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의 영수회담에서 ‘직제 개편’에 대한 이해를 구하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두고 ‘법률수석비서관실 신설’을 통한 ‘공직 기강잡기'라는 평가가 나온다.
30일 동아일보 기사 <尹 “민생 세세히 보고 못 받아… 직제개편 고민”>에 따르면 전날 윤 대통령은 이 대표와의 회담에서 “민생과 정책 현장에서 벌어지는 상황에 대해 세세하게 보고받지 못하고 있다. 대통령실 직제 개편도 이 같은 차원에서 고민하고 있다”는 취지로 발언했다고 한다.

윤 대통령은 “대통령도 정책 현장의 소리를 전부 파악하지 못한다”며 김대중 전 대통령이 취임 2년 차에 민정수석비서관을 부활시킨 사례를 언급했다고 한다.
동아일보는 “이는 추후 이뤄질 대통령실 조직 개편 과정에서 옛 민정수석실에 해당하는 민심 청취 기능을 보강한 법률수석비서관실(가칭) 신설을 검토 중인 만큼 야당에 이해를 구한 대목으로 풀이된다”고 보도했다. 현재 대통령실은 법률비서관실과 공직기강비서관실을 신설 법률수석실로 옮기고 민정과 반부패 기능을 포함한 민정비서관실 신설을 검토하고 있다.
김준일 시사평론가는 같은 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이번 영수회담을 두고 윤 대통령이 ‘바뀔 것이다’ ‘안 바뀔 것이다’ 두 신호가 모두 나온다고 평가했다. 김 평론가는 “법률 수석이 민심을 청취해야 한다는 것은 쉽게 얘기하면 오히려 공직에 대한 그립감을 강화하겠다는 쪽"이라며 "그리고 검찰을 좀 휘어잡겠다는 쪽으로 이해한다면 (윤 대통령이)‘안 바뀔 것’이라는 것”이라고 내다봤다.
임시 진행을 맡은 이철희 전 청와대 정무수석은 “민심을 청취하는 채널은 여러 개인데, (대통령이 민심을) 들으려고만 하면 잘 들린다”고 말했다.
김 시사평론가는 윤 대통령이 ‘이태원 참사의 국가 책임 민·형사 재판의 1차 판결이 나면 항소를 하지 않을 생각을 고려 중’이라고 발언한 것으로 알려졌다는 언론보도를 거론하면서 “이태원 참사 유가족을 존중하겠다는 의미다. ‘이태원 참사 특별법’도 조건부로 받아들이겠다고 얘기를 했으니, 유화책이라고 보는 분들도 있다”고 전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영수회담 '음성 엠바고' 들어보셨나요
- 영수회담 당일 보도된 대통령실 '거부권 수호' 발언
- ‘너는 말해라, 나는 듣겠다’는 영수회담
- ‘영수회담’ 줄다리기, 채상병 특검이 손해나는 장사일까
- 결렬 수준이라는데 조선일보 눈에는 "정치복원 희망 줬다"
- 윤 대통령 '언론 쥘 생각 없다' 발언 하루만에 EBS 압수수색
- 윤 대통령, 민정수석에 김주현 전 대검 차장 낙점
- 대통령이 변해야 진상규명 성공한다
- 홍철호 "윤 대통령, '무더기 징계' 방심위 방향지시 있을 것"
- 민정수석 부활 계기가 '언론 사설'?…언론은 '사정 장악' 우려 쏟아내
- 영수회담 ‘비선’ 논란, 웃고 넘길 일 아니다
- 김건희 수사 지휘부 물갈이…검찰총장 기세 꺾기인가
- 보수언론, 추미애 검찰 인사 때는 어땠더라
- 검찰, 문 전 대통령 배우자 의전 담당직원 '출국정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