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언론인 출신 이훈기 더불어민주당 당선자가 “22대 국회가 문을 열면 윤석열 대통령이 거부한 '방송3법'을 대표 발의하겠다”고 밝혔다.
이 당선자는 10일 뉴스1과 인터뷰에서 “방송3법이 6월에 통과되지 못하면 윤석열 정권은 자기 입맛에 맞는 '낙하산 사장'을 MBC에 내려보낼 수 있다. 매우 중요한 일이기 때문에 힘을 쏟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MBC 대주주 12기 방송문화진흥회는 오는 8월 임기 만료된다. 방문진은 정치권 추천에 의해 여야 6대3 구도로 구성돼 왔다. 언론계 일각에서 차기 방문진이 여야 9대0 구도로 구성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이에 따른 수순은 MBC 경영진 교체다. 또 KBS 이사회도 오는 9월 임기가 만료된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1일 거부권을 행사한 방송3법은 KBS·MBC·EBS 등 공영방송 이사회를 '운영위원회'로 변경하고 운영위원 정수를 25명으로 확대·개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운영위원 추천 주체는 정당, 방송·미디어 학회, 공영방송 시청자위원회, 한국방송협회, 공영방송 종사자 대표, 방송 관련 직능단체, 광역단체장협의회 등이다. 언론현업단체들은 공영방송의 정치적 후견주의를 타파하기 위한 방송3법 재입법을 촉구하고 있다.
이 당선자는 “공영방송이 정권에 장악당하기 전 방송3법을 통과해야 하므로 제가 추동해 가고 싶다는 뜻을 알렸고 박찬대 원내대표에게도 얘기했다. 보수 언론의 표적이 될 수 있지만 감수하고 기꺼이 하겠다”고 했다. 이 당선자는 “법안 준비는 거의 끝났고 당론으로 채택될 가능성도 크다"며 "'통과 6개월 후 시행한다'는 조항 등은 현재 의미가 없기 때문에 보완 수정해서 발의하려 한다"고 덧붙였다.
이 당선자는 최근 국경없는기자회가 발표한 한국의 언론자유지수가 47위에서 62위로 급락한 것과 관련해 “15단계 떨어진 것보다 더 심각하다. 김건희 여사 명품백 수수 의혹을 보며 우리나라 언론 상황이 독재 시대로 회귀했다고 생각했다”고 비판했다.
국경없는기자회는 우리나라 언론 환경을 기존 ‘양호’에서 ‘문제 있음’으로 하향 조정했으며 스웨덴 민주주의다양성연구소는 지난 3월 발표한 민주주의보고서에서 한국을 ‘독재화가 진행 중인 국가’로 꼽았다.
이 당선자는 “어느 정권보다 언론탄압이 심각하다. 방송통신위원회는 통제 기구로 전락했고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검열 기구로 모든 기사를 감시하고 있다"며 "언론인은 말할 것도 없고 언론사 자체도 견디기 힘들 정도”라고 지적했다.
이 당선자는 윤 대통령 취임 2주년 기자회견과 관련해 “국민들이 총선을 통해 심판했는데도 윤 대통령은 여전히 민심을 모르고 외면하고 있음을 느꼈다. 변화의 가능성이 전혀 없고 마지막 기회를 놓쳤다”면서 “채해병 특검을 수용하지 않으면 민심은 완전히 떠날 것이고, 조만간 심각한 레임덕이 오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국회 상임위원회로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를 희망하는 이 당선자는 ‘네이버·라인’ 사태와 관련해 “현 정부의 굴욕적 한일 관계 때문에 'IT 경술국치'라는 말까지 나온다. 지금 정권의 한계를 명확히 보여준다”며 “정부가 빠르게 조치를 취해야 된다”고 말했다.
이 당선자는 1991년 인천일보 기자로 언론계 발을 들였으며 수도권 민영방송 iTV와 후신인 OBS에서 기자 활동과 언론 운동을 했다. 이 당선자는 iTV 시절 노조위원장을 지내며 대주주에 맞서 방송 사유화 저지 투쟁을 이끌었다. 민주당은 지난 2월 이 당선자를 “방송사유화 저지에 앞장선 인물”이라며 총선 언론계 몫 인재로 영입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언론자유지수 폭락 "모든 책임은 윤 대통령, 방송3법 수용하라"
- 민주당, 방송3법 당론 재추진 확인
- "국민의힘, 언론자유 회피하면 보수 절멸 못 피해"
- 민주당, 영수회담 주요 의제로 "윤석열 정권 언론탄압" 못박아
- '방송3법', 영수회담 의제 불발되나
- "야당, '윤 정권 언론탄압' 안일… 8월 MBC 바뀌면 손 못써"
- '정권심판' 야당 압승에도 MBC 장악 저지는 현재진행형
- 미리보는 22대 국회 과방위…최대 화두는 방통·방심위 개혁
- 국민의힘 궤멸적 총선 참패에 "언론탄압에 대한 엄중한 심판"
- 전·현직 언론인 119명 "방통위·방심위 대통령 몫 삭제해야"
- "22대 국회, MBC 방문진 이사 교체 전 임명동의제 도입하라"
- 민주당 영입인재가 그리는 건강한 언론 생태계란
- 민주당, '권력에 맞선 언론인' 이훈기·노종면 인재 영입
- 윤 대통령, 예상대로 방송3법·노란봉투법 거부권 행사
- “종편처럼 공영방송 재편되면 되돌리기 불가능합니다”
- 학회 포럼 두고 'MBC 민영화' 말나온 방문진
- 민주당, 방송3법 등 '거부권 행사' 법안 전부 재추진
- "22대 국회, 방송3법·국정조사로 '국민 입틀막' 막아야"
- 우원식 국회의장 후보 "방송3법 재입법 위해 최선 다할 것"
- 이훈기, '공포 즉시 시행' 방송3법 발의
- 야7당 "김홍일·류희림·박민, 언론탄압 부역 책임 단호히 물을 것"
- 22대 국회 야7당 첫 입법 공조는 '방송3법'
- '방송3법' 대안 없는 국힘서 '낙하산 사장 명문화' 득세하나
- 국힘 불참 속 과방위 개최… 민주당 '방송3법·업무보고' 속도전
- [포토뉴스] "방송3법 거부하는 자가 방송장악 주범입니다"
- 편성규약 빠진 방송3+1법에 "박민 체제 KBS를 보라"
- 방통위가 공영방송 이사 6명 관여하는데 좌파 언론장악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