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TBS 새벽~아침 라디오 방송이 중단됐다. TBS는 국민의힘이 주도한 서울시 출연금 지원 중단으로 존폐 위기에 내몰린 상황이다.
TBS는 조금이라도 더 회사를 유지하기 위해 부분 정파를 결정했다고 한다. 야당은 한 개의 권력 비판 프로그램을 이유로 방송사를 공준분해시킨 것이라며 국정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10일부터 TBS 라디오(FM 95.1MHz)는 오전 12시부터 7시간 정파된다. TBS 관계자 등에 따르면 라디오 정파는 재정난으로 인한 결정이다. 조금이라도 더 회사를 유지하기 위한 고육지책이라는 설명이다. 하지만 향후 정파 시간이 늘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우려가 나온다.
국민의힘 소속 서울시의원들의 조례 폐지로 이달부터 TBS에 대한 서울시 출연금 지원이 중단됐다. 서울시 출연금은 TBS 전체 예산의 70%가량 차지하고 있었다. TBS는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김홍일) 규제로 상업광고가 불가능한 지역공영방송사다. 안팎에서 TBS를 유지할 시간이 2개월 남짓밖에 되지 않는다고 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간사 김현 의원은 11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TBS 사태에 대한 국정조사를 촉구할 예정이다. 기자회견에는 신장식 조국혁신당 의원, 한창민 사회민주당 의원, TBS 양대노조(TBS노동조합·언론노조 TBS지부)가 함께한다. 11일은 TBS 개국 35주년이 되는 날이다.
김 의원과 TBS 양대노조는 "폐국 위기를 맞은 TBS 사태는 서울시장 오세훈과 서울시의회 국민의힘 의원을 넘어 윤석열 정부가 기획한 명백한 언론탄압"이라며 "권력에 비판적인 특정 프로그램 하나 때문에 방송사를 공중분해시킨 초유의 사태이며 1980년 언론통폐합 이후 국가권력에 의해 공영방송이 사라지는 유례없는 사건이다. 이를 기획하고 실행한 모든 과정을 낱낱이 밝히는 것은 22대 국회의 의무"라고 강조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TBS 폐지 조례' 시행 열흘 앞 "오세훈 시장, 폐국만은 막아달라"
- TBS '공중분해' 거론되는데 손놓은 방통위
- TBS 사장 직무대행에 이성구 이사
- 서울시, 'TBS 지원 폐지' 한달 앞두고 '3개월 유예' 추진
- "TBS 지원 연장돼야" 오세훈, '부당해고' 문제엔 "관여 불가"
- 'TBS 폐지조례' D-40, 오세훈 "제 입장 시의회와 많이 달라"
- 서울지노위, 전 TBS 전략기획실장·라디오본부장 '부당해고' 판정
- '공공기관·지자체 인수' 활로 찾는 TBS
- 서울시, TBS '폐국' 몰아넣고 '헤어질 결심'
- '폐국 위기' TBS, 대표 퇴사에 추가 희망퇴직 권고
- TBS 양대노조가 "민영화 전면 백지화" 요구하는 이유
- 오세훈 "TBS 직원 생계 고민"…민영화 백지화는?
- TBS 대표·경영본부장 사표…경영 리더십 붕괴
- 생계 위협 내몰린 TBS 직원·가족들, 오세훈·김현기에 '호소문'
- "이대로라면 공영방송 최초의 폐업 사태 맞이할 겁니다"
- TBS 지원폐지 조례 시행 '5개월' 유예
- TBS, 2024년 1월 1일부터 서울시 출연금 0원
- TBS 대표·이사장, 결국에 '민영화·구조조정' 선언
- 서울시, 'TBS 지원 폐지 조례' 시행 6개월 연장 요청
- TBS 이사장에 '박근혜 애국 코드' 박노황…서울시 "시의회 소통 적임자"
- TBS 아나운서가 '방송작가' 상 받은 사연
- 야5당, TBS 탄압 책임자로 오세훈·김홍일·김현기 지목
- TBS 엎친 데 덮친 구조조정…"이성구 대표 직대 사퇴하라"
- "TBS는 버틸 수 있는 한 방송을 계속하려고 합니다”
- 결국 서울시 출연기관 해제된 TBS …"방통위 정관 변경 차일피일"
- 방통위, '9월 임금 체불' TBS 정관변경 안하나 못하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