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검찰이 ‘윤석열 명예훼손 사건’ 수사와 관련해 언론학자들까지 통신조회를 한 것으로 확인됐다. 

김재영 언론정보학회장(충남대 언론정보학 교수)은 6일 성명을 내어 “학회원들의 통신정보까지 조회한 것이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김 학회장은 “검찰은 왜 해당 사건과 아무런 관계가 없는 언론학자들의 이름과 전화번호, 통화기록을 수사 목적으로 들여다보았나"라며 "무엇 때문에, 무슨 근거로 학자들까지 이런 감시를 받아야 하나”라고 따져 물었다. 

한국언론정보학회 페이스북 갈무리
한국언론정보학회 페이스북 갈무리

김 학회장은 “권력에 대하여 비판할 자유를 위협하려는 목적으로 자행된 ‘민간인 사찰’과 다르지 않다”며 “대통령과 공권력의 심기를 거스르면 검찰의 ‘블랙리스트’에 오를 수 있다는 협박 예고와 다르지 않다. 발언의 자유, 연구의 자유를 위축시키려는 의도와 목적이라는 의심을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 학회장은 “해당 사건과 아무런 관계없는 언론학자들의 통신자료를 ‘사찰’한 검찰을 강력히 비판한다”며 “상식과 민주적 절차를 무력화하고 있는 대한민국 공권력의 수사권 남용 행위를 반대하며 검찰의 책임 있는 해명과 답변, 조치를 요구한다”고 말했다.

지난 2일 ‘윤석열 대통령 명예훼손’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는 지난 1월 전·현직 언론인을 포함해 야당 의원에 대한 대규모 통신조회를 실시하고 7개월 뒤에서야 통보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 통신조회 통지 문자메시지)
(사진=연합뉴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 통신조회 통지 문자메시지)

한민수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6일 기자회견을 열고 민주당에서만 최소 139명이 통신 조회를 받았다고 밝혔다. 전현직 국회의원 21명, 보좌진 68명, 당직자 43명 등이다. 통신조회에 포함된 민주당 의원은 강득구, 곽상언, 김병기, 김승원, 김우영, 김준혁, 노종면, 맹성규, 박균택, 박범계, 박주민, 부승찬, 양문석, 이재명, 전용기, 정성호, 진선미, 추미애, 허종식 의원(가나다순) 등이다.

또 구순의 언론계 원로인 김중배 전 MBC 사장, 봉지욱 뉴스타파 기자의 딸을 비롯해 일반인들도 대거 통신조회 대상에 포함됐다. 일각에서 이번 통신조회 규모가 10만 명에 이를 것이라는 주장이 나온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