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현 정부 출범 이후 최저 수준인 29%를 기록했다. 최근 ‘양평-서울 고속도로 김건희 일가 특혜 의혹’, ‘윤 대통령 장모 최은순 씨 구속’, ‘폭우 피해 부실대응’ 등 정부·여당 악재가 연이어 터지고 있으나, 민주당이 반사이익을 얻지 못하는 모양새다.
한국갤럽이 28일 발표한 7월 4주차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의힘 지지율은 지난 조사 대비 2%p 상승한 35%, 민주당은 1%p 하락한 29%다. 무당층은 31%로 4주 연속 30%대를 기록했다.

민주당 지지율은 현 정부 출범 이후 최저 수준이다. 광주/전라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국민의힘 지지율이 우세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민주당 지지율이, 20·60·70대는 국민의힘 지지율이 높았다. 무당층이 가장 많은 연령대는 20대(50%)이며 30대 42%, 40대 33%, 50대 27%, 60대 16%, 70대 이상 19% 등이다.
윤석열 대통령 국정운영 긍정평가는 지난 조사대비 2%p 상승한 35%, 부정평가는 3%p 하락한 55%다. 대구/경북과 60·70대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를 앞섰다. 지역별 윤 대통령 부정평가는 서울 57%, 인천/경기 60%, 대전/세종/충청 50%, 광주/전라 80%, 대구/경북 31%, 부산/울산/경남 48%다.
윤 대통령 직무수행 부정평가 이유는 '외교' 16%, '경제/민생/물가' 9%, '독단적/일방적' 8%, '전반적으로 잘못한다' 6%,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 5%, '재난 대응' 5%, '소통 미흡 5% 등이다.
윤 대통령 직무수행 긍정평가 이유는 '외교' 31%, '결단력/추진력/뚝심' 7%, '노조 대응' 6%, '국방/안보' 5%, '공정/정의/원칙' 4%, '주관/소신' 3%, '열심히 한다/최선을 다한다' 3% 등이다.
자신의 성향을 진보층이라고 응답하는 비율은 감소하고, 보수층은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갤럽은 “성향 보수층 비율은 2016년 31%에서 2017년부터 20%대 중반으로 진보층에 뒤지다가 2021년 들어 점차 증가해 2022년 상반기 30%를 웃돌기도 했다”며 “진보층 비율은 2016년 25%에서 2017년 37%로 크게 늘었고 이후 서서히 감소해 2021년부터는 30%를 밑돈다”고 분석했다.
이번 한국갤럽 여론조사는 지난 25일부터 27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2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 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14.1%이며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는 ±3.1%p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거대양당 모두 싫다' 무당층, 윤 정부 출범 이후 최대
- 윤 대통령 지지율 6%p 하락…올해 최대폭
- "내년 총선, 정부견제 위해 '야당' 다수 당선돼야" 50%
- 윤 대통령 지지층 49%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걱정된다"
- 국민 60% "김기현·이재명 역할 못한다"
- 무당층 총선전망, '야당 승리' 49%…'여당 승리' 22%
- 국민 53% "국민의힘, 내년 총선에 절대 찍기 싫은 당"
- 거대양당 비호감도 61% 동률…'정권 심판론' 48%
- 한겨레 "민주당 총체적 난국…출구가 안 보인다"
- 민주당 지지율 하락세…국민의힘과 격차 더 벌어져
- 민주당 혁신위에 기대했던 것은 무엇일까
- 민주당, 서울 지지율 10%p 상승 37%…국민의힘 34%
- 국민 75%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걱정된다"
- 조선일보 "전통 민주당 대표의 단식, 흑역사로 남을 것"
- 이재명 단식 카드는 셋 중에 하나
- "차기 총선 야당이 다수당 돼야" 2%p 상승 50%
- 윤 대통령 '부정평가,' 5개월 만에 60%
- '검찰의 이재명 구속영장, 정당하다' 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