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한국기자협회가 ‘비판보도 차단 문의’ 논란이 불거진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장에 대해 “과방위원장을 두고 언론자유 침해란 말이 나오는 자체가 문제”라며 책임을 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자녀 결혼식’ ‘MBC 보도본부장 퇴장’ 논란에 대해 사과한 최 위원장은 해당 의혹을 [단독]으로 보도한 한겨레에 대해 불만을 토로했다. 

기자협회는 31일 성명을 내어 “특히 언론의 독립성을 보장할 책무를 지닌 과방위원장이 독선적 행보, 대결적 구도를 이어가는 데 심각한 유감을 표한다”면서 ‘MBC 보도본부장 퇴장 조치’와 '비판보도 접속 차단 문의' 논란을 거론했다. 

3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종합감사에서 최민희 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3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종합감사에서 최민희 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 29일 한겨레는 최 위원장실 관계자가 지난 7월 인터넷 언론 고발뉴스TV 영상에 대해 접속차단 등의 처분이 가능한지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문의했다고 [단독] 보도했다. 또 최 위원장실은 보도 당사자인 이상호 기자에게 ‘해당 영상에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 내용이 있어 즉시 삭제한다고 요구했다’는 메일을 보냈고, 실제로 해당 영상은 비공개 처리됐다. 이 기자는 한겨레에 “매우 부당하며 언론 탄압이라고 느꼈다”고 말했다. 

기자협회는 “과방위원장이 언론을 압박하고 자신의 직위를 사적 민원처리 수단으로 쓴다는 비판이 나와도 이상하지 않다”고 했다. 기자협회는 “비판 기사를 쓴 매체에 반론권을 요청하거나 언론중재위원회에 정정·반론 보도를 청구하는 방법이 있다”며 “건전한 언론의 역할과 자유를 주창해 온 과방위원장이라면 스스로 언론을 향한 최소한의 절차와 규범에서 더 엄격할 태도를 보일 필요가 있지 않겠는가”라고 반문했다. 

기자협회는 “최 위원장이 책임 있는 해명이나 사과 대신, 진영 논리에 기반한 격한 언사, 언론과 대결 구도를 계속 이어가고 있다”며 “과방위원장을 두고 언론자유 침해란 말이 나오는 자체가 문제다. 최 위원장은 언론 전반을 향한 부적절한 행위에 대해 공개 사과하고 책임져야 한다”고 말했다. 

한겨레 보도 갈무리
한겨레 보도 갈무리

같은 날 한겨레는 사설 <최민희 과방위원장, 스스로 책임지는 모습 보여라>에서 “과방위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피감 기관에 그런 문의를 하는 것만으로도 압력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겨레는 ‘MBC 보도본부장 퇴장’ 조치를 거론하며 “방송 미디어를 관장하는 과방위원장은 언론 자유를 존중하고 지켜줄 책무가 크다. 그런데 최 위원장은 자신과 관련된 보도에 대해선 객관적 판단을 제대로 못 하는 건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한겨레는 “‘아무것도 잘못한 게 없다’는 식으로 대응하니, 계속 의혹이 불거지고, 말의 앞뒤가 안 맞는 일이 반복돼 이런 상황을 자초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겨레는 “일련의 인식과 태도에 비춰볼 때 최 위원장의 정상적 직무 수행이 가능할지 의문”이라며 “이재명 정부와 당에 더 이상 부담이 되지 않도록 멸사봉공의 자세를 취하는 게 바람직하다. 민주당도 최 위원장이 민심에 끼치는 악영향을 무겁게 인식하기 바란다”고 했다. 

전날 최 위원장은 과방위 국정감사에서 ‘MBC 보도본부장 퇴장’ 조치에 대해 권태선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장에게 사과했다. 반면 최 위원장은 ‘비판 보도 차단 문의’ 논란에 대해 반박하면서 7월 종료된 사안에 대해 한겨레가 자신이 허위조작정보근절법을 대표 발의한 뒤 이러한 내용의 기사를 쓴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 위원장은 방미통심의위 노조 위원장에게 “악의적 동영상, 허위조작 동영상, 왜곡 동영상과 관련해 방통심의위에 문의하는 일이 없나”라고 물었고 “절차를 문의한 거라면 크게 문제있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는 답변이 나왔다. 이어 최 위원장은 한겨레 보도를 거론하며 “저는 방통심의위에 문의한 적도, 제재한 적도 없다. 물어보니 우리 비서관이 어떤 절차를 통해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문의했다고 한다”며 “발단은 이상호 기자의 페이스북”이라고 했다. 최 위원장이 지적한 페이스북 글은 ‘대통령은 방송3법 급행처리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생각인데, 최 위원장이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내용이다. 

30일 국회 과방위에서 최민희 위원장이 공개한 보좌진과 방통심의위 국회협력관이 나눈 카카오톡 메시지 (사진=국회방송 갈무리)
30일 국회 과방위에서 최민희 위원장이 공개한 보좌진과 방통심의위 국회협력관이 나눈 카카오톡 메시지 (사진=국회방송 갈무리)

최 위원장은 카카오톡 메시지를 공개하며 “‘누가 벌써 대통령을 흔드나’ 저 영상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몰라 비서관이 방통심의위 직원에게 문의한 것”이라면서 “이걸(한겨레가) ‘최민희 갑질’이라 표현했다가, 제가 한 게 아니니 ‘(최민희) 쪽’으로 (기사 제목을)바꾸었다. 아무리 사실 확인을 해줘도 받아들이질 않고 있다”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또 지난 7월 사건을 10월 말에 보도한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메시지를 보면 최 위원장 비서관은 방미심의위 국회협력관에게 고발뉴스 유튜브 보도 링크를 보내며 ‘이거 다 사실과 맞지를 않거든요? 방심위에 신고하면 뭐가 됨? 뭘 어케 신고해야 함?’이라고 보냈다. 이에 국회협력관은 ‘지난 21대에서도 뉴스타파 심의가 표현의 자유, 언론의 자유 침해라는 지적들이 있었습니다’라고 답했다. 

최 위원장은 “(유튜브 보도는)비판 보도가 아니라 명백히 허위, 왜곡 보도였다. 결국 이상호 기자는 저에게 유감을 표했고 사과를 했다”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고 이 사안을 끝냈는데 이것을 한겨레가 허위조작정보 근절법을 제가 발의한 이후 이렇게 쓴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 위원장은 “단순한 문의였다”며 “이것이 피감기관에 대한 갑질이라면 왜 그런지 알고 싶고, 이게 왜 방통심의위 사유화인지 알 길이 없다”고 강조했다. 

한편 박수현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31일 오전 “당 지도부는 최 위원장 논란을 포함해 올해 국감을 돌아보는 시간을 갖겠지만, 그것이 상임위원장을 사퇴시키는 문제를 전제로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