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KBS가 TV수신료 통합징수법 재의결을 촉구하는 전 사원 결의대회를 열었다. 박장범 사장은 “통합징수를 통해 재원이 안정화되어야만, KBS가 한국 방송 제작 산업의 버팀목 역할을 해낼 수 있다”고 말했다.
국회는 17일 본회의를 열고 정부가 거부권을 행사한 수신료 통합징수법에 대한 재표결에 나설 예정이다.

박 사장은 16일 오전 KBS 본관에서 열린 결의대회에서 “수신료 분리 고지 과정에서 나타난 국민의 따가운 질책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뼈저리게 반성했다”고 말했다. 박 사장은 “KBS는 그동안 많은 중소 제작사들과 협업하면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작해 왔고, 수신료는 이러한 방송 제작 생태계의 풀뿌리를 지탱해 온 든든한 재원이었다”면서 “수신료 통합징수 법안의 통과를 촉구하면서 더욱더 품격 있고 신뢰받는 콘텐츠를 통해 수신료의 가치를 증명하겠다는 각오를 모든 KBS인들과 함께 약속한다”고 말했다.
이날 결의대회에 KBS 직원 500여 명이 참여했다. 자회사인 KBS비즈니스, KBS미디어, KBS아트비전, KBSN, KBS미디어텍, KBS시큐리티, 몬스터유니온 임직원과 KBS노동조합, KBS같이노조, KBS공영노조, 기술인협회, 영상제작인협회 등이 동참했다.
결의대회에서 막내 기수인 영상제작국 소속 김채근 씨는 “수신료는 ‘제대로 일하는’ 공영방송을 위한 토양”이라면서 “자본이 최우선의 기준이 되는 빠른 선택을 하지 않고 ‘공영성’이라는 모호함을 ‘제대로’ 그려보라며 국민이 준 책임감의 무게를 잊지 않겠다”고 호소했다.
지난 1월 최상목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은 국회를 통과한 수신료 통합징수법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했다. 지난해 7월 방송통신위원회는 TV수신료를 분리징수하는 방송법 시행령 개정안을 강행 처리했다. 대통령실 국민참여토론 찬반투표 3개월 만에 수신료 분리징수 시행령 개정이 완료돼 졸속처리, 재정압박을 통한 공영방송 장악이라는 비판이 쏟아졌다. 수신료 분리징수 여파로 KBS는 연간 1200억 원 규모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KBS, 수신료 통합징수법 재표결 초당적 협력 요청
- EBS "수신료 통합징수법 재의결 강력히 촉구한다"
- "수신료 통합징수법 적기는 윤석열 파면된 지금"
- 국힘 원내수석대변인 "수신료 통합징수법에 힘 보탤 것"
- "국회 TV수신료 통합징수법 재의결" 호소 '봇물'
- 과방위 야당 "'위헌 실천' 최상목, 방통위·공영방송 정상화 찬물"
- 언론노조 "최상목, 궤변 속 윤석열 공영방송 장악 이어가"
- 최상목, '수신료통합징수법' 거부권 행사…KBS·EBS "유감"
- 국무회의 앞두고 김태규 "'수신료 통합징수법' 일대 혼란"
- KBS, '국민 예의' 아니라더니 "수신료 통합징수 찬성"
- EBS "TV수신료 통합징수법 공포되길 기대"
- 김태규 직무대행, 수신료통합징수법 거부권 행사 요구했나
- "최상목, 윤석열 정권 방송장악에 힘 보태나"
- TV수신료 통합징수 통과됐지만 공포까지는 미지수
- 수신료통합징수법 재의결…KBS "국민 신뢰 다시 세울 것"
- 언론노조 KBS본부 "수신료 재의결은 구성원·시민 덕분"
- EBS 수신료 다시 겨우 '70원'…"비정상 해결은 현실화"
- '수신료 통합징수 공치사' KBS 시청자위 전국대회 논란
- "통합징수법 '공치사'에 수신료 탕진…박장범, 사장 자격없다"
- KBS, 수신료통합징수 재시행에 "'제2창사' 수준의 공영성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