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이 감사원의 감사로 사퇴 압박을 받고 있다면서 임기를 끝까지 마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감사원은 지난 1일부터 특별조사국 감사관 7명을 권익위에 투입해 3주간 본 감사에 들어갔다. 감사원은 “권익위 제보사항 등이 있어 공직기강 관련 감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감사원이 받은 제보에 전 위원장의 근태와 관련한 내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 위원장은 4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 인터뷰에서 “이미 작년에 권익위는 감사를 마쳤다”며 “통상 3, 4년 후에 감사가 진행되는데 이번 감사는 사실상 정기 감사와 똑같은 재감사라고 볼 수 있다. 매우 이례적”이라고 말했다.
‘세종시 출근 때 지각을 많이 했다는 제보로 감사가 시작됐다’는 진행자의 지적에 “기준을 모든 부처 장관들에게 동일하게 제시하면 표적 감사라는 것이 명확하게 드러난다”며 “장관들에게는 전국이 사실상 다 근무지”라고 설명했다. 전 위원장은 “저 같은 경우 서울이나 지방 현장 방문, 여러 간담회 등의 업무가 있을 때 오전에 서울에서 근무하고, 오후에는 세종 사무실로 가는 경우가 가끔씩 있었는데, 이건 모든 장관이 똑같다”고 말했다.

전 위원장은 “또 인사혁신처가 장관들의 세종 출근율을 아주 정밀하게 평가하고 있다”면서 “권익위는 항상 상위권이다. 상습 지각이라는 잣대를 씌우는데, (사무실에) 아예 안 가는 장관들은 상습 결근이 아닌가”라고 꼬집었다. 전 권익위원장은 “감사원 잣대라면 그게 공정한 것”이라며 “근태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감사 자체가 타당성이 없고 정당성이 없다는 걸 스스로 말하고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감사원에서 나오는 얘기 중에 전 위원장이 설악 오색 케이블카 간담회에 참석한 것은 정치적 위반이라는 말도 있다’는 질문에 전 위원장은 “환경단체와 다툼이 있는 사안이라 사회적 갈등이 매우 첨예하다”며 “이건 전혀 정치적 문제가 아닌 당연한 업무"라고 말했다. 전 위원장은 "전국 모든 곳에서 이렇게 업무를 수행하는데 이것만 집어 정치 편향성이 있다는 것은 ‘트집잡기’가 어렵다는 것을 자인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감사가 어떤 맥락에서 이루어졌다고 보는가’라는 질문에 전 위원장은 “권익위는 법률에 임기와 업무 독립성이 정해져 있다”며 “이런 독립적인 위원회의 위원장을 사실상 중간에 내보내는 것은 법률 위반"이라고 말했다. 전 위원장은 “사실상 감사 개시 사유가 아주 이례적인 이번 감사를 통해 사퇴 압박을 강하게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임기를 채우겠다는 뜻은 여전한가‘라는 질문에 “제 개인의 문제가 아니다. 독립기구인 권익위를 지키는 것은 법과 원칙의 문제라는 생각”이라며 “하루에도 10번씩 사퇴압박을 받는데 너무 힘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민이 임기를 지키라고 강력하게 응원해 주고 있고, 직원들도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주요 기관장은 정부 철학과 공유할 수 있는 사람이 해야 한다'는 여당의 주장에 대해 전 위원장은 “권익위와 감사원은 공직 기강이나 부패 방지를 위해 정권과 독립해 중립성을 지키며 일을 해야 하는 기관이다. 다른 정부 부처와 다르다”고 말했다. 전 위원장은 “권익위에 국정 코드를 맞추라고 강요하는 것은 그 자체가 위법이고 권익위의 독립성, 중립성을 침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감사원은 대통령의 국정 운영을 지원하는 기관이라고 생각한다‘는 최재해 감사원장의 발언에 대해 전 위원장은 “정파에 치우치지 않고 독립적, 중립적으로 일해야 하는 감사원장의 발언은 귀를 의심하게 했다”며 “그런 기관이 절대로 되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대통령실, 한상혁·전현희 '대통령 업무보고 배제' 검토
- '방통위·권익위원장 임기 보장해야' 59.5%
- 방통위원장·권익위원장 사퇴압박, 언론의 이중잣대 ‘내로남불’
- 윤 대통령 "한상혁·전현희, 국무회의 올 필요 없는 사람들"
- 한상혁·전현희에 "국무회의 참석 대상이 아니다" 통보
- 조선일보 버전 블랙리스트, 한상혁·전현희·홍장표 등등
- 전현희 '근태' 감사하는 감사원, 수장 출퇴근 관리는
- 대통령 '독대' 보고 마무리 단계, 방통위는 아직도 '미정'
- 다들 '표적·코드 감사'라고 입 모으는데 서울신문은
- 감사원 정치개입 방지법, 언론의 세 가지 반응
- 참여연대, 유병호 감사원 사무총장 '직권남용' 고발
- 공수처, '전현희 표적 감사' 감사원·권익위 압수수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