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노하연 인턴기자]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특별감찰관이 관철돼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특별감찰관 임명이 여권 내에서 급부상하게 된 계기인 이른바 ‘김건희 리스크’를 ‘국민들이 우려하는 지점’이라고 에둘렀다. 또한 '김건희 특검법'에 대해 별다른 입장을 표명하지 않았다. 현재 여당 내에서 친윤계와 친한계가 특별감찰관을 두고 샅바 싸움 중이다. 

한 대표는 3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특별감찰관 질문을 받았다. 이에 대해 한 대표는 “김 여사 관련 문제에 대해 우려와 걱정이 있고, 그 문제가 주요한 부분이라는 것은 분명하다”면서 “특별감찰관은 권력을 감시하고 문제를 예방하는 데 굉장히 중점을 두는 기관이다. 지금 그런 역할과 기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답했다.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3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대표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3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대표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특검법이 아닌 특별감찰관으로 김건희 씨 의혹을 해결할 수 있냐'는 기자 질문에 한 대표는 “특별감찰관이 있었으면 이런 문제는 많이 안 생길 수 있지 않았겠냐”며 “중요한 건 정부여당이 국민의 걱정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응하고, 변화와 쇄신의 주체가 되기 위한 태도와 입장을 보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 대표는 또 “그런 의미에서 특별감찰관 제도를 추진하는 것이 큰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 대표는 특별감찰관 임명이 안 될 경우, 김건희 특검법을 자체 발의할 계획이 있냐는 질문에 “특별감찰관은 관철돼야 하고 그렇게 될 것. 그것도 안 해서 어떻게 민심을 얻겠냐. (특별감찰관은)미래에 관한 것이고, 앞으로 더 조심하겠다는 건데, 그럼 앞으로 조심하지 않을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한 대표가 이날 기자회견문 전체를 통틀어서 윤석열 대통령을 언급한 건 단 1회였고, 김건희 씨 언급은 아예 없었다. 한 대표는 “집권당 대표로서 대통령과 회동했다”며 “당정이 시너지를 높여 상생해야만 나라의 퇴행을 막는 정권 재창출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또 한 대표는 “국민들께서 우려하시는 지점들에 대해 과감하고 선제적으로 해결책을 제시하고 관철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건희 리스크’는 ‘국민들이 우려하는 지점’으로 표현됐다.  

한 대표는 문제의 진단 없이 "우리 국민의힘은 지금 절체절명의 위기 상황"이라며 "지금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우리에게 다음은 없다"고 말했다. 이어 "‘정권 재창출’의 주체가 ‘국민의힘’이 되려면, 우리 모두가 ‘문제해결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면서 "우리 모두가 진정 사는 길이고, 전체주의적 선동세력을 극복하고 대한민국이 마침내 사는 길"이라고 말했다. '전체주의적 선동세력'은 윤 대통령이 자주 사용하는 표현이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