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정의당과 언론현업단체가 한목소리로 정부·여당의 언론 압박이 마치 이명박 정부 당시의 언론탄압을 보는 것 같다고 규탄했다.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정의당과 전국언론노동조합, 한국기자협회, 한국PD연합회, 방송기자연합회, 한국영상기자협회 등은 ‘언론자유와 방송의 정치적 독립’을 주제로 간담회를 진행했다.

정의당과 언론현업단체가 18일 국회에서 '언론자유와 방송의 정치적 독립을 위한 간담회'를 개최하고 있다.(사진=언론노조)
정의당과 언론현업단체가 18일 국회에서 '언론자유와 방송의 정치적 독립을 위한 간담회'를 개최하고 있다.(사진=언론노조)

모두발언에서 이은주 정의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정부 여당이 언론에 보이는 일련의 태도는 명백한 언론탄압”이라며 “특히 이명박 정부의 기시감마저 느껴지는 뜬금없는 YTN 민영화와 KBS 감사는 언론을 길들이기 위해 정부 권력까지 악용한 것으로 매우 우려스럽다. 대통령이 사과하면 끝날 논란을 언론탄압 사태로 키웠다는 점에서 더욱 경악스럽다”고 비판했다.

이 비대위원장은 “정의당은 언론 노동자들과 함께 공영방송 이사를 직접 선출하고 사장을 시민이 추천하는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을 오랫동안 추진해 왔다”며 “이제는 결단을 해야할 시기”라고 강조했다. 

윤창현 언론노조 위원장은 “윤석열 정부와 집권세력인 국민의힘은 공영방송이 국민이 아닌 권력의 이해를 대변해야 한다는 아주 낡은 언론관을 앞세우고 국정감사장에서 입에 담을 수 없는 험한 발언을 쏟아내고 있다”며 “방송의 독립성, 언론자유가 왜 강조될 수밖에 없는지 스스로 입증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 위원장은 “지난해 언론중재법 파동 속에서 정의당은 현업언론인을 정확히 대변했다. 다시 한 번 정의당에 올해가 가기 전에 언론 자유를 강고히 보장하고, 방송 독립을 보장할 수 있는 방송법 개정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윤 위원장은 “올해가 아니면 기회는 영원히 사라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동훈 기자협회장은 “윤석열 정권이 들어선 뒤 역사가 거꾸로 흐르고 있다”며 “얼마 전 국제기자연맹은 국민의힘이 MBC 공세에 나선 것은 명백한 언론자유 침해라고 강조했다. 이게 무슨 국제적 망신인가”라고 비판했다. 

김 협회장은 “이 정권의 적반하장은 MBC 공세뿐 아니라 YTN 민영화 시도, TBS 예산삭감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이명박 정부 당시 정연주 KBS 사장을 압박했던 것과 똑같은 일이 일어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신호 YTN지부장은 ‘우리는 권력과 자본, 편견으로부터 벗어나 보도의 자유와 공정방송의 위상을 수호하기 위해 혼신의 힘을 기울인다’는 YTN 방송강령으로 말문을 열었다. 

신 지부장은 “방송강령은 YTN이 뉴스를 하는 기본 원칙이자 국민과의 약속”이라면서 “YTN을 사유화하려는 시도는 특정 기업에 대한 특혜일 뿐만 아니라 공적 자산인 뉴스채널을 재벌에 헌납하는 것”이라고 규탄했다. 신 지부장은 “민영화 지상주의가 시대를 역행해 언론의 공공성을 파괴하지 않도록 국회가 숙고해 주길 간곡하게 호소한다”고 밝혔다.  

신 지부장은 “YTN의 공공성이 부족하다고 판단한다면 24시간 뉴스채널로서의 공공성을 더욱 강화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 그 방법을 찾는 논의를 위해 정부, 여당, 그리고 시민사회가 다함께 사회적 논의를 해보자는 제안을 한다”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