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100여명의 시민평가단 앞에서 이뤄지는 TBS 사장 후보자 정책설명회가 사실상 '블라인드'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시민평가단은 후보자의 이름도 모른 채 정책발표를 듣고 있다.  

13일 오후 3시부터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TBS 사장 후보자 정책설명회가 진행 중이다. 과거와 달리 이번 정책설명회는 유튜브 중계 등 방송이 이뤄지지 않는다. 기자들의 회견장 출입은 통제됐다. 정책발표집은 시민평가단 외에 배포가 금지됐다. 전국언론노동조합 TBS지부는 회견장 앞에서 폐쇄적인 사장 선임 절차를 규탄하는 피켓 시위를 진행했다.  

13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TBS 사장 후보자 공개정책 설명회가 열렸다. (사진=미디어스)
13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TBS 사장 후보자 공개정책 설명회가 열렸다. (사진=미디어스)

시민평가단은 후보자의 신상을 알지 못한 채 정책발표를 듣고 있다. 한 시민평가단의 정책자료집 일부를 살펴본 결과 후보자들의 이름은 '가' 후보, 'OOO' 등으로 전부 익명처리되어 있었다. 앞서 TBS 임원추천위원회(이하 임추위)는 후보자들에게 정책발표집 등 관련 서류를 제출할 때 이름을 지우라고 요구했다. 

현장에서 TBS 관계자는 기자 출입을 막아서는 이유가 무엇인지, 시민평가단에게 후보자 신상이 공개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지 등의 질문에 "모른다"며 TBS 임추위의 결정이라는 말을 반복했다.  

후보자들은 보안조치가 이뤄진 별도의 공간에서 대기하다가 1명 씩 번갈아가며 회견장에 출입해 발표를 진행 중이다. TBS 관계자들은 후보자에 대한 사진 촬영을 통제하려 했다. 후보자들은 이동 중 신상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입을 닫았다.  

지난 11일 TBS 임추위는 입장을 내어 사장 선임 절차 전면 비공개 방침을 재확인했다. 또 TBS 임추위는 시민평가단 점수 반영 비율을 기존 40%에서 30%로 줄였다. 

TBS 임추위는 16일 사장 후보자 면접심사를 진행한 뒤 시민평가점수 30%를 합산해 오세훈 서울시장에게 2명 이상의 후보자를 추천하게 된다. TBS 임추위는 시장이 위원 2명, 시의회가 3명, 이사회가 2명을 추천해 구성된다. 오세훈 서울시장과 국민의힘이 과반을 차지한 서울시의회가 TBS 사장 선임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구조다.

13일 전국언론노동조합 TBS지부 조합원들이 사장 후보자 정책설명회가 열리는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 앞에서 폐쇄적인 사장 선임 절차를 규탄하는 피켓 시위를 벌이고 있다(사진=미디어스) 
13일 전국언론노동조합 TBS지부 조합원들이 사장 후보자 정책설명회가 열리는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 앞에서 폐쇄적인 사장 선임 절차를 규탄하는 피켓 시위를 벌이고 있다(사진=미디어스) 

TBS 임추위는 '비공개 방침'의 근거로 'TBS 임추위 운영규정'상 '비밀유지 의무' 조항을 내세우고 있다. 이 조항은 '임추위원 및 관계 직원은 후보자 모집·심사과정에서 알게 된 후보자 개인의 인적사항, 사생활 정보 등 심사내용과 관련된 일체의 사항에 대해 비밀을 유지하고 그 내용을 타인에게 누설하여서는 안 된다'는 내용이다. 

이에 대해 언론개혁시민연대는 12일 논평에서 "해당 규정은 후보자들의 사생활 정보 등을 보호하라는 의미다. 그 규정을 두고 시민평가단에조차 후보자의 신상을 감춘다는 건 억지에 가깝다"며 "이 같은 결정은 공모의 취지에 어긋날뿐더러 오히려 후보자들에 대한 다양하고 폭넓은 평가를 저해한다는 점에서 재고가 필요하다"고 비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