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전국언론노동조합이 윤석열 대통령의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지명과 관련해 '조합원 긴급 투쟁 지침’을 발효했다. 언론노조는 각 사업장별 ‘지명 철회 촉구’ 현수막 게시, 피케팅, 릴레이 성명 등 ‘이동관 지명 철회’ 총력투쟁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언론노조는 지난달 28일 전 조직 및 조합원들에게 <’이동관 지명 철회 및 사퇴 촉구’ 언론노조 긴급 투쟁지침>을 내렸다. 전날 언론노조는 중앙집행위원회에서 이동관 지명 대응 총력투쟁을 결의한 바 있다.

해당 지침에 따르면 언론노조 산하 조직들은 ▲‘이동관 지명 철회 촉구’ 현수막 사업장 게시 ▲이동관 지명 철회 촉구 출퇴근·점심시간 피케팅 ▲이동관 지명 철회 및 사퇴 촉구 성명 발표 ▲국민의힘 각 시·도당사 앞 릴레이 기자회견 ▲전 조합원 온라인 실천행동 등에 동참한다.
언론노조는 “이번 지침 발표로 2년 전 ‘4대 입법 총력 투쟁’ 당시 수준의 조합원 동력을 확보해 이동관 지명에 맞설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언론노조는 지난 2021년 ▲공영방송·언론 지배구조 관련 법 개정 ▲신문법의 편집권 독립 관련 조항 개정 ▲지속가능한 지역언론 지원 제도 수립 ▲실효성 있는 언론보도 피해시민 보호·배상 법안 제정 등을 촉구하는 4대 입법 쟁취 투쟁을 전개한 바 있다.
투쟁지침에 따라 MBC, KBS, SBS, ubc울산방송, CJB청주방송, TJB대전방송, KNN 등 언론노조 방송 조직 대표자와 집행 간부들은 지난달 31일부터 이동관 내정자 지명 철회 때까지 출퇴근·점심시간에 ‘이동관 지명 철회 촉구’ 피켓시위에 돌입했다. 또 언론노조 SBS본부, MBC본부, EBS지부, YTN지부 등은 이동관 지명 철회 촉구 릴레이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한편 이동관 방통위원장 후보자는 언론 자유에는 책임이 뒤따라야 한다며 "과거 공산당 언론을 우리가 언론이라고 얘기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비판 언론에 색깔론을 씌운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윤창현 언론노조 위원장은 이날 경기도 과천 이동관 방통위원장 후보자 사무실 앞에서 열린 사퇴 촉구 기자회견에서 “이동관의 공산당 언급은 이 정부가 앞으로 정부를 비판하는 언론과 시민을 어떻게 대하겠다는 것인지 극명하게 드러낸 대목”이라며 “정부를 비판하면 대한민국에서 공산주의자, 반국가단체로 불리는 게 더 이상 이상한 일이 아닌 세상이 될 것”이라고 규탄했다.
정치권에서도 비판이 이어졌다.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당 최고위원회에서 "이 후보자가 후보자 신분 첫날부터 대단히 독특한 언론관과 언론장악 속내를 드러냈다"며 "많은 국민은 정권에 비판적인 방송인을 퇴출시키고, 정보기관을 동원해 공영방송 인사들을 사찰하고, 인사에 개입하면서 언론을 장악하는 행태를 공산당과 같다고 말한다. 국민과 국회는 '방송장악위원장'을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1일 정의당 심상정 의원은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이 후보자 '공산당 언론' 발언에 대해 "한마디로 자신의 심중에 찍힌 언론이 있으니 앞으로 정권 심기 거스르지 말라 군기 잡고 드잡이하겠다 예고하는 것으로밖에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윤석열·이동관, 정부 비판하면 공산당으로 모는 세상 만들 것"
- 이동관 "공산당 언론" 발언에 "셀프 저격 아닌가"
- "이동관, 윤 정권 비판기사 싸잡아 공산당 기관지 취급"
- 이동관 "공산당 언론, 국민이 잘 아실 것" 색깔론
- 15개 언론현업·시민단체 "이동관 방통위, 차라리 해체하라"
- 이동관, 방통위원장 지명 이틀만에 'YTN 법적조치' 시사
- 이동관은 공영방송 인터내셔널화, 정부는 수신료 분리징수
- 언론현업단체 "이동관 지명 강행은 독재 선언"
- "방통위 해체" 요구 자초하는 이동관 방통위원장 지명
- 이동관, 방통위원장 지명 일성 "가짜뉴스와의 전쟁"
- '야권 방통위원 총사퇴' 카드, 여권이 부담 가질까
- 윤 대통령, 결국 이동관 방통위원장 지명
- 야4당 "윤 대통령, 'MBC 장악' 이동관 수사 덮었는지 해명해야"
- '이동관, KBS 좌편향 파악 지시' 문건에 "처음 아냐, 갈라치기에 혈안"
- 한상혁 "이동관 방통위원장? MB '공영방송 정상화' 데자뷔"
- 현직 기자 80% "이동관 방통위원장 임명 반대"
- 이동관 아들만 피해간 하나고 '학폭위', 은폐 의혹 짙어져
- 17개 방송사 노동자 "수신료 분리징수, 방송장악 정점"
- 공영방송 장악에 그칠까
- 이동관 '가짜뉴스' 입장문 맞받은 MBC "'사적 보복' 예고한 선전포고인가"
- 언론노조, 이동관 방통위원장 유력설에 "어느 정권도 꿈꾸지 못한 폭거"
- MB때로 돌아가는 방통위…이동관 위원장에 조성은 사무처장
- 14개 지역MBC노조, 무더위 잊은 '이동관 사퇴 촉구' 피케팅
- 국민 55% "이동관, 총선 겨냥 방송장악 인사"
- 이동관 방통위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 18일 개최
- 양대 공영방송 이사들 "방송 장악 음모 포기하라"
- '이동관 아들 학폭·은폐 의혹' 저격수, 과방위 보임
- "윤석열 정권의 방송장악, 민주당도 책임 피할 수 없죠"
- 3대 공영방송 이사들 "야만적 방송장악 기도 포기하라"
- "이동관이 가야 할 곳은 과천 방통위 아닌 감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