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이 이른바 ‘VIP 격노설’이 불거진 지난해 7월 31일 ‘02-800-7070’ 대통령실 전화를 받아 통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주 의원은 대통령실 법률비서관이었다. 

‘02-800-7070’은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채 상병 순직사건’ 이첩 보류 결정 직전 통화했던 대통령실 전화번호로, 이 통화의 주체를 밝히는 게 ‘채상병 수사외압 의혹’ 진상규명의 핵심이다. 주 의원은 “1년 전 44초 통화한 것을 누가 기억하냐”고 반발했다. 주 의원은 검사 출신으로 '기억나지 않는다'는 수사 피의자의 발언을 많이 접했을 법하다.  

국민의힘 주진우 의원이 19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발의 요청' 국민동의 청원 관련 청문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국민의힘 주진우 의원이 19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발의 요청' 국민동의 청원 관련 청문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이성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9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윤석열 대통령 탄핵 청원 청문회’에서 “지난해 7월 31일 최 상병 순직사건 이첩 보류 결정 전 용산(대통령실) ‘02-800-7070’ 전화번호로 주진우 (당시) 법률비서관과 통화했다는 사실이 나왔다”고 말했다.

이어 이 의원은 “회피가 필요한 의원이 여기 있는데, 당연히 위원회에서 배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장경태 의원도 “수사 외압과 이첩 보류 등의 의혹이 집중됐던 지난해 7월 31일과 8월 2일 (대통령실과)통화한 분은 법사위원으로서 질의할 자격이 없다”며 “(주 의원은)증인석에서 이야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주 의원은 “지금 공수처에서 이미 국방부 관계자에 대한 통화내역을 광범위하게 조회했고, 그 과정에서 저는 국방부 장관, 차관, (법무)관리관 등 국방부 관계자와 통화한 내역이 단 한건도 없다”며 “오히려 이 사건과 무관하다는 게 입증됐다”고 말했다. 

주 의원은 “대통령실 참모로서 대통령실 전체 법률 리스크를 관리하는 업무를 맡았기 때문에 저와 통화 한번 해보지 않은 비서관, 간부들이 거의 없을 것”이라며 “오히려 1통밖에 없다는 것은 의혹 제기에 대한 근거가 없다는 것”이라고 했다.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19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발의 요청' 국민동의 청원 관련 청문회에서 증인선서를 거부한 채 자리에 앉아 있다. (사진=연합뉴스)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19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발의 요청' 국민동의 청원 관련 청문회에서 증인선서를 거부한 채 자리에 앉아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청래 법사위원장이 “‘02-800-7070’ 번호로 누구랑 통화했나” 묻자 주 의원은 “이렇게 편파적으로 진행하는 게 어디 있나”라고 반발했다. 

정 위원장이 재차 “밝힐 수 없다는 것이냐”고 따지자 주 의원은 “그게 아니라 1년 전에 44초 통화한 사람을 누가 기억하나”라면서 “프레임을 씌워서 대통령과 통화한 것 아니냐고 말씀하시는데 대통령이 비서관하고도 통화하나”라고 반문했다.

주 의원은 지난 4일 새벽 ‘채상병 특검법 반대’ 필리버스터 과정에서 채 상병 순직을 ‘군 장비 파손’에 비유하는 망언을 해 비판이 쏟아졌다. 주 의원은 “군 장비를 파손했는데 군에서 조사하는 사람들이 나와서 일주일 만에 조사를 한 다음에 한 8명을 다 '군 설비에 대해서 파손 책임이 있으니까 너희 집에 다 압류를 해 놓고 일단 소송을 진행하겠어'라고 한다면 당하는 군 입장에서는 그 결과에 승복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주 의원은 “물론 이거는 파손 사건이 아니라 사망 사건"이라면서 "하지만 사망 사건이든 파손 사건이든 조사의 체계라든지 형평성이나 이런 것들은 같은 기준으로 적용이 되어야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야당은 주 의원의 발언을 두고 ‘도저히 용납할 수 없는 망언’이라며 국회 윤리위 제소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5일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최고위원회 직후 기자들에게 “윤리위 제소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며 “국민의힘 차원에서 대국민 사과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해 대국민 사과도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같은 날 김성열 개혁신당 수석대변인은 “돌아가신 순국선열이 현충원에서 벌떡 일어날 만한 반사회적, 반인격적 발언”이라고 규탄했다. 

이에 대해 주 의원은 “'사망 사고는 매우 사안이 중대하므로 더욱 더 철저히 조사해서 책임 소재를 분명히 가려야 한다’는 취지인데, 이 말을 어떻게 ‘순직해병의 죽음을 장비 파손에 빗댔다’고 마음대로 해석할 수 있나”라면서 맞제소하겠다고 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