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홍익표 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위원장의 'MBC 보도본부장 국정감사 퇴장' 조치에 대해 "이런 일이 반복되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홍 전 원내대표는 MBC는 공식적인 국정감사 대상도 아니고, 그동안 개별 보도에 대한 국회의원들의 지적은 지양되어 왔다고 짚었다. 

24일 홍 전 원내대표는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유튜브 연장방송에 출연해 "통상 MBC의 경우 정식 국감 대상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비공개로 (업무보고를)진행한다"며 "대개 경영·인사·운영 관련 질의를 하는 것으로 국한한다. 개별 보도에 대한 질의를 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고 말했다. 

홍익표 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사진=연합뉴스)
홍익표 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사진=연합뉴스)

MBC는 상법상 주식회사로 국감 피감기관이 아니다. MBC 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가 국감 피감기관이다. 다만 '공영방송 MBC'의 사회적 영향력과 책무를 고려해 국감 기간 '비공개 업무보고'가 관례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홍 전 원내대표는 지난 21대 국회에서 과방위원, 문화체육관광위원장 등 언론 관련 상임위원을 역임했다. 

홍 전 원내대표는 "제가 알기로 MBC 규정으로도 보도본부장이 개별 보도에 관여하는 것은 안 되게 되어 있다"며 "보도국장이 책임을 지는 것이지 보도본부장 책임이 아니다. 그리고 (최 위원장이)개별 (보도)건에 대해 일일이 얘기하는 것도 적절하지 않다"고 했다. 

홍 전 원내대표는 "정 물어보려했다면 개별 건이 아니라 과방위원장으로서 '과방위를 왜 그렇게 막 나가는 상임위처럼 보도했나' 이렇게 질의할 수는 있다. 그런데 최 위원장 개인의 문제인 것처럼 되어버리면서 더 문제가 꼬였다"고 했다. 

같은 방송에서 오신환 전 국민의힘 의원은 "국감이 늘 무용론에 휘둘리고 국민 비판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번 22대 국감만큼 꼴불견인 국감은 없었던 것 같다"며 "특히 법사위·과방위가 문제다. 수십년 국회 관행을 보면 국회의장이 국회의원을 퇴장시킨 사례가 두세 차례 있었다고 하는데, 추미애·최민희 위원장은 수시로 퇴장을 명령한다"고 비판했다. 

오 전 의원은 "국회의원뿐 아니라 보도본부장을 퇴장시켰다는 것인데, 그게 본인의 권한이라고 생각하는 굉장히 우려스러운 의사진행"이리며 "이것이 전통으로 남게 되면 타 상임위원장도 계속 퇴장을 남발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24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유튜브 연장방송 갈무리
24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유튜브 연장방송 갈무리

오 전 의원은 최 위원장의 언론관을 지적했다. 오 전 의원은 "언론에 대한 최 위원장의 인식은 '자기 편 다른 편'이다. 거기서 섭섭함을 갖고 과방위원장으로서 특정 보도에 대해 야단칠 수 있다는 인식이 극명하게 드러났다"며 "언론관 자체가 굉장히 왜곡되어 있다. 자신은 '언론개혁 중심에서 역할을 했는데 언론이 왜 나한테 저렇게 보도를 하지' 왜곡된 시각이 있다"고 했다. 

오 전 의원은 "어쩌다가 MBC가 국민의힘의 방송이 됐냐"고 했다. 오 전 의원은 "피감기관을 갑을관계로 인식하는 것이다. 과방위원장이 지적하는데 그걸 수용하지 않는 태도, 보도본부장이 보도 건에 답변할 수 없다고 한 부분을 본인이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이라며 "과방위원장이 국감 자리에서 우월적 지위를 가지고 갑질하듯이 저런 식으로 하는 것은 언론 침해·외압으로 느껴질 수밖에 없다"고 했다. 

홍 전 원내대표는 "보도에 의견을 낼 수 있지만 보도본부장을 퇴장시킨 것, MBC가 '친국힘 언론'이라고 한 것, 이러면 편 가르기가 된다"며 "개별 의원이나 언론단체에서 그런 프레임을 만들 수 있겠지만 방송 정책을 아우르는 과방위원장이 공개적인 자리에서 할 내용이 아니다"라고 했다. 

더불어민주당 언론개혁특별위원회 최민희 위원장이 지난 20일 국회 언론개혁특위 허위 조작정보 근절안을 발표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언론개혁특별위원회 최민희 위원장이 지난 20일 국회 언론개혁특위 허위 조작정보 근절안을 발표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MBC 기자회와 복수의 관계자 설명을 종합하면, 최 위원장은 지난 20일 MBC 국정감사(비공개 업무보고)에서 19일자 MBC '뉴스데스크' 리포트 <고성·막말에 파행만..'막장' 치닫는 국감>을 문제 삼았다. MBC는 민주당 김우영 의원과 박정훈 의원 간 욕설 문자 공방, 최 위원장의 현장기자 퇴장 조치를 비판했다. 최 위원장은 비공개 업무보고에서 해당 보도가 편파적이라는 취지의 질문을 MBC 보도본부장에게 한 것으로 전해졌다. MBC 보도본부장이 '개별 보도 사안에 대한 질의는 부적절하다'고 답변하자 최 위원장은 '그냥 넘어가지 않겠다'며 퇴장을 명령했다고 한다.

최 위원장은 MBC 보도본부장이 국민의힘의 편파보도 비판 질의는 놔두고 자신의 질의에만 반박을 했다는 점을 문제삼고 있다. 최 위원장은 지난 23일 배포한 입장자료에서 "어느 의원은 여러 지역 MBC의 유튜브 영상을 두고 '친민주당'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 하지만 이 지적에 부적절하다고 항의한 MBC 임원은 없었다"며 "오직 저의 지적에 대해서만 MBC 보도본부장이 항의했다"고 했다. 최 위원장은 "국감 업무보고를 하는 자리에 참석한 MBC 임원이 국회의원의 질의에 대해 부적절하다고 '평가'하며 답변을 완강하게 거부했기 때문에 그 자리에 있을 필요가 없어 나가라 한 것"이라며 "답변을 안 하겠다는 분이 굳이 그 자리에 앉아 있을 필요는 없었다"고 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