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노하연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여성가족부에 청년 남성들이 느끼는 ‘남성 차별’ 문제를 연구해 대책을 만들라고 지시했다. 이에 대해 한국여성의전화는 “정부는 여가부에 대한 상을 고쳐 그려라. 그리고 그 업무를 제대로 수행할 인사를 하라. 시민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최소한의 책임”이라고 했다.
행정안전부가 16일 공개한 ‘제25차 국무회의록’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지난달 10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청년 남성의 자살률 변동과 관련한 보고를 받은 뒤 “최근에 청년들 취업도 어렵고 경제 상황도 나빠져서 많은 영향을 미쳤을 것 같고, 청년들 속에서도 남성 청년들이 여성 청년들과의 경쟁에서 많이 밀리고 있기에 차별을 받고 있다는 피해의식이 클 것 같다”고 말했다.

또한 이 대통령은 “사회 전체 구조적으로 보면 여성은 차별받는 억울한 집단이 분명하다”면서도 “10대부터 30대 초반까지만 보더라도 고시나 공무원 시험에서 여성이 앞서고 있으니 남성들은 ‘군대에 갔다 오면 경쟁에서 탈락할 수밖에 없다’라고 하는데 어쨌든 사회의 기회 총량이 부족하다 보니 그런 일(남녀 갈등)도 격화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신영숙 여가부 차관에게 “여성가족부는 이름에 ‘여성’이 붙어있으니까 이대남(20대 남성)들이 무지하게 싫어하는 정쟁의 대상이 되어버렸다”며 “여가부에 남성들이 차별을 받는 부분에 대한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가 있느냐”고 물었다.
이에 대해 신 차관은 “그런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는 없지만 저희도 그런 부분을 심각한 문제로 인식해 젠더갈등에 대한 분석은 했다”며 “여가부 조직 내에서 아무래도 여성들에 대한 차별을 완화하는 정책들을 활발하게 하다 보니까 이런 부분들이 좀 문제가 된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 대통령은 “남성들이 특정 영역에서 차별을 받는다고 느끼는 영역이 있는데 거기에 대한 논의를 공식적으로 어디에서도 안 하고 있다”며 “우리가 (여가부를) 성평등가족부로 확대 개편한다고 했으니, 어쨌든 여성정책을 주로 하시긴 하겠지만 특정 부분에서의 남성들 차별 부분을 연구하고 대책을 만드는 방안을 점검해주시기 바란다”고 지시했다.

한국여성의전화는 이 대통령의 해당 발언과 관련해 ‘여성가족부에 대한 상을 고쳐 그려야 한다’고 말했다. 여성의전화는 지난 15일 강선우 여가부 장관 후보자의 지명 철회를 요구하는 성명에서 “이번 인사청문회에서 여가부 장관 후보자의 최소한의 자질과 능력은 찾아볼 수 없었다”며 “이는 후보자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이번 정부가 그리는 여성가족부의 상이 명확하지 않아서이기도 하다”고 지적했다.
여성의전화는 “지난 6월 10일 국무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여가부 차관에게 수많은 현안을 차치하고 ‘남성들이 불만을 가진 이슈를 담당하는 부서가 있느냐’라고 물은 사실, ‘우리 정부는 여가부가 아닌 성평등가족부로 확대·개편해서 폭넓게 그런 것들을 좀 보려고 한다’고 말했다는 사실이 이번 정부가 여가부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추정해 볼 수 있는 단서”라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이재명 "여성가족부, 성평등가족부로 확대 개편할 것"
- 국가성평등지수 집계 이래 첫 하락
- 경향신문 "강선우·이진숙, 국민주권정부 장관 부적격"
- 줄잇는 여성단체 성명 "강선우 지명 철회해야”
- 강선우 후보자, 어차피 사퇴 안 할 거라면
- 강선우, 젠더정책 의제 '유보' 입장… "뭘 하려고 장관 하나"
- 직장갑질119 "'보좌진 갑질 의혹' 해소 안 된 강선우 임명 반대"
- ‘중도-실용’ 장관도 좋지만 개혁 외면해선 안 된다
- '여가부 폐지' 이준석, 대선후보 비호감도 1위 67%
- 한국일보 "대선 성평등 실종, 정치가 나라 발전 최대 걸림돌"
- 2030 여성 유권자들 “차기정부 시급한 과제는 디지털 성범죄 방지”
- 지난해 1366 긴급전화 상담, 가정폭력 절반 이상
- 거세지는 시민사회의 '강선우 지명 철회' 요구
- 경향신문 "민정라인, 대통령 인맥 포진…인사시스템 도마 위에"
- '갑질 논란' 강선우 자진사퇴 시사
- 문재인 정권 포위되는 데 딱 4년 걸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