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안창호 국가인권위원장이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 휴가를 내고 불참했다. 민간인 대량학살이 벌어진 국가폭력 사건을 추모하는 자리에 인권위원장이 불참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지난 3일 한겨레는 안 위원장이 제주 4·3 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7주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한겨레는 안 위원장이 '안과 시술' 때문에 휴가를 냈다고 전했다. 송두환 전 인권위원장은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매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했다. 

안창호 인권위원장 (사진=연합뉴스)
안창호 인권위원장 (사진=연합뉴스)

한 인권위 직원은 한겨레에 "1945년 해방 이후 대량학살이 벌어진 국가폭력 사건에 인권위원장이 관심을 소홀히 한다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직원은 "국가폭력은 가장 대표적 인권문제이다. 4·3 항쟁이나 5·18 희생자 추모식에는 인권위원장이 참석해야 한다"고 했다. 한겨레는 "직원들 사이에서는 안 위원장의 불참 사유가 분명하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고 했다. 

지난 1947년부터 1954년까지 제주에서 국가에 의해 민간인이 대량 희생됐다. 1947년 3·1절 기념행사에서 경찰이 군중에게 총격을 가해 민간인 6명이 사망한 사건이 발단이 됐다.

제77주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참석해 추도사를 낭독했다. 우원식 국회의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김선민 조국혁신당 대표 권한대행, 용해인 기본소득당 대표, 한창민 사회민주당 대표,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등이 참석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