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국민의힘이 윤석열 대통령의 '욕설' 동영상을 처음 보도한 MBC에 대해 법적 대응과 항의방문을 예고하는 등 전방위 압박을 가하고 있다. 이에 대해 언론현업단체들은 “자신들의 실책과 치부를 언론탓으로 돌려 언론탄압의 불쏘시개로 삼으려 한다”고 규탄했다.

전국언론노동조합, 한국기자협회, 방송기자연합회, 한국PD연합회, 한국영상기자협회,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 등 언론현업단체는 27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진상규명 운운하며 언론탄압 획책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27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의 욕설·비속어 논란 책임전가 규탄’ 현업언론단체 긴급 공동기자회견이 열렸다.(사진=미디어스)
27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의 욕설·비속어 논란 책임전가 규탄’ 현업언론단체 긴급 공동기자회견이 열렸다.(사진=미디어스)

나준영 한국영상기자협회장은 윤 대통령 순방을 취재한 풀 기자단의 취재 상황을 설명했다. 나 협회장은 당시 윤 대통령의 글로벌펀드 재정회의 참여는 갑작스럽게 생긴 일정으로 취재진이 제한된 범위 내에서 취재를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으며 해당 영상은 바로 한국에 전달돼 현장 취재 기자는 영상에 어떠한 내용이 담겨있는지 파악하기 어려웠다고 말했다. 

나 협회장은 오히려 대통령실 대외협력실 공무원이 해당 영상을 보도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제안을 구했다고 밝혔다. 나 협회장은 “현장 기자들이 영상을 조작하거나 왜곡할 상황이 아니다. 이걸 잘 아는 사람들이 홍보수석실 사람들인데, 영상의 진위를 따져야 한다고 주장한 건 정말 문제”라고 지적했다. 

윤창현 언론노조 위원장은 “윤 대통령의 (약식 기자회견) 발언을 들으며 머릿속이 아득해졌다”며 “대한민국이 만들어진 이래 최고 권력자인 대통령이 사고를 쳐놓고 그 책임을 언론에 완전히 전가하는 것은 독재시절에도 듣도 보도 못한 일”이라고 비판했다. 윤 위원장은 “(윤 대통령 욕설 논란 동영상을) 내보내거나 기사로 작성한 언론사가 무려 140여 개다. 이들 언론사가 작당해서 ‘동맹 훼손을 시도했다’는 해명은 말인가 막걸리냐, 대통령실 관계자들은 당신들의 말이 납득이 되나”라고 비판했다. 

윤 위원장은 “대통령이 깨끗이 사과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하면 될 일을 특정 언론사를 표적해 언론탄압과 방송 장악의 구실로 만들겠다는 뻔한 수를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며 “윤 대통령은 입만 열면 자유를 외치는데, 그 자유의 핵심이 표현의 자유와 언론의 자유다. 만약 계속 책임을 언론에 떠넘긴다면, 모든 능력을 동원해 맞서 싸울 것”이라고 경고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뉴욕에서 열린 글로벌펀드 재정공약회의에 참석했다. (사진=MBC 보도 캡처)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뉴욕에서 열린 글로벌펀드 재정공약회의에 참석했다. (사진=MBC 보도 캡처)

김동훈 한국기자협회장은 “사과 한 마디면 될 일이지만, 대통령이 사과하지 않는 것은 이 정권이 국민을 우습게 보고 있기 때문이고, 언론을 장악의 대상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김 협회장은 “대통령의 주특기가 수사다. 그것도 죄 없는 사람을 별건으로 기소하는 것을 아주 잘한다”고 꼬집었다. 

김 협회장은 “‘진상규명’이라는 발언 한 마디가 나오자, 국민의힘은 MBC를 고발했다”며 “그들이 전가의 보도처럼 써먹는 ‘뒤집어 씌우기’가 시작된 것이다. 이 정권의 언론에 대한 겁박과 재갈 물리기가 시작됐다”고 말했다. 김 협회장은 “언론에 재갈을 물리기 전에 본인 입부터 단속하라”며 “언론현업단체는 대통령의 실언을 언론 탓으로 돌리고 언론인을 겁박하는 정부 여당에 당당하고 의연하게 맞설 것”이라고 했다. 

이날 언론 보도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최지원 한국PD연합회 회장은 이채훈 정책위원이 대독한 입장문에서 “일부 언론에 대해 유감을 표하지 않을 수 없다”며 “참과 거짓을 밝혀야 할 언론이 둘을 나란히 놓고, ‘의견 대립’인 양 보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 PD연합회장은 “거짓이 의견으로 격상되고, 팩트가 의견으로 격하되면 거짓말하는 쪽을 돕는 결과가 나온다”며 “심지어 윤 대통령의 입장에 대해 일부 언론은 ‘정면돌파를 택했다’는 표현까지 쓴다. (자신의 실언을) 언론 탓하며, 보복을 꾀하는 것은 ‘정면돌파’가 아닌 ‘적반하장’이라 해야 맞다”고 바로잡았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