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이 자녀 결혼식 축의금과 관련해 국민권익위원회에 피신고된 데 이어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에 대한 신고서가 접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대표는 최 위원장 자녀 결혼식에 50만 원의 축의금을 냈다가 반환받았다. 

29일 KBS 보도에 따르면 권익위는 국정감사 기간 중 국회에서 자녀 결혼식을 열고 피감기관 등으로부터 축의금을 받은 것과 관련해 최 위원장에 대한 청탁금지법 위반 조사 여부를 검토 중이다. 이날 이 대표에 대한 신고도 접수됐다.

최민희 과방위원장과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 (사진=연합뉴스)
최민희 과방위원장과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 (사진=연합뉴스)

신고인은 “이준석 대표가 직무관련성에 무감각한 채 '청탁금지법'상 위반 소지가 있는 축의금 제공을 밝힌 것을 보며 우려를 금할 수 없다”면서, “최민희 위원장도 결혼식을 마치고 9일 만에 환급을 진행한 것이 확인된 만큼 사후 반환의 면책이 될 수 없다"고 밝혔다.  

최 위원장은 지난 18일 국회 사랑재에서 자녀의 결혼식을 열었다. 당시 과방위 피감기관, 기업 등이 화환 축의금을 전달했다. 26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최 위원장이 텔레그램을 통해 특정기업, 언론사 간부, 정치인들의 이름과 액수가 적힌 축의금 명단을 보좌진에게 전송하는 모습이 언론 카메라에 포착됐다. 

최 위원장 메시지에 대기업 관계자 4명, 지상파 방송사 관계자 3명의 이름과 함께 100만 원 등 구체적인 액수가 적혔다. 최 위원장은 “900만원은 입금 완료” “30만원은 김 실장에게 전달함” 등의 메시지를 연달아 전송했다. 한 이동통신사 대표는 100만 원, 과학기술원 관계자 20만 원, 정당 대표 50만 원의 축의금을 전달했다.  

최민희 의원실은 같은 날 공지를 내고 “상임위 관련 기관·기업 등으로부터 들어온 축의금, 상임위 등과 관련 없으나 관례 이상으로 들어온 축의금을 즉시 반환하기로 하고 그 명단과 금액을 전달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서울신문 '단독' 피감기관서 축의금 받은 최민희, 본회의 중 ‘환급 문자’ 포착 (보도화면 갈무리)
서울신문 '단독' 피감기관서 축의금 받은 최민희, 본회의 중 ‘환급 문자’ 포착 (보도화면 갈무리)

축의금 명단의 정당 대표는 이 대표다. 이 대표 측은 결혼식 9일 만인 지난 27일 최 위원장 측으로부터 축의금 50만 원을 돌려받았다고 밝혔다. 그러나 청탁금지법 8조1항은 '공직자 등은 직무 관련 여부 및 기부·후원·증여 등 그 명목에 관계없이 동일인으로부터 1회에 100만 원 또는 매 회계연도에 300만 원을 초과하는 금품 등을 받아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2항은 '직무와 관련해 대가성 여부를 불문하고 금품을 받아서는 안 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동법 8조6항은 ‘공직자 등은 직무와 관련해 다른 공직자 등에게 금품을 제공하거나 제공 의사를 표시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해 금품 제공자도 처벌 대상이 된다. 

대통령 시행령에 ‘원활한 직무수행이나 사교·의례·경조사 목적’의 예외 조항을 두고 있다. 경조사비로 5만원(화환 10만원)까지 허용하지만, 직무 관련성이 없는 경우에만 해당된다. 또 권익위 가이드라인은 따르면 공직자가 수수 금지 금품을 받았을 경우 “지체없이 반환하거나 거부 의사 표시를 해야 하며, 반환이 늦어지면 위반이 성립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최 위원장은 결혼식 9일 만에 축의금을 반환했다. 

10월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에 대한 종합감사에 최민희 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국민의힘 의원들 자리에 최 위원장의 상임위원장 사퇴를 요구하는 팻말이 붙어 있다. (사진=연합뉴스)
10월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에 대한 종합감사에 최민희 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국민의힘 의원들 자리에 최 위원장의 상임위원장 사퇴를 요구하는 팻말이 붙어 있다. (사진=연합뉴스)

최 위원장은 ‘국감 중 자녀 결혼식’ 논란에 대해 “양자역학을 공부하느라 딸 결혼식에 신경을 못 썼다”고 해명해 빈축을 샀다. 또 최 위원장 자녀가 SNS에 본인 결혼 날짜를 지난해 8월로 표기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최 위원장은 지난 20일 MBC 비공개 업무보고에서 자신이 등장하는 보도를 문제 삼고, 보도본부장을 퇴장 조치해 ‘언론 압박’이라는 비판이 일었다. 최 위원장이 비판 여론에 대해 “MBC의 친 국힘 편파보도가 언론자유인가”라고 대응해 기름을 부었다. 

정청래 민주당 대표가 직접 최 위원장에게 전화해 ‘MBC 보도본부장 퇴장 조치’에 대한 경위 파악에 나섰다. 29일 박수현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기자들에게 이 같은 소식을 전하며 “당대표가 직접 경위 파악을 위해 전화했다는 것 자체가 지도부의 염려, 국민의 염려를 전한 메시지”라고 말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경위 파악 결과와 지도부의 조치 문제는 국감이 끝난 이후 여러 가지 의견을 들어볼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최 위원장은 29일 국회 과방위 국정감사에서 ‘사퇴하라’는 국민의힘 의원들의 요구에 답변을 하지 않았다. 최 위원장은 전날 오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야당이) 너무 심하게 한다”며 “나 사퇴 안 한다. 사퇴할 이유가 없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