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언론인 출신 이훈기 더불어민주당 당선자가 “22대 국회가 문을 열면 윤석열 대통령이 거부한 '방송3법'을 대표 발의하겠다”고 밝혔다.

이 당선자는 10일 뉴스1과 인터뷰에서 “방송3법이 6월에 통과되지 못하면 윤석열 정권은 자기 입맛에 맞는 '낙하산 사장'을 MBC에 내려보낼 수 있다. 매우 중요한 일이기 때문에 힘을 쏟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권력에 맞선 언론독립 ‘행동하는 언론인’ 이훈기 (유튜브 채널 델리민주)
권력에 맞선 언론독립 ‘행동하는 언론인’ 이훈기 (유튜브 채널 델리민주)

MBC 대주주 12기 방송문화진흥회는 오는 8월 임기 만료된다. 방문진은 정치권 추천에 의해 여야 6대3 구도로 구성돼 왔다. 언론계 일각에서 차기 방문진이 여야 9대0 구도로 구성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이에 따른 수순은 MBC 경영진 교체다. 또 KBS 이사회도 오는 9월 임기가 만료된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1일 거부권을 행사한 방송3법은 KBS·MBC·EBS 등 공영방송 이사회를 '운영위원회'로 변경하고 운영위원 정수를 25명으로 확대·개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운영위원 추천 주체는 정당, 방송·미디어 학회, 공영방송 시청자위원회, 한국방송협회, 공영방송 종사자 대표, 방송 관련 직능단체, 광역단체장협의회 등이다. 언론현업단체들은 공영방송의 정치적 후견주의를 타파하기 위한 방송3법 재입법을 촉구하고 있다.

이 당선자는 “공영방송이 정권에 장악당하기 전 방송3법을 통과해야 하므로 제가 추동해 가고 싶다는 뜻을 알렸고 박찬대 원내대표에게도 얘기했다. 보수 언론의 표적이 될 수 있지만 감수하고 기꺼이 하겠다”고 했다. 이 당선자는 “법안 준비는 거의 끝났고 당론으로 채택될 가능성도 크다"며 "'통과 6개월 후 시행한다'는 조항 등은 현재 의미가 없기 때문에 보완 수정해서 발의하려 한다"고 덧붙였다.

이 당선자는 최근 국경없는기자회가 발표한 한국의 언론자유지수가 47위에서 62위로 급락한 것과 관련해 “15단계 떨어진 것보다 더 심각하다. 김건희 여사 명품백 수수 의혹을 보며 우리나라 언론 상황이 독재 시대로 회귀했다고 생각했다”고 비판했다.

국경없는기자회는 우리나라 언론 환경을 기존 ‘양호’에서 ‘문제 있음’으로 하향 조정했으며 스웨덴 민주주의다양성연구소는 지난 3월 발표한 민주주의보고서에서 한국을 ‘독재화가 진행 중인 국가’로 꼽았다.

이 당선자는 “어느 정권보다 언론탄압이 심각하다. 방송통신위원회는 통제 기구로 전락했고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검열 기구로 모든 기사를 감시하고 있다"며 "언론인은 말할 것도 없고 언론사 자체도 견디기 힘들 정도”라고 지적했다. 

이 당선자는 윤 대통령 취임 2주년 기자회견과 관련해 “국민들이 총선을 통해 심판했는데도 윤 대통령은 여전히 민심을 모르고 외면하고 있음을 느꼈다. 변화의 가능성이 전혀 없고 마지막 기회를 놓쳤다”면서 “채해병 특검을 수용하지 않으면 민심은 완전히 떠날 것이고, 조만간 심각한 레임덕이 오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국회 상임위원회로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를 희망하는 이 당선자는 ‘네이버·라인’ 사태와 관련해 “현 정부의 굴욕적 한일 관계 때문에 'IT 경술국치'라는 말까지 나온다. 지금 정권의 한계를 명확히 보여준다”며 “정부가 빠르게 조치를 취해야 된다”고 말했다. 

이 당선자는 1991년 인천일보 기자로 언론계 발을 들였으며 수도권 민영방송 iTV와 후신인 OBS에서 기자 활동과 언론 운동을 했다. 이 당선자는 iTV 시절 노조위원장을 지내며 대주주에 맞서 방송 사유화 저지 투쟁을 이끌었다. 민주당은 지난 2월 이 당선자를 “방송사유화 저지에 앞장선 인물”이라며 총선 언론계 몫 인재로 영입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