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전국언론노동조합 산하 15개 협의회가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의 탄핵을 촉구하는 릴레이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이 위원장이 합의제 기구인 방통위를 대통령 명령수행 기구로 전락시키고, 공영방송 이사 강제 해임과 언론 검열을 획책했다고 비판했다.

8일 언론노조 산하 강원협의회·부산울산경남협의회·방송자회사협의회·인쇄협의회·미디어연대협의회·대구경북협의회·신문통신노조협의회·광주전남협의회·전북지역협의회·제주협의회·방송사노조협의회·충북협의회·경인협의회·대전협의회 등은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방송3법과 이동관 탄핵안 처리를 촉구하는 연속 성명을 발표했다.
언론노조는 방통위, 방송통신심의위원회, 공영방송 이사회, 수신료 재원구조 등 공적 미디어 체제가 흔들렸고 언론 보도 자율성의 상징인 뉴스룸은 압수수색 위협에 노출됐다며 방송3법 처리와 이동관 탄핵을 촉구하고 있다.
민주당은 9일 오후 2시 국회 본회의 전까지 이 위원장에 대한 탄핵소추안 발의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8일 민주당 의원총회에서 이 위원장 탄핵에 반대하는 목소리는 없었다는 게 참석자들의 전언이다. 민주당은 이날 본회의에 방송3법도 상정한다. 또 민주당은 '윤석열 정부 언론장악'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요구서를 8일 국회 의안과에 제출했다.
국민의힘은 취임한 지 3개월도 안 된 이 위원장을 민주당이 의석수를 앞세워 이유 없이 탄핵하려 한다고 반발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방송3법이 본회의에 상정되면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국회 본회의에서 탄핵소추안이 가결되면 헌법재판소 결정이 나올 때까지 이 위원장의 직무는 정지된다.
☞ '방송법 처리·이동관 탄핵 촉구' 100만 서명 바로가기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민주당, '윤석열 정부 언론장악' 국정조사 추진
- 이동관은 헌재 위에 있나 "방송법 직회부, 절차적 문제 심각"
- 언론현업·시민단체 "국회, 하루빨리 방송장악위원장 끌어내려야"
- 민주당, 9일 본회의 이동관 탄핵소추안 상정 "검토 중"
- 이동관 방통위원장 지도부는 국민의힘 논란
- 이동관, 방문진 이사교체 연이은 제동에도 "해임사유 차고 넘쳐"
- "언론탄압 집행관 이동관 탄핵으로 민주주의 다시 세우라"
- 방통위 방문진 이사교체 또 제동…김기중 이사 해임효력 '정지'
- 법원이 방문진 이사장 해임 취소 가능성까지 거론한 이유
- "이동관, 대통령 수행비서 노릇…좌고우면하지 말고 탄핵하라"
- 30대 가짜뉴스에 스텝 꼬인 이동관의 기울어진 운동장론
- 감사원-방통위, 방문진 이사장 해임 '합동작전' 의혹
- 과거 방통위 2인체제 의결 전무…이동관·이상인은
- 방통위, '공영방송 이사 해임 내부문건' 국회 자료제출 거부
- "가짜뉴스 근절하고 싶다면 TV조선·이동관부터"
- 방통위가 항고한다는 "10인 방문진은 비정상" 판결 정리
- 법원, 방통위 공영방송 이사 교체 연이어 제동
- 이동관·이상인 체제 방통위, 공영방송 이사 해임 주저 안해
- 언론노조, 이동관 '직권남용'으로 공수처 고발
- 조중동 소속된 기자협회가 친민주당 세력이라는 국민의힘 박성중
- 민주당, '언론장악' 이동관·'고발사주' 손준성 탄핵안 발의
- 이동관 "방송3법, 대통령 거부권 행사는 당연한 귀결"
- 기자협회 "대통령은 방송장악금지법 거부권 행사 말라"
- 민주당의 이동관 탄핵소추 사유 정리 '방송장악 속도전'
- 민주당, 광화문서 언론장악 저지를 위한 대국민 호소 피케팅
- 홍익표, 이동관 '방통위원 패키지 딜' 발언에 "탄핵 사유"
- YTN 최대주주 변경승인, 이동관 탄핵 소추 전 마무리될까
- '방통위 1인 의결' 압박에도 이동관 탄핵 시계는 예정대로
- 민주당 "1인체제 식물 방통위? 대통령 하기 나름"
- 헌재, '이동관 탄핵안 재발의 문제 없음' 판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