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올해 국정감사에서 '노동'이 실종됐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거대양당의 정략적 판단에 노동문제의 주요 증인·참고인 채택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8일 정의당은 입장문을 내어 "올해 국정감사가 '김건희 대 이재명' 맞불 구도가 되면서 노동이 실종됐다는 비판이 나온다"며 아리셀 화재 참사, 공영방송 3사 도급계약, 방송통신심의위원회 공익제보자, 쿠팡 블랙리스트 공익제보자 등의 목소리가 밀려났다고 지적했다. 

(정의당)
(정의당)

정의당은 "사건 직후 모든 정치권이 한목소리를 냈던 아리셀 참사와 관련해 환경노동위원회(환노위)에서 참석을 요청한 증인과 참고인이 단 한 명도 없다. 그 내막을 들여다보니 말문이 턱 막힌다"며 "민주당이 박순관 아리셀 대표와 관계자를 증인으로 신청하니 국민의힘은 민주당 소속 정명근 화성시장을 증인으로 신청했고, 그러자 양당은 둘 다 부르지 않는 것으로 정리한 것"이라고 전했다.

정의당은 "잇따른 중대재해 사망사고로 동료들을 잃은 조선소 하청노동자들도 당초 환노위 국정감사 출석을 추진했으나 양당 간사 사전협의 과정에서 무산됐다"며 "공영방송 3사의 도급계약으로 노동법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방송 보조출연자들도 출석을 희망했지만 결국 이뤄지지 않았다"고 했다. 

정의당은 정무위의 경우 국민권익위원회와 관련한 증인·참고인을 한 명도 부르지 못하게 됐다고 비판했다. 정의당은 "김건희 여사 명품백 수수 의혹을 두고 여당이 증인 채택에 합의하지 않은 탓"이라며 "당초 권익위 국정감사에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 공익제보자와 쿠팡 블랙리스트 공익제보자가 참고인으로 출석해 권익위의 공익제보자 보호 문제에 관해 증언할 예정이었다"고 했다. 

정의당은 "제 몸 하나론 목소리를 키울 수 없어 국정감사 기간만 기다리는 소외된 노동자들이 많다"며 "노동자와 그 가족의 삶을 파탄내면서 법망을 비웃는 책임자들을 국정감사 증언대에 세우는 것, 노동자들이 그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국회의원들이 해야 할 정치의 책임임을 명심해야 한다"고 했다. 정의당은 이달 말 종합감사에서 여야가 노동 관련 증인·참고인을 제대로 채택할 것을 촉구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