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KBS 비정규직의 84%가 수신료 분리징수와 관련해 고용 불안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빛미디어노동인권센터는 7월 말부터 10월 초까지 KBS 내 프리랜서/비정규직 직원 50명을 대상으로 ‘수신료 분리징수 이후 노동조건’ 조사를 진행했다. 응답자는 80%가 여성이며 20대 42%, 30대 38%, 40대 이상 20%로 구성됐다. 직군별로 보면 작가가 46%로 가장 많았으며 기술(촬영 등)은 12%, 연출(PD, FD, AD) 10%, 자료조사는 8%다. 계약형태는 프리랜서/도급/위임계약 57%, 계약직 20%, 파견 또는 용역 12%다.

여의도 KBS 사옥 전경(미디어스) 
여의도 KBS 사옥 전경(KBS) 

응답자의 84%가 ‘수신료 분리징수 국면 이후 고용불안을 느꼈다’고 답했다. ‘조직 내에서 고용불안을 느끼게 하는 구체적인 업무 지시가 있었다’는 응답률은 38%다. 수신료 분리징수 논란 이전 조사에서 ‘고용불안을 느꼈다'는 응답률은 6%에 불과했다. 응답자의 49%가 '수신료 분리징수 이후 고용유지가 어려워졌다‘고 했다.

응답자들은 구체적으로 ▲사내 홈페이지에 방송지원직 고용 관련해 더 이상 인력 배정에 추가 예산 지원이 어렵다는 공지가 있었다 ▲당장은 아니더라도 언젠가 해고 대상이 될 것이라는 불안감이 늘 엄습하고 있다 ▲수신료 분리징수로 인해 프로그램이 줄어 그곳에서 일하는 작가와 FD 등은 일자리를 잃을 것이다 ▲제작 프로그램 수가 축소될 수 있어 작가들의 이동이 불가피하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등의 고용불안을 느꼈다고 답했다.

'공영방송이 필요하다'는 응답률은 82%에 달했으나 '현재 KBS가 수신료 가치를 구현하고 있다’는 응답률은 54%에 그쳤다. 한빛미디어센터는 “공영방송에 대한 공감대는 높지만 이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취약하다고 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수신료 분리징수 해결 방향을 묻는 질문에 90%가 ‘KBS가 사회적 지지를 받기 위해서는 내부의 정규직-비정규직 격차를 해소해야 한다’고 답했다. ‘수신료 분리징수를 철회해야 한다’는 의견은 58%, ‘KBS가 수신료 없이 운영될 수 있어야 한다’는 52%다.  

노동시민사회의 대응 방향을 묻는 질문에 ’정규직과 비정규직간의 격차 완화‘라는 응답률이 63%로 가장 높았다. 이어 ‘공영방송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 확산 활동’(57%), ‘비정규직 대변 논의기구 및 노조 조직화’(51%), ‘수신료 분리징수 법률 대응’(24%) 등의 순을 나타냈다. 한빛미디어센터는 “법률적으로 수신료 분리징수를 막기위한 싸움을 해야 한다는 응답은 다른 선택지보다 낮게 나타났다”며 “이는 내부의 모순에 대한 해결과 사회적 공감대 확산이 선택돼야 한다고 본 것”이라고 말했다.

한빛미디어센터는 “윤석열 정부가 강행하고 있는 방송의 공공성 훼손과 방송장악 시도에 맞서기 위해서는 방송사 내부의 격차와 불평등을 해소하여야 하고, 그러한 문제인식을 비정규직을 포함한 모든 방송 종사자에게로 확산시켜야만 함을 보여준다”고 총평했다.  

한편 응답자의 48%가 월 임금이 250만 원 미만이라고 답했다. 250만 원 이상 300만 원 미만 14%, 300만 원 이상 350만 원 미만 12%, 400만 원 이상은 12% 등이다. 평균은 277만 원이다. 평균 주당 근로시간은 46시간으로 응답자의 34%가 주당 근로시간이 52시간을 넘긴다고 답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