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EBS(사장 김유열)가 2023년 적자 규모를 290억 원으로 추계했다가 최근 180억 원으로 조정했다. EBS노사는 현재 임금인상 입장차로 단체협약 해지가 통고되는 등 극한 갈등을 벌이고 있다. 

적자 추계는 임금·단체협약 협상의 기초 데이터라는 점에서 EBS 경영진에 대한 책임론이 불거질 수밖에 없다. EBS 경영진은 비상경영 상황에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한 결과라고 밝혔다.  

EBS 경영진은 역대 최대 규모의 적자가 발생했고, 더 이상 줄일 비용이 없다며 노조의 임금인상 요구를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EBS 노조는 사장 퇴진 운동에 나서고 있다.  

(사진=EBS)
(사진=EBS)

지난 22일 EBS 이사회는 '2023년도 결산안'을 심의·의결했다. 결산안에서 EBS의 적자는 183억 원으로 기록됐다. 지난해 12월 EBS 이사회가 의결한 '2023년도 추경안'의 적자는 289억 원이다. 두 달 만에 회계상에서 적자가 106억 원 줄어든 것이다. 

이날 전국언론노동조합 EBS지부(이하 언론노조 EBS지부)는 성명을 내어 김 사장에게 해명을 요구했다. 언론노조 EBS지부는 "예년의 경우 주로 상반기 이후 결산 전망을 추정해 결산시기까지 오차시간이 발생할 수 있었던 것과는 달리 이번 추경과 결산은 단 한 달의 시간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며 "비상경영상황에서 예산추이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무엇보다 중요한 상황이었다는 점, 이 모든 조건에도 불구하고 사상 최대의 결산오차가 발생했다는 점은 어떤 이유로도 납득하기 힘들다"고 했다. 

언론노조 EBS지부는 "그럼에도 75억이나 부풀려 인건비를 잡아놓고, 이걸 빌미로 유례없는 인건비 삭감을 요구하고 이사회가 인건비 과잉을 언급하며 EBS 구성원을 이기적이라고 지적하게 만들더니, 이제와서 노력으로 100억의 적자를 줄였다며 자화자찬하고 나섰다"며 "만약 경영진이 이 사안에 대해 지금까지 몰랐다면 경영진으로서의 심각한 관리능력 부재와 해태에 해당한다. 만에 하나 알고도 일부러 이 상황을 만들었다면 그건 더 큰 문제"라고 했다. 

이어 언론노조 EBS지부는 "예산안, 추경안, 결산안 그 어느 하나 신뢰할 수 없게 조작해 경영상의 책임을 무마시키고 구성원들의 고통을 배가시키는 이 상황에 대해 EBS의 모든 구성원은 진실을 알고 싶다"며 "떳떳하다면 그 이유를 구성원들에게 명명백백하게 설명하고, 이 사태의 책임이 경영진에게 있음을 이사회에서 밝혀라. 경영진 말대로 오랫동안 존재했던 잘못된 관행이나 시스템의 문제라면 어떤 방식으로 정상화할 것인지 대안을 마련하라"고 했다.  

23일 EBS 사측은 미디어스에 비용 절감 노력의 결과라는 입장을 밝혔다. 사측은 "비상경영 상황에서 비용 절감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시간외 수당 관리, 연차사용 촉진·독려 등 인건비성 경비를 절감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해왔다"며 "하반기에 이 부분에서의 지출 감소가 집중됐다"고 했다. 

사측은 "인건비 과잉을 언급하며 이사회를 종용해 구성원을 이기적이라고 지적하게 만든 바가 없다. 경영상의 책임을 무마시키기 위해 예산안·추경안·결산안을 조작한 바가 없다"며 "결산에서의 적자 감소는 재정위기 극복을 위한 구성원의 노력의 결과"라고 했다. 

복수의 EBS 관계자에 따르면 줄어든 적자 106억 원 중 75억 원이 퇴직충당금 등 인건비다. EBS 사측은 보직자들에 대한 4.5일제 시행과 연차소진 등의 효과가 컸다는 입장으로 전해졌다. EBS의 퇴직충당금은 평균임금에 따라 연말에 적립되는데, 보직자들의 평균임금이 낮아지면서 퇴직충당금이 낮아졌다는 것이다. EBS 사측은 또 2년 연속 대규모 적자를 기록하고 고강도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하면서 정확한 적자를 추계하기 어려웠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