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류희림 위원장 취임 후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이하 방통심의위)가 정부·여당 비판 보도를 명확한 사유 없이 '신속심의' 대상으로 올려 방송사 징계를 반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국민의힘과 보수단체 공정언론국민연대(공언련)가 접수한 민원이 신속심의 안건으로 상정됐다.
그 결과 류 위원장 체제 방통심의위는 압도적으로 많은 신속심의를 진행했다. 재난 상황이나 인권 보호가 시급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한해 적용된 신속심의 제도를 정권 옹호 목적으로 남용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MBC <뉴스데스크>가 더불어민주당 조승래 의원실을 통해 확인한 바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류 위원장 취임 후 현재까지 신속심의 안건 처리는 23건이다. 이 중 18건이 윤석열 대통령과 정부·여당에 비판적인 내용이다. 신속심의 안건 중 약 3분의 2는 국민의힘이나 공언련이 접수한 민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류 위원장 취임 전 5기 방통심의위의 신속심의는 이태원 참사 관련 방송을 대상으로 1건이었다. 그 이전 신속심의는 세월호 참사 등 4건이었다.
류 위원장 체제 방통심의위가 신속심의를 진행한 사안은 ▲'바이든-날리면' ▲후쿠시마 오염수 ▲뉴스타파 '윤석열 수사무마 의혹'(김만배-신학림 음성파일) 인용 ▲대통령실 경호처 국회의원 '입틀막' 사태 ▲김건희 모녀 주가조작 의혹 '22억 원 수익' 검찰의견서 ▲방통심의위 징계 남발 비판 ▲YTN 사영화 등이다.
신속심의 안건 지정 사유는 공개되지 않았다. 류 위원장, 황성욱 상임위원, 허연회 위원, 김우석 위원 등 여권 추천 위원들의 제의·찬성으로 신속심의 절차가 시작됐다.
조승래 의원은 MBC에 "(방통심의위 신속심의가)어떤 원칙과 기준도 없이 비판 언론에 재갈을 물리기 위한 '표적 심의'로 전락하고 있다"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방심위, 국민의힘 민원 상시 신속심의 체제로?
- '김건희 모녀 23억원 수익' 보도 예외없이 법정제재
- 선방위 오른 정당·단체 민원, 국힘·공언련 민원이 '100%'
- 미리보는 22대 국회 과방위…최대 화두는 방통·방심위 개혁
- 방심위, MBC '바이든 날리면' 보도 5번째 법정제재
- 야5당 언론정책 답변 "방통위·방심위 근본적으로 개혁"
- "방심위, 윤 대통령 부부 보도만 신속심의 상정"
- 방심위, MBC '바이든 날리면' 3연속 중징계 완성하나
- "방심위는 청부심의, 선방위는 MBC 일기예보 '셀프' 신속심의"
- MBC '일기예보', 결국 선방위 14일 신속 심의
- 중앙선관위 "MBC '숫자1' 일기예보, 선거법 위반 아니다"
- 선방위, 신속심의 도입…MBC '일기예보' 수순?
- "MBC 두 달 동안 법정제재 13건, 심의 테러 아닌가요"
- '류희림 체제 방심위'가 드러낸 행정규제기구의 부작용
- “류희림 동생 민원, 방심위 내부에선 공공연한 비밀이었습니다”
- 류희림 방심위가 쏘아올린 자율규제…"당장 논의 시작해야"
- 방심위 신속심의 점입가경…'MBC, 방송3법 좌파딱지 안 붙였다'?
- 방심위, '바이든 날리면' MBC 재심 기각…YTN은 인용
- 류희림 취임 후 정부·여당 비판 방송 법정제재 47배 급증
- 연임설 부인 않는 류희림 "임기까지 최선을"
- 오죽했으면 '류희림 방지법' 발의될까
- 야권 방심위원들 소회 "인과응보" "합의제 원칙"
- "류희림 밀실 연임…V1·V2 거스르는 방송 두고보지 않겠다는 선언"
- 방심위, '공언련 민원' MBC 제재 숨고르기인가
- 이준석, 윤석열 담화 방심위 '가짜뉴스' 신속심의 신청
- 국민의힘, 보궐선방위 보궐위원도 공언련 회전문 인사
- MBC "외교부, '바이든 날리면' 공식 소 취하 의사 없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