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참여연대가 10.29 이태원 참사 생존자 사망에 대해 “생각이 좀 더 굳건했으면 좋았을 것”이라고 발언한 한덕수 국무총리를 향해 “피해자들에게 책임을 전가하고 있다”고 규탄했다.

한 총리는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총리실 산하 원스톱종합지원센터에서 극단적 선택을 한 학생에게 어떤 지원을 했냐’는 질문을 받았다. 이에 한 총리는 “지원센터 쪽에서 (치료를) 했는지에 대해서는 상황을 좀 더 파악해보고 있는 중”이라며 “좀 더 굳건하고, 치료를 받아야겠다는 생각이 더 강하면 좋지 않았을까”라고 말했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출입 기자들과 만나 백브리핑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한덕수 국무총리가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출입 기자들과 만나 백브리핑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참여연대는 같은 날 저녁 성명을 내어 “안전을 책임져야 할 정부의 답답하고 무책임한 행동이 오히려 피해자들의 말문을 가로막았다”며 “역할을 망각한 정부 책임자 한덕수가 던진 이 무책임한 한마디가 또 다른 피해자들의 힘과 용기를 모욕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참여연대는 “‘더 이상 죽지 않게 해주면 좋겠다’, ‘살아남아야 하는 나라 말고, 살아갈 수 있는 나라’ 이태원역 1번 출구에 시민이 남긴 말”이라며 “언제까지 그 바람을 외면할 것인가”라고 따져물었다. 참여연대는 “정부가 할 일은 모욕과 막말이 아니라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일”이라며 “한덕수 총리는 사과하라. 정부는 희생자와 생존자들에 대한 모욕을 중단하고 책임을 다하라”고 촉구했다.

야당은 ‘충격적인 망언’이라며 한 총리의 사퇴를 요구했다.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을 통해 “국무총리라는 사람이 정부 책임을 회피할 궁리만 하고 있다"며 "한 총리의 발언은 참사에 대한 윤석열 정부의 태도가 얼마나 몰염치한지 적나라하게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 주도의 영정도, 위패도 없는 국가애도기간으로 제 할 일을 다 했다는 듯 책임을 회피하는 정부 태도는 뻔뻔하다"며 "누가 158명의 국민이 목숨을 잃도록 방치했냐. 바로 정부이다. 그런데도 책임을 회피할 궁리만 하고 있으니 기가 막힐 뿐"이라고 말했다.

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개인 페이스북에 “충격적인 망언을 쏟아냈다”며 “한 총리가 나서서 이 청소년의 죽음이 본인 탓이라며 벼랑 끝에 서있는 사람 등까지 떠미는데, 활개치는 악성 댓글에 날개를 달아주는 꼴이다. 참으로 자격 없다”고 비판했다.

여당에서도 비판이 나왔다.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은 개인 페이스북에 “공감 능력 제로다. 이게 안타까운 비극 앞에서 총리가 할 말이냐”고 물었다. 유 전 의원은 “생존자들이 얼마나 큰 심리적 충격을 겪고 있는지 제대로 돌아보지 못했음을 사과부터 해야하는 것 아니냐”며 “어떡하면 책임을 회피하나, 이런 생각만 하니까 저런 말이 툭 튀어나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한 총리의 발언에 대한 비판이 일자 총리실은 해명자료를 통해 “안타까운 마음의 표현일 뿐, 비극의 책임을 개인에게 돌리거나 국가의 책무를 벗으려는 의도가 아니었다”고 밝혔다. 총리실은 “한 총리는 이러한 안타까운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정부가 더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국민들께서도 관심을 가져주시도록 당부했다”고 덧붙였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