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와 다음 이용자들이 구글로 '사이버 망명'을 떠나고 있다.

서울신문의 24일 보도에 따르면(관련기사 <"규제 못참아" 네티즌 사이버 망명> 참조) 순이용자수(UV)가 올해 6월 대비 지난주, 포털 네이버와 다음 모두 350여만명이 줄어 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구글은 작년 6월대비 올해 130만명이 늘어났다.

이와 관련 서울신문은 한 포털업체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정보기술 강국이라는 우리나라 정부가 오히려 국내 사업자를 역차별하는 바람에 공연히 구글만 앉아서 이익을 얻고 있다"고 전했다.

▲ 다음 '아고라'
이러한 네티즌의 '사이버 망명' 사태는 △불법게시물 삭제 명령 위반시 정부가 사이트를 폐쇄할 수 있는 법 제정 예고 △인터넷 실명제 확대 적용 △법무부의 사이버 모욕죄 신설 등 '사이버 공안정국'으로까지 일컬어지는 현 정부 방침에 맞선 네티즌 나름의 타개책으로 풀이된다.

최근 방통심의위가 포털 다음의 '조중동 광고주 압박' 관련 게시물에 대해 삭제 결정을 내린 직후, 다음 아고라에서는 해외 사이트인 "구글그룹스로 옮겨 가자"는 의견과 "끝까지 아고라를 지키자"는 의견 등 네티즌들끼리 구체적인 대응 방안이 나오기 시작했다.

이후 검찰이 조중동 관련 게시물을 작성한 네티즌 20여명에 대해 '출국금지' 처벌이 내려지고, 해당 네티즌에 대한 검찰 소환 조사 등이 진행됐고 지난 22일 방송통신위원회의 '인터넷 정보보호 종합대책' 발표 및 문화체육관광부의 '저작권법 개정안 입법예고' 등이 이어졌다.

이렇듯 인터넷을 둘러싼 정부의 전방위적인 '규제' 정책이 계속되자 네티즌들의 사이버 망명' 현상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앞으로도 정부의 '규제'에 맞선 네티즌의 '자율' 간 대립은 상당히 격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정부의 인터넷 규제에 대항하는 '대안 포털' 등 다양한 제안들이 나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4일 다음의 아고라 게시판에 자신을 프로그래머라고 밝힌 네티즌이 "P2P형태의 아고라를 구현하자"라는 글을 올렸다. 'P2P형태의 아고라'는 단일서버(회사)에 저장(소속)되지 않기 때문에 인터넷을 끊어버리지 않는 한 어떠한 방법으로도 차단 될 수 없다는 설명이다. 네티즌들에게 공동 개발을 제안하기도 했다. (관련글 <P2P형태의 아고라 구현 제안>)

한편 언론사 및 시민단체에서도 '대안적인 인터넷 여론의 장'에 대한 고민이 계속되고 있다. 지난 11일 공공미디어 연구소 주최로 열린 포럼<진보적 신문의 도약을 위한 탐색: 경향신문과 한겨레를 논한다> 에서는 한겨레,경향신문,오마이뉴스 등이 참가한 가운데 "권력에 독립적인 비상업적 '국민 포털'을 만들자"는 등의 제안이 나왔다. 또 이준희 인터넷기자협회장은 24일 <미디어스> 기고문에서 각계 각층이 참여하는 '인터넷 국민 여론 위원회' 설립의 필요성을 주장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