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YTN이 200억 원대 규모의 제삼자 유상증자에 나선다. 배정 대상자는 최대주주인 유진이엔티다. 유상증자가 완료되면 유진이엔티의 YTN 지분율 39.2%로 법정 최대치(40%)에 육박한다.

이에 대해 전국언론노동조합 YTN지부는 “YTN을 영구장악할 수 있는 토대를 미리 마련해놓겠다는 속셈”이라며 “윤석열 정권과 YTN지분을 불법 거래한 유경선 회장 등 가담자들을 검찰에 고발해 법에 따라 처벌받게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서울 상암동 YTN 사옥 (사진=YTN)
서울 상암동 YTN 사옥 (사진=YTN)

YTN은 21일 임시 이사회를 열고 200억 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의결했다. 최대 주주 최대 주주인 유진이엔티가 주당 3523원에 신주 567만 6980주를 인수한다. 유산증자가 완료되면 최대주주 유진이엔티의 YTN 지분율이 30.95%에서 39.2%까지 높아진다. 현행 방송법은 자산총액 10조원 이하 기업은 방송사업자 지분을 최대 40%까지 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YTN은 같은 날 보도자료를 내어 유상증자에 대해 방송통신위원회의 최대주주 변경 승인 조건 중 하나라면서 “200억 원 자금조달을 통해 경쟁력 확대를 위한 초기 투자에 나서고, 이를 통해 창출된 200억 원의 현금을 재투자하는 선순환 구조를 5년 내 완성하려면 올해 투자 집행은 필수적”이라고 했다. YTN은 AI, 디지털 플랫폼, 전문인력 양성 등 방송 인프라에 집중 투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YTN지부는 “대선으로 정치 권력이 교체돼도 YTN을 영구장악할 수 있는 토대를 미리 마련해놓겠다는 속셈”이라고 비판했다. YTN지부는 “유진그룹이 소유하는 YTN 지분은 기존 30.95%에서 법정 최대치인 40%에 육박하는 39.2%까지 높아진다. YTN의 다른 대주주 지분을 모두 합쳐도 최대주주 자격을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지분율을 끌어 올리게 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YTN지부는 ‘200억 원의 자금조달이 필수적’이라는 사측의 주장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YTN지부는 “수년째 쌓여 있는 유동자산만 1천 2백억 원이 넘고, 퇴직충당금을 제외해도 4백억 원이 남는다”면서 “지금 필요한 건 연속 적자를 끊어낼 경영 전략이지 현금 투자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YTN지부는 “회사는 방통위 최대주주 변경 승인 조건에 3년 이내 400억 원 투자 항목이 명시돼 있다는 핑계도 댔다. 윤석열 2인 체제 방통위가 유진그룹을 위해 미리 YTN 장악 시나리오를 써준 데 불과하다”면서 “유진그룹이 유동성 위기에 시달리고 있는 지금 상황에서 200억 원이라는 거액을 한꺼번에 투자하겠다는 건 대선이 끝나기 전에 YTN 지분을 안정적으로 확보해놓겠다는 의도 외에 합당한 이유를 찾을 수 없다”고 했다. 

지난달 28일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과 언론노조 YTN지부가 YTN주주총회장 앞에서 '사외이사 선임' 규탄 피케팅을 하고 있다. (사진=미디어스)
지난달 28일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과 언론노조 YTN지부가 YTN주주총회장 앞에서 '사외이사 선임' 규탄 피케팅을 하고 있다. (사진=미디어스)

앞서 열린 YTN 주주총회에서 정관을 변경해 주식 종류에 ‘기명식 종류주식’을 추가, 발행할 수 있도록 했다. YTN지부는 “회사는 당시 표준약관을 준용해 YTN의 정관을 일부 업데이트했을 뿐 신주나 사채 발행 계획은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면서 “하지만  불과 한 달도 지나지않아 유진그룹이 장악한 이사회를 통해 신주 발행 안건이 통과되면서 회사의 설명은 새빨간 거짓말로 드러났다”고 말했다. 

YTN지부는 “공공성이 최고 가치이자 존재의 이유인 보도전문채널 YTN은 절대 천박한 자본에 장악당하지 않는다. 유진그룹은 각오하라”며 “모든 수단을 동원해 맞설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YTN지부는 “먼저 윤석열 정권과 YTN지분을 불법 거래한 유경선 회장 등 가담자들을 검찰에 고발해 법에 따라 처벌받게 할 것”이라면서 “또한 내란 세력과 결탁해 극우 유투버 사장을 내리꽂고 방송을 정치 선전도구로 삼기 위해 정치권력과 어떤 더러운 거래를 했는지 국회 청문회에서 낱낱이 진상을 규명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오는 30일 ‘YTN 등 방송·통신분야 청문회’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날 청문회에서 ‘YTN 사영화’를 비롯한 윤석열 정부의 방송장악, ‘류희림 민원사주 의혹’ 등이 다뤄질 전망이다. 증인으로 김건희 씨,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 이동관·김홍일 전 방통위원장 등이 채택됐다. 전준형 YTN지부장은 참고인으로 출석한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