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 언론 살리고 상업포털의 한계에 맞서는 대안으로 공공적인 '국민 포털'을 만들자"

도형래 공공미디어연구소 연구원은 11일 오전 열린 포럼 <진보적 신문의 도약을 위한 탐색: 경향신문과 한겨레를 논한다>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도형래 연구원은 이날 발제에서 "현재 조중동 불매운동과 광고주 압박이 신문광고시장 전체의 침체를 가져올 것이라는 우려와 함께 네거티브 운동의 한계에 대한 논의가 불거지고 있다"면서 "구독료 선납 방식 등 장기적 관점에서 경향신문과 한겨레를 직접 지원해야 조중동 불매운동의 성과를 거둘 것"이라고 지적했다.

▲ 11일 오전 열린 포럼 <진보적 신문의 도약을 위한 탐색: 경향신문과 한겨레를 논한다>ⓒ정영은
또 최근 조중동 불매운동 게시글 관련 포털에 대한 정부의 압박과 네이버의 메인화면 뉴스 편집 중단 선언 등의 사례를 들면서 "다음 아고라 이용자들은 포털의 횡포와 다음 아고라의 폐쇄 등에 대비해 이미 agorian.org 라는 커뮤니티 사이트를 구성해놓았다"면서 "경향신문과 한겨레 등이 중심이 되어 권력과 자본에 독립적인 제3의 '국민 포털'을 통해 새로운 신문기사 유통시스템을 만들자"고 제안했다.

지속적인 건강한 언론 지원을 위한 공공 기금 필요

이에 두번째 발제자로 나온 안수찬 한겨레 기자는 촛불 정국과 한겨레 경향 지지여론에 대해 "조중동 불매운동은 한겨레와 경향에게 '보약'일수는 있지만 '일용할 양식'은 아니다"면서 "당장의 '대변'이 아니라 지속적인 '정론'을 원하는 건강한 시민사회가 스스로 자본이 되고 시장이 되는 것만이 유일한 해법"이라고 제시했다.

안 기자는 "거대하고 강력한 '참언론재단'의 형성으로 새로운 동력을 꿈꾼다"며 권력과 기업으로 부터 자유로운 공공기금을 형성해 뜻있는 여러 언론매체를 지원하는 방안을 내놓았다. 이어 그는 "조중동이 신문시장서 1,2,3등 하라고 해라"면서 "그저 한겨레와 경향 등은 건강한 담론을 적절히 생산할 수 있을 정도의 물리력과 자생력을 갖추어 '지속가능한 강소매체' 정도라도 가능하면 좋겠다"고 밝혔다.

"콘텐츠 탓만하며 왜곡된 시장구조 방치한 경영진이 문제"

김정섭 경향신문 기자도 신문시장의 조중동 탈법 영업에 의한 구조적 문제점을 "오늘의 토론은 무엇보다 경향신문과 한겨레의 사장 등 경영진과 판매국장, 편집국장 등이 함께 논의를 하는 게 시급하다고 생각한다"면서 독립적인 매체들의 자율 통폐합 방안을 구상해보자는 제안을 내놓았다.

이어진 토론에서 신학림 미디어스 기자는 "네티즌들이 한겨레와 경향에 응원광고를 실어도 지방에 배달되지 않아 보지 못하는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면서 "콘텐츠가 아무리 좋아도 현재 불법탈법 조중동 영업이 횡행하는 시장구조에서는 가망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또 " 한겨레와 경향의 역대 경영진이 가장 큰 책임이 크다"고 지적하면서 "문제투성이인 시장구조 해결은 그대로 두면서 '콘텐츠만 좋으면 팔린다'는 역대 한겨레와 경향 등 경영진의 입장은 그야말로 한심한 현실인식"이라고 비판했다.

신 기자는 "신문시장이 불법경품과 탈법 영업 등이 해소되어 공정한 경쟁이 가능하고 또 신문고시가 제대로 지켜진다는 전제 하에서는 한겨레와 경향 등이 살아날 가능성이 생긴다"면서 최근 성역없는 보도와 언론에 대해 국민들이 적극 지원하는 공감대가 형성되었으니 발제자들이 제안한 국민포털, 참언론재단 등 논의를 통해 새로운 동력을 만들어가자"고 강조했다.

▲ 미디어스 신학림 기자ⓒ정영은
시사IN 독자편집위원장을 맡기도 한 오승주 오마이뉴스 시민기자는 "지방에서 내가 낸 경향신문 의견광고를 볼수없는 문제를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면서 "보다 지역과 약자, 독자들의 목소리에 귀기울여 작은 전쟁에서의 승리를 많이 만들어나가는 발랄한 변화가 요청된다"고 주장했다.

이은주 한국언론재단 객원연구위원은 국민포털 및 참언론재단 등 장기적 매체 지원책에 대해 "무리하게 진보의 이름으로 '국민포털'로 묶어내기 보다는 개별매체가 각자의 목소리를 내도록 지원하는 방안이 가능하다고 본다"고 평가했다.

이어진 자유토론에서 청중석에 있던 조준상 공공미디어 연구소 부소장은 "신문배달 및 지국문제 정상화를 위해 공동배달제 도입을 위해 출범한 신문유통원 원장의 임기가 올해 10월까지다. 그동안 공동배달제에 절대 반대했던 조중동 출신이 유통원 원장으로 들어올 수도 있다"면서 "한겨레와 경향 등 회사 경영진들이 신문 판매배달국 개선부터 시작해야 하고 그 이후에 국민포털 등 콘텐츠 유통 협업으로 넘어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정민 언론노조 정책국장도 "시장의 왜곡된 구조를 혁파하지 않고서는 콘텐츠로는 한계 있을 수 밖에 없고 살아남기 힘들다"면서 "조중동의 왜곡된 영업능력으로 독자를 늘려나가는 현재 상황을 끊어내기 위해서는 한겨레와 경향 뿐 아니라 시민단체나 독자들까지 자발적인 소비자 운동이나 정부 압박 등 최대한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조선일보 영업국에 일한 적이 있다고 자신을 소개한 청중은 "조선일보 등 거대 신문사들의 영업 횡포로 인한 신문시장의 독점 문제가 수면아래로 묻혀왔다"면서 "이번 촛불 정국을 계기로 부각되었으니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히기도 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