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노하연 기자] 제주4.3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됐다.
제주도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221차 유네스코 집행이사회에서 ‘진실을 밝히다: 제주4.3 아카이브(Revealing Truth: Jeju 4.3 Archives)’가 세계기록유산으로 최종 승인됐다고 11일(현지시각 10일 오후 11시 5분) 밝혔다.

앞서 제주도와 제주4.3평화재단이 2023년 11월에 제출한 등재 신청서가 유네스코 등재심사소위원회(RSC)와 국제자문위원회(IAC)로부터 등재 권고를 받았으며 이를 근거로 집행이사회가 최종적으로 등재를 승인했다. 2018년부터 이어진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 노력이 7년 만에 성과를 거뒀다.
등재된 4.3기록물은 진실 규명과 화해의 과정을 담은 1만 4673건의 역사적 기록을 담고 있다. ▲군법회의 수형인 명부와 옥중 엽서 27건 ▲희생자와 유족들의 생생한 증언 1만 4601건 ▲시민사회 진상규명 운동 기록 42건 ▲정부의 공식 진상조사보고서 3건 등이 포함됐다.
유형별로 ▲문서 1만3976건 ▲도서 19건 ▲엽서 25건 ▲소책자 20건 ▲비문 1건 ▲비디오 538건 ▲오디오 94건의 자료가 포함됐다.
유네스코 집행이사회는 제주4.3기록물의 역사적 가치와 진정성, 보편적 중요성을 인정했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는 “국가폭력에 맞서 진실을 밝히고, 사회적 화해를 이뤄내며 화해와 상생을 향한 지역사회의 민주주의 실천이 이룬 성과”라고 평가했다.
![세계인의 기록이자 역사 '제주4·3' [제주도 제공]](https://cdn.mediaus.co.kr/news/photo/202504/312588_220775_2323.jpg)
이번 등재로 제주도는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세계자연유산, 세계지질공원, 무형문화유산에 이어 세계기록유산까지 포함해 ‘유네스코 5관왕’이라는 기록을 달성하게 됐다.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제주4.3의 아픔을 치유하고 화해와 상생을 이뤄낸 도민의 역사가 세계의 유산이 된 뜻깊은 순간”이라며 “이번 등재를 계기로 제주4.3이 담고 있는 평화와 인권, 화해와 상생의 가치를 전 세계와 함께 나누겠다”고 밝혔다.
제주4.3사건은 1947년 3월1일을 기점으로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그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이다. 1947년 3·1절 기념행사에서 경찰이 군중에게 총격을 가해 민간인 6명이 사망한 사건이 발단이 됐다. 2024년 제주 4.3 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가 확정한 희생자 수는 1만 4822명이지만 전체 희생자는 2만 5000명에서 3만여명으로 추정된다.
제주 4.3사건의 진상 규명과 희생자와 유족의 명예를 회복시켜주기 위한 목적의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을 위한 특별법’이 1999년 국회에서 통과되면서 정부 차원의 진상조사가 시작됐다. 2003년 4.3사건진상조사보고서가 확정된 후 노무현 전 대통령이 대한민국을 대표해 ‘국가권력에 의해 대규모 희생’이 이뤄졌음을 인정하고 제주도민에게 정부 차원의 첫 공식 사과를 했다. 2014년 4.3 희생자 추념일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되면서 66주년 추념식이 처음으로 국가의례로 봉행됐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