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10.29 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가 ‘유가족과 지속적으로 소통했다’는 서울시 주장과 관련해 “일방적인 통보만 있었다”고 반박했다. 유가족협의회는 “서울시와 더 이상 직접소통하지 않을 것”이라며 “시청 분향소를 굳건히 지킬 것”이라고 밝혔다. 

오신환 서울시 정무부시장은 7일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가 기존에 제안했던 녹사평역에 대한 수용여부와 불수용시 유가족 측이 생각하는 추모공간 대안을 이번 주말인 12일까지 제안해줄 것을 요청한다”며 “그 시간까지 앞으로 일주일 동안 행정대집행을 미루겠다"고 말했다.

7일 오전 서울광장에 마련된 10·29 이태원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를 찾은 시민이 조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7일 오전 서울광장에 마련된 10·29 이태원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를 찾은 시민이 조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유가족과 소통을 이어왔다고 주장한 서울시는 유가족 측이 사고 현장 인근 공공건물을 추모공간으로 마련해달라 요청했으나 이용이 어려워 녹사평역 내 이용가능한 공간을 제안했다는 입장이다. 오 정무부시장은 “서울시는 녹사평역 역사 내를 제안했는데, 유가족 측이 갑자기 지난 참사 100일 추모제 직전에 기습·무단으로 분향소를 설치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세훈 서울시장이 유가족과 만날 계획이 있나’라는 질문에 오 정무부시장은 “기존 녹사평역 지상 시민분향소에서 조문하면서 유가족과 이미 만난 바 있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나 유가족협의회는 같은 날 성명을 내어 “지속적으로 ‘협의’해 왔다는 서울시의 발표는 사실과 다르다”며 “일방적인 면담 요청만 있었고 추모, 소통공간에 대해서는 지난해 12월 21일 제안한 민간건물 3곳 이외에 어떤 제안이나 협의도 없었다”고 밝혔다.

유가족협의회는 “공식적으로 세종로 공원 분향소 설치를 요청했음에도 불구하고 (서울시는) 이를 단박에 거절하고 녹사평역 지하 4층을 ‘기습적으로’ 제안한 사실을 호도하고 있다”며 “서울시는 유가족의 의사와 관계없이 녹사평역 지하 4층을 분향소로 옮기라는 무언의 압박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유가족협의회는 “녹사평 지하4층을 던져주고 받으려면 받고 말려면 말아라는 식의 안하무인격 태도를 협의라고 한다면 더 이상 소통은 불가능하다”며 “망자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도 없는 서울시와 직접 소통 하지 않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유가족협의회의에 따르면 ‘100일 추모대회’를 앞둔 지난달 30일 서울시 복지정책실 국장에게 세종로공원에 분향소 설치를 제안했다. 그러나 이튿날 서울시는 전화로 불허를 통보했다. 

이후 오신환 정무부시장은 사적으로 유가족협의회 부대표에게 전화를 걸어 ‘녹사평역 지하 4층을 추모·소통의 공간으로 마련했다’고 통보했으며 이에 유가족협의회 부대표는 해당 장소는 부적절하고, 서울시가 세종로 공원 분향소를 거절한 이상 서울시의 제안을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답했다.

오신환 서울시 정무부시장이 7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이태원 추모공간 관련 입장 브리핑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오신환 서울시 정무부시장이 7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이태원 추모공간 관련 입장 브리핑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또 ‘지난달 6일 오세훈 시장이 분향소를 조문했고 이 자리에서 유가족과 직접 소통했다’는 서울시의 주장에 대해 유가족협의회는 “그 자리에서 추모공간을 제안하거나 논의를 한 바도 없고, 그저 기자를 대동해 유가족들과 소통하는 듯한 모습을 찍으려는 했을 뿐이다. 이를 ‘직접 만나 소통했다’고 표현하니 실소를 금할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유가족협의회는 “10.29 이태원 참사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자신의 책무를 다하지 못해 발생한 것”이라며 “국가가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해 공간을 마련하는 것은 당연함에도, 마치 선심 베푸는 듯한 태도로 유족의 의사를 고려하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통지하는 서울시야말로 소통할 의지가 없다고밖에 볼 수 없다”고 비판했다. 

유가족협의회는 “초라하고 서럽더라도 유가족들과 시민들의 힘으로 세운 시청분향소를 굳건히 지킬 것”이라며 “관혼상제로 세운 시청분향소를 행정대집행하겠다는 것은 절차적으로나 내용적으로나 위법하다. 참사의 책임자 중 하나인 서울시가 최소한의 책임감도 없이 ‘불법’이라는 딱지를 붙이며 후안무치한 처사를 계속할 경우 유가족과 시민들의 강력한 저항에 부딪힐 것”이라고 경고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