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방송통신위원회 위원 결격사유에 대통령비서실 소속직원을 추가하는 일명 ‘이동관 방지법’이 발의됐다. 차기 방통위원장에 이동관 대통령 대외협력 특보가 내정됐으며 대통령의 지명만 남았다는 설이 무성하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2일 대통령비서실 소속 직원은 퇴직 후 3년 이내에 방통위원으로 활동할 수 없도록 하는 방통위 설치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강득구·김영주·박찬대·윤영찬·이정문·장경태·최종윤 의원이 공동 발의자로 참여했다.

현행법은 방통위원 결격사유로 ▲정당의 당원 ▲방송·통신 관련 사업에 종사하거나 위원 임명 전 3년 이내에 종사했던 사람 ▲전직 국회의원 등 선출직에 종사한 사람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 신분을 상실한 날부터 3년이 지나지 않은 사람 등을 규정하고 있다. 이 같은 규제는 방통위의 중립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조승래 의원은 “방통위법에서 결격사유를 규정한 이유는 방송·통신 업무를 중립적이고 객관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대통령실에 소속돼 있던 직원은 정치적인 위치에 있다는 점에서 반드시 결격사유에 포함돼야 한다”며 “이동관 특보처럼 대통령실에서 활동하다 방통위원장으로 임명되는 일이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야4당을 비롯한 언론현업단체·시민단체들은 이동관 특보의 내정 철회를 강력하게 촉구하고 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야4당 "윤 대통령, 'MBC 장악' 이동관 수사 덮었는지 해명해야"
- 야4당 "국민은 윤비어천가 뉴스 되는 것 용납하지 않을 것 "
- 명진 스님 "이동관, 거짓말이 생활화된 사람"
- 이동관 방통위원장 지명 지연설…왜?
- '이동관, KBS 좌편향 파악 지시' 문건에 "처음 아냐, 갈라치기에 혈안"
- 한상혁 "이동관 방통위원장? MB '공영방송 정상화' 데자뷔"
- '이동관 찬반' 조사 응답률 문제삼는 국힘…'1.7%' 조사엔?
- 야4당 '윤석열 정권 언론장악 저지' 공동대책위 발족
- 장경태, 이동관·김기현 아들 의혹에 "아빠의 힘"
- 이동관 아들만 피해간 하나고 '학폭위', 은폐 의혹 짙어져
- 방통위는 '이동관 위원장' 준비 중
- 이동관 홍보수석실이 요청한 '국정원 언론통제 문건'
- 이재명 "이동관 방통위원장 지명 강행, 언론자유 사망 선고"
- 이동관 아들 학폭·은폐 사건 메신저 공격…왜?
- '이동관 아들 학폭 폭로' 교사 "2년간 학교폭력"
- 공영방송 장악에 그칠까
- 국민 55% "'이동관 방통위원장은 언론장악 의도"
- '아들 학폭 논란' 이동관의 과거 발언 "자식은 부모의 거울"
- 이동관 '가짜뉴스' 입장문 맞받은 MBC "'사적 보복' 예고한 선전포고인가"
- 민주당 "이동관 내정 철회에서 끝날 일 아니다"
- 이동관 측 "아들 학폭 논란 과장돼"…국민의힘은 '전전긍긍'
- '이동관 아들 학폭 은폐' 최초 수사 검사는 '고발사주' 손준성
- "이동관 내정? 디지털 시대에 아날로그 방통위원장인가"
- 이동관 '아들 학폭·은폐' 사건, 인사검증 됐을까
- 언론노조, 이동관 방통위원장 유력설에 "어느 정권도 꿈꾸지 못한 폭거"
- MB때로 돌아가는 방통위…이동관 위원장에 조성은 사무처장
- 한상혁 "그런 분이 방송장악에 나선다면 더 큰 문제"
- '이동관 방통위원장' 단수 검증…'방송장악 신호탄'
- 수그러들지 않는 이동관 방통위원장 내정설
- 이제는 '방통위원장 내정설' 이동관 아들 학폭·은폐 논란
- 윤 대통령, 결국 이동관 방통위원장 지명
- '야권 방통위원 총사퇴' 카드, 여권이 부담 가질까
- 조승래 "이동관 청문회 보이콧?…여당 도와주는 꼴"
- 15개 언론현업·시민단체 "이동관 방통위, 차라리 해체하라"
- 방통위, '공영방송 이사 해임 내부문건' 국회 자료제출 거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