론노조에 있다고 암시했다. 동아일보 5월 19일자 칼럼 <오늘과 내일-민주당의 'KBS·MBC 영구장악법' 꼼수>도 크게 다르지 않다. 

언론노조 민실위는 "'정정'이 마땅해 보였으나 언론자유 맨 앞이라 할 '사설'을 두고 정정 보도를 내게 하기는 어렵다는 게 언론중재위 입장"이라며 "이 사설이 조선일보 윤리규범 가이드라인 '(논설은)정확하고 엄격한 사실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 등의 규정을 지켰다고 볼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언론노조 민실위 보고서 갈무리
언론노조 민실위 보고서 갈무리

월간조선은 5월 23일자 기사 <공영방송-언론노조 등 감시하는 시민단체 뜬다>에 대한 반론보도를 게재했다. 하지만 조정 심문에 앞서 월간조선은 언론노조 출신 인사들이 특정 정당의 공천을 받아 정계에 진출하고, 특정 정권 추천으로 공공기관 등에 직접 참여한 사례를 언론중재위원회에 제출했다고 한다. 

이에 대해 언론노조 민실위는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 강인선 대변인이 조선일보와 월간조선에 있었고, 김용태·김윤환·최병렬·서청원 등 수많은 조선일보 출신이 박정희·전두환·김영삼 정부를 비롯한 여러 정권에서 일했다고 해서 조선일보가 직접 참여해 정권 대변인 노릇을 했다고 말할 순 없지 않느냐'는 반박에 아무런 답변도 내놓지 못했다"고 전했다. 

3월 15일자 칼럼 <동서남북-"정권은 바뀌어도 방송은 안 바뀔 것">은 언론중재원회에서 '조정 불성립' 됐지만 조선일보는 알림 없이 조정대상 문구를 수정했다. 해당 칼럼은 언론노조를 '친문이어서 정치 편향 방송을 계속하는 집단'으로 규정하는 내용이다. 

언론중재위원회는 '언론노조가 친문이어서 정치 편향 방송을 계속하거나 정부 인사를 쫓아낸 적이 없고, 민주당 홍위병으로 나서 누군가를 감싸지도 않았다'는 문구의 반론 보도를 권했으나 조선일보는 거부했다. 조선일보는 '언론노조 MBC본부 민주방송실천위원회'에서 낸 보고서를 '언론노조 산하 민주언론실천위원회'에서 냈다고 보도한 부분에 대해서도 정정을 거부했다. 

이에 언론노조는 조정 불성립에 따른 후속조치로 소송을 준비했으나 조선일보는 별다른 알림없이 언론중재위원회가 권유한 정정 문구를 수정했다. 언론노조 민실위는 조선일보가 5월 25일자 사설과 관련해 '언론노조가 특정 정당과 가깝다거나 방송 단체를 장악하고 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라고 알려왔다'는 반론보도를 한 사실 등을 고려해 따로 소송하지 않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