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방미 직전 워싱턴포스트(WP)와의 인터뷰에서 "100년 전 일로 일본인들과의 협력이 절대 불가능하다거나, 일본인들이 용서를 구하기 위해 무릎을 꿇어야 한다는 생각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역사를 잊은 대통령의 망언 리스크가 터졌다는 야당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윤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각) 보도된 워싱턴포스트 인터뷰에서 "유럽은 지난 100년 동안 여러 차례 전쟁을 경험했지만, 그럼에도 전쟁을 치른 국가들은 미래를 위해 협력할 방법을 찾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한국의 안보 문제가 일본과의 협력을 미루기에 너무 급박했다면서 결단이 필요한 문제였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일부 비판론자들이 자신의 결단을 결코 납득할 수 없을 것이라고 했다. 또 윤 대통령은 국민들을 설득하는 데 있어 최선을 다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이번 인터뷰에서 일본에 대해 길게 얘기했다고 한다.

윤 대통령의 발언이 공개되자 야당에서는 곧바로 '역사를 잊은 대통령'이라는 비판이 이어졌다.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자신의 SNS에 "일본 총리의 망언이라 비판해도 모자랄 지경의 이 발언이 대한민국 대통령의 국빈방문 첫날에 나온 언론 인터뷰, 맞나"라며 "대통령의 무개념 인터뷰에 민심은 피멍이 든다"고 비판했다.
박 의원은 "용서 구할 필요가 없다면, 도대체 무라야마 담화와 고노 담화는 무엇이었으며 하토야마 전 총리가 서대문 형무소에서 무릎꿇고 사죄는 괜히 했다는 소리인가"라며 "지금 역대 정부의 역사인식을 계승하겠다는 한일 정상화담의 일본 총리 입장을 대통령이 나서서 찢어버리는 만행을 저지른 것이다. 위안부, 강제징용 피해자들이 들으면 그야말로 피가 거꾸로 솟을 말을 어떻게 대한민국 대통령이 한 것인가"라고 날을 세웠다.
민주당 강선우 대변인은 브리핑을 열고 "윤 대통령은 어느 나라 대통령이기에 일본을 대변하고 있나"라며 "일본은 지금도 과거사에 대한 반성과 사과를 부정하고 있다. 미래를 위해 일본을 용서하라는 말인가. 그 미래는 누구를 위한 미래인가"라고 지적했다. 강 대변인은 "거짓된 주장으로 국민을 우롱하지 말라"며 "이럴 거면 지난 대선 당시 당당하게 일본을 용서하자고 말하지 그랬나"라고 했다.
정의당 위선희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국민의 걱정이 많은 미국순방 직전에 또 입리스크를 터뜨렸다. 국민을 폄훼하고, 국격을 실추시킨 망언"이라며 "망상에 가까운 생각으로 우리 국민을 무턱대고 과거에만 얽매여 안보나 한일협력에는 생각 없는 국민들로 매도했다. 즉각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위 대변인은 "한일관계의 진정한 개선을 위해 사과할 것은 분명히 사과하고, 전범기업들이 피해보상을 직접 해야한다는 것이 국민적 요구, 국민적 상식"이라며 "제대로 된 반성과 사과 없이는 100년 전 일이 아니라 현재의 일이다. 윤 대통령은 이를 제대로 직시하라"고 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유승민, '일제 강제동원' 해법에 "박정희도 그렇게 안 해"
- "한국에서 하던 것처럼 일본언론 상대로 소송하라"
- 교수·연구자단체 "강제동원 전범기업 판결금 대납 철회하라"
- 보수언론, '위안부·독도' 논란에 '일본 언론플레이' 방점
- 일본이 양보한 것은 ‘오므라이스’ 정도였다
- 일본 경제산업성 장관 "반도체 소재 수출규제 해제된 것 아니다"
- 윤 대통령, 외신 인터뷰 4차례 동안 국내 언론은
- 윤 대통령의 '위험천만' 요미우리 인터뷰에 조선일보는
- 김종인 "당심이 민심이다? 뚱딴지 같은 얘기"
- '강제동원 배상금 대납' 윤석열·박진, 고발당해
- 무엇이 윤석열 정권을 떠받치고 있는가
- 양금덕 할머니, 국회 참고인 출석 무산…왜?
- 강제동원 배상 문제, 윤 대통령 부정평가 1위
- 제3자 변제의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방안에 국민 과반 "굴욕적"
- 윤 대통령이 보라고 했던 천공 유튜브 "3000년 지나도 사과하라 할 거냐"
- ‘역사와 양심의 법정’에서 윤석열 정부 강제징용 해법은…
- '소시오패스'급 일제강제동원 배상안에 조선일보는
- 윤 대통령 인터뷰 WP기자, '오역' 주장에 한국어 원문 공개
- 벤자민 엥겔 교수 "여당의 번역 스캔들, 우스꽝스러워"
- WP, 윤 대통령 '주어 논란'에 "우리 보도 문제없다"
- 정부·여당발 WP 윤 대통령 인터뷰 '오역' 논란, 일단락
- 윤 대통령 실언 리스크에 '검사 DNA'가 거론되는 이유
- 가짜뉴스 규정하는 가짜뉴스 외교
- 외신만 상대하는 윤 대통령, 국내언론 질문이 까칠합니까
- 매일경제 제정신인가…"사도광산에 '징용역사' 반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