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12.3 내란사태’ 피의자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 가결에 대해 “위대한 국민의 승리”라고 밝혔다.
14일 국회 본회의에서 윤석열 탄핵소추안이 찬성 204표로 가결됐다. 반대는 85표, 기권·무효는 11표다. 국민의힘에서 반대 당론 기준으로 23표의 이탈표가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입장을 내어 "국민의 명령에 따라 내란수괴 윤석열의 탄핵소추안을 가결했다는 소식을 보고드린다"면서 "국민과 민주주의의 승리"라고 선언했다.
박 원내대표는 “12.3 비상계엄 선포 소식을 듣고 한달음에 국회로 달려 나와 계엄군의 진입과 경찰의 통제에 항의해 준 분들, 엄동설한에 밤새워 국회를 지켜준 분들, 날마다 국회 앞에 모여 응원봉을 들고 헌정질서와 민주주의 수호를 목놓아 외친 국민 분들이 계셨기에 대한민국 민주주의는 또 한번 승리의 역사를 만들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박 원내대표는 “내란수괴 윤석열의 직무정지는 사태 수습을 위한 첫걸음”이라며 “윤석열을 비롯한 내란 가담자들에 대한 철저한 수사로 사태의 전모를 밝혀내고 가담자들에 대한 처벌이 내려질 때까지 경계를 늦추지 않겠다. 내란 특검이 빠르게 구성해 수사가 진행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했다.
박 원내대표는 “내란수괴 윤석열에 대한 탄핵 인용을 반드시 이끌어내겠다”면서 “헌법재판소에도 당부드린다. 12·3 비상계엄은 헌정질서를 파괴한 엄중한 사안인 만큼 탄핵 심판 절차의 신속한 진행과 함께 오직 헌법에 따라 엄정하게 심판해 주길 바란다”고 했다.

박 원내대표는 “국민 여러분이 안심하고 일상을 보낼 수 있도록 국정 안정과 민생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민주주의 역사를 새로 써 준 국민 여러분께 다시 한번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고 말했다.
김선민 조국혁신당 당대표 권한대행은 "모두 국민 여러분 덕"이라며 "탄핵 가결은 민주주의 회복의 신호탄으로 이제 심판과 처벌의 시간이다. 즉각 윤석열을 체포하고, 수사가 개시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 권한대행은 "혁신당은 여러분의 용기와 웃음을 처절한 책임감으로 받들겠다"며 "국민의 뜻을 완성하겠다. 국회와 조국혁신당을 믿고 지켜봐 달라"고 말했다.
개혁신당도 입장을 내고 “조금 늦었지만 천만다행”이라며 “국정 혼란 상태가 오래가지 않도록 헌법재판소에서 신중하면서도 정확한 심리절차를 진행해줄 것을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개혁신당은 "윤석열은 일부 국민을 선동하려는 불순한 의도를 거두고 헌재 선고가 있을 때까지 조용히 자숙하길 바란다"면서 "탄핵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내란 범죄의 전모를 낱낱이 밝히는 한편으로, 안정과 회복이 중요한 시기"라고 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윤석열 탄핵-직무정지…"80년 5월 광주가 이끌어"
- 언론계 원로들 “2차 내란 선동하는 윤석열 당장 체포하라”
- '윤석열 탄핵' 우원식 "국민 여러분 고맙습니다"
- 간호사·간호대 학생 1203명 "윤석열, 국민 생명·안전 위협"
- 방송작가들 "미치광이 드라마의 엔딩은 탄핵뿐"
- ‘비상계엄’ 윤석열 지지율 11% 최저치…탄핵 찬성 75%
- 형사법 연구자 133명 "윤석열, 내란죄 성립…구속수사 불가피"
- 국민 10명 중 7명 '내란수괴 탄핵 집회 참여하겠다'
- 2024년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와 언론의 모습
- 닭 모가지를 비틀어도 14일 탄핵 열차는 정시 출발한다
- 윤석열, '당정 일임' 닷새만에 보란듯이 법률안 재가
- 국힘, '내란-김건희 특검 부결' 당론…'윤석열 탄핵 부결' 입장 유지
- '법 기술자' 윤석열, 전두환 논리로 탄핵 법리싸움 선언
- 영국 유학생 205명 "타국에 있을지라도 국민만큼 비통"
- 이현세, 강풀 등 만화계 "내란 범죄자 윤석열 퇴진하라"
- 언론학자 420명 "포고령 광기의 언어가 아직도 메아리"
- 김근식 "윤석열 가장 질서있는 퇴진은 '탄핵'뿐"
- 국민의힘, 더 버틸 방법 없다
- 탄핵 거리편집국 차린 시사IN "시민 응원 많이 받았습니다"
- 계엄의밤 덮고 새해 밝게 한 '국회 사람들' 취재 이야기
- 이해민 “12월 3일 민주시민의 날” 국경일·공휴일 지정법 발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