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방송통신위원회가 ‘YTN 최다액출자자 변경 승인’을 보류한 가운데, YTN 구성원들이 ”의외의 결과지만, 승리는 아니다“라며 “방송장악 기술자 이동관을 반드시 탄핵해 매각을 막아낼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방통위는 29일 전체회의를 열고 유진그룹이 신청한 ‘YTN 최다액 출자자 변경' 승인을 보류했다. 속전속결로 진행되던 YTN 사영화에 제동이 걸렸다. 예고된 이동관 위원장 탄핵 소추에 앞서 방통위의 YTN 사영화 작업이 마무리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언론노조와 YTN 구성원들이 29일 서울 마포구 YTN 사옥 앞에서 '불법 방통위 YTN 날치기 매각 규탄한다'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사진=미디어스)
언론노조와 YTN 구성원들이 29일 서울 마포구 YTN 사옥 앞에서 '불법 방통위 YTN 날치기 매각 규탄한다'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사진=미디어스)

이날 심사위원회는 ‘유진그룹을 YTN 최대주주로 승인한다’는 내용의 종합 의견을 내면서도 유진그룹의 방송의 공적책임 계획 근거가 부족하고, ESG 경영 평가·사회적 신용·재무적 위험성 등 부정적 요인이 상당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이상인 방통위 부위원장은 “보도PP의 사회적 영향력과 방송의 공적 책임, 공공성, 공익성의 중요성을 고려해 신중한 결과를 도출할 필요가 있다”는 보류 입장을 밝혔다.  

전국언론노동조합과 언론노조 YTN지부, YTN 구성원들은 서울시 마포구 상암동 YTN 사옥 앞에서 ‘불법 방통위, YTN 날치기 매각 규탄’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에서 “어느 언론사보다 강력한 공정방송제도를 갖추고 있는 YTN을 쉽게 허물 수 없을 것”이라며 “30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YTN을 지켜온 것은 구성원들로 외환위기를 이겨냈고, 이명박·박근혜 정권에서 공정방송을 지켜냈다. YTN은 결코 장악되지 않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고한석 YTN 지부장은 “의외의 결과가 나왔지만 승리는 결코 아니다”라며 “심사위원단이 종합 의견에서는 유진그룹의 YTN 최대주주 자격을 승인해 줬기 때문이다. 굳이 풀이하자면 승인 보류인 셈”이라고 말했다. 고 지부장은 “방송장악 기술자 이동관을 반드시 탄핵해 YTN 매각을 반드시 막아내겠다”며 “반드시 지켜져야 하는 것은 고용 안정과 공정방송이다. 방통위가 어떤 행태를 보일지, 윤석열 정권이 어떤 꼼수를 쓸지 모르겠지만 단결된 힘으로 반드시 막아내자”고 말했다.  

29일 서울 마포구 YTN 사옥 앞에서 열린 '불법 방통위 YTN 날치기 매각 규탄한다' 기자회견에서 고한석 YTN 지부장이 발언을 하고 있다.(사진=미디어스)
29일 서울 마포구 YTN 사옥 앞에서 열린 '불법 방통위 YTN 날치기 매각 규탄한다' 기자회견에서 고한석 YTN 지부장이 발언을 하고 있다.(사진=미디어스)

윤창현 언론노조 위원장은 “‘제2, 제3의 이동관이 나올 것’이라며 ‘YTN 불법 사기 매각’ 과정을 밀어붙이던 이동관마저 민심 앞에 결국 걸음을 멈춘 것”이라며 “여기에 관련된 모든 자들에게 남김없이 책임을 물을 것이다. 내일 국회에 상정될 이동관 탄핵 소추안은 그 책임을 묻는 첫 번째 발걸음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위원장은 “윤석열 정권이 언론노동자의 심판을 피하는 길은 대국민 사기로 점철된 YTN 매각을 지금이라도 영구히 중단하는 것 뿐”이라며 “YTN 불법 날치기 졸속 매각이 완전히 멈춰질 때까지 앞장서서 싸울 것”이라고 말했다.

박경준 YTN 기술협력회장은 “이명박·박근혜 정부 10년간 틈만 나면 YTN 민영화 시키겠다고 겁박했지만 지금까지 잘 버텨왔는데, 이번에는 진짜 민영화라고 한다”며 “정권이 힘으로 YTN을 자본에 던져주겠다는데 참담하다. 선배들이 정권에 맞서 공적 가치를 지키며 30년 동안 쌓아온 터전이고, 후배들에게 물려줄 터전인데 누가 감히 주인 행세를 하려고 하나. 이 무도한 짓에 끝까지 책임을 물어 제자리로 바로잡아달라”고 말했다.

이종원 YTN 기자협회장은 “30년간 이어져 온 YTN 공적 소유구조를 민간에 넘기는 일인데 불과 2주가 걸렸다. YTN 구성원은 유진그룹이 왜 보도 채널을 소유하려는지, 어떤 경영 철학을 가졌는지도 모른채 새로운 사주를 맞닥뜨릴 위기에 처해 있었다”면서 “일단 보류 결정이 난 것은 다행이지만, 끝난 것이 아니다. 이어질 후속 절차를 감시할 것이고, YTN의 공정성이 담보될 수 있는 길에 버팀목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양세희 YTN PD는 “정권이 바뀌고 언론인이 압수수색 당하는 등 언론 환경이 악화되는 것을 보았다”며 “아이템을 고를 때 스스로 주저하는 자신도 보았다. 권력을 제대로 감시하고 있는지, 자신에게 의문이 들기 시작했고, 자기 검열은 무력함으로 변해갔다”고 말했다. 양 PD는 “이게 시작일까 두렵다“며 ”어떤 언론인도 겸열받지 않은 언론환경을 바란다. 이것이 YTN의 사영화 시도에 적극 반대하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