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박대형 기자] '조희대 청문회'가 갑론을박으로 이어지고 있다. '원조 친명' 김영진 민주당 의원은 이재명 대통령 이슈가 '법사위 블랙홀'에 빠졌다고 말했다.

김영진 의원은 25일 MBC 라디오에서 "대법원장 청문회는 대단히 무겁고 중요한 사안인데 법사위가 급발진했다"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추미애 법사위원장과 국민의힘 나경원 의원의 갈등에 대해 "추 위원장의 3차 대전이라고 본다. 1차 대전은 추미애-윤석열, 2차 대전은 추미애-한동훈, 지금은 추미애-나경원의 전쟁"이라며 "추 위원장이 치른 전쟁의 결과가 좋았던 게 기억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 (연합뉴스)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 (연합뉴스)

김 의원은 중앙일보 인터뷰에서도 "국정에 사법부 이슈만 있는 게 아니다"라며 "이재명 대통령이 경제와 대미 협상, 청년 등 주요 이슈를 얘기하는데 여기에 대한 대응이나 대책을 얘기하지 못하고 법사위 블랙홀에 빠져 있다. 이런 분위기는 적절하지 않다"고 했다.

윤태곤 더모아 정치분석실장은 26일 YTN 라디오 <김영수의 더 인터뷰>에서 "대통령이 해외 순방 가 있을 때는 다른 스피커들을 끄고 그쪽 스피커에 집중하게 하는 게 통상적인 관례"라며 "대통령이 이야기하면 그게 이슈가 되고 그걸 중심으로 갑론을박이 벌어져야 하는데 여당이 그 흐름을 깨고 있다"고 강조했다.

윤 실장은 "원래 정청래 대표와 대통령실 사이에 긴장감이 있다"며 "요즘은 또 보면 정 대표와 추미애 법사위원장 사이에 긴장감이 있다. 이 대통령이 볼 때는 정 대표가 너무 세고 정 대표가 볼 때는 추 위원장이 너무 세다"고 분석했다.

윤 실장은 "공천을 받으려면 대통령한테 잘 보이는 게 유리하고 그게 당연한 이치"라며 "그런데 지금 민주당을 보면 대통령보다 강성 지지층한테 소구가 있어야 한다. 정 대표가 성공 모델이다. 지금 광주시장 나가고 전남지사 나가려는 분들 SNS를 보면 지역 이야기보다 검찰·법원을 어떻게 하자는 이야기가 더 많다"고 덧붙였다.

지난 22일 열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 추미애 법사위원장(왼쪽)과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 (사진=연합뉴스)
지난 22일 열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 추미애 법사위원장(왼쪽)과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 (사진=연합뉴스)

"대통령 유엔 연설하는데 청문회가 헤드라인" 

김준일 평론가는 "지금 언론에 공개적으로 나와서 말을 안 하는 민주당 의원들은 상당히 부글부글하고 있다"며 "법사위원들을 중심으로 각자 '자기 정치'를 하고 있다. 정청래 대표가 자기 정치를 하니 다 자기 정치 하는 거 아니냐고 불만이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김 평론가는 "민주당이 정부에 협력도 하고, 대통령이 유엔 총회에 가서 연설하면 뉴스도 만들어줘야 한다. 이게 상식적인 것"이라며 "그런데 지금 대통령 연설이 아니라 조희대 청문회가 헤드라인이 돼 버렸다. 이게 맞는 방식이냐"고 했다.

한편 김용민 법사위 여당 간사는 26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김영진 의원에 대해 "급하게 했다고 말씀하시는데 그렇게 생각하는 게 한가한 상황 인식"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국민들은 조희대 대법원의 행태에 분노하고 있다. 국회에서 당연히 그 부분에 대해 문제 제기하고 필요하면 물을 수도 있다"며 "국정조사나 청문회에 대해서는 지도부와 한참 전부터 공감대가 형성돼 있는 상태였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한편으로는 과거에 친일 청산했을 때도 이런 논란이 있었을까 싶다"며 "사법쿠데타를 정리하고 내란을 청산해 가는 과정인데 이렇게 이견이 있고 상황 인식에 대한 간극이 커서 조금 어렵다는 생각이 든다"고 부연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