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지난해 기획재정부의 ‘공공기관 혁신 가이드라인’에 따라 대규모 인원 감축을 단행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공공기관들이 R&D 예산삭감으로 내년도 예산이 4200여억 원까지 줄어드는 이중고에 처할 위기다.
이정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해 발표한 ‘새정부 공공기관 혁신 가이드라인’에 따라 과기부 소관 공공기관 52곳은 올해 2분기까지 ▲정원 729명 감축 ▲경상경비 718억 원, 업무추진비 6억 원 등 예산 184억 원 삭감 ▲자산효율화 12건 ▲청사 효율화 34건 ▲복리후생 정비 37건 등을 완료했다.

지난해 7월 기재부는 공공기관 생산성·효율성 제고를 위한 5대(기능·조직/인력·예산·자산·복리후생) 분야를 중심으로 하는 '공공기관 혁신 가이드라인'을 각 부처에 시달했다. 과기부 소관 공공기관 52곳은 혁신 계획안을 기재부에 제출했다. 또 해당 가이드라인을 근거로 YTN 사영화가 진행되고 있다.
가장 많은 정원을 감축한 기관은 우체국시설관리단으로 무기계약직 정·현원 조정을 통해 총 417명을 감축했다. 연구기관 중에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30명, 철도기술연구원이 25명을 감축했다.
경상경비 삭감액이 가장 큰 기관은 지난해 350억 원에서 47억 원을 삭감한 우체국시설관리단이다. ETRI와 한국원자력원구원(KAERI)도 각각 8억6000만 원, 8억 1000만 원이 삭감됐다.
연구 자산을 매각해 자산효율화에 나선 기관도 있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3D 프린터 등 연구자산 249건을 매각해 2억 6000만 원의 예산을 절감했다. 이정문 의원실은 “연구장비까지 팔아 가면서 예산을 절감하는게 과연 혁신인지는 의문이 드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은 이주직원용 임차 숙소 9억 3000만 원을, 우편사업진흥원은 콘도 회원권과 기계 설비를 매각해 5억 5000만 원을 절감했다.
문제는 예산을 절감한 공공기관들이 최근 윤석열 정부의 R&D 예산삭감으로 기관 운영비가 대폭 줄어 이중고에 처하게 됐다는 점이다. 기관 운영 자체가 불가능해질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과기부 소관 과학기술 관련 공공기관 48곳의 내년도 기관 운영비는 13.9% 삭감된 4250억 원이다. 그러나 이미 이들 기관은 가이드라인에 따라 정원 감축(181명), 예산삭감(132억 원) 등을 진행했다.
이정문 의원은 “이미 작년부터 과기부 소관 공공기관들이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는 상황에서 추가적인 기관 운영비 삭감은 마른걸레 쥐어짜기에 불과하다”며 “국회 예산 심의 과정에서 실체 없는 R&D 카르텔의 진실을 파헤치고, 윤석열 대통령이 난도질해놓은 과기부 예산을 하나하나 살펴 정상으로 돌려놓을 것”이라고 밝혔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R&D 예산 다시 늘린다' 조선일보 보도 부인한 대통령실
- R&D 예산 대폭 삭감해놓고 "초거대 AI기업 지원할 것"
- 장제원도 속 터지는 '나눠먹기식 R&D 카르텔' 정체
- 국가 슈퍼컴퓨터 셧다운…"2023년 대한민국 맞나"
- 민주당, 초유의 'R&D 예산 백지화'에 연구자 간담회 추진
- 동아일보 "R&D 예산 삭감, 노벨상 수상자들 충고 새겨들어야"
- 과학기술계가 연구 대신 '국가 미래' 걱정하게 만든 윤석열 정부
- 기후위기·재난대응 R&D 예산삭감 살펴보지 못했다는 과기부 장관
- 윤 대통령이 강조한 '국민통합'의 최대 리스크는 누구?
- 과방위 종합감사 증인·참고인 '0명'…"넷플릭스는 실무자도 안 된다니"
- 윤 대통령 "건전재정으로 약자 복지 두텁게"…사실일까
- 과방위 전문위원실 "과기부 R&D 예산 조정안 늦장 마련…법 위반"
- 민주당 과방위원들, 'R&D 예산 복원' 천막농성 돌입
- 윤 정권, '부자감세' 속도전… 중앙일보 "금융 포퓰리즘"
- 윤 대통령 '이념 패거리' 신년사에 "정치복원 기대 접을 판"
- R&D 카르텔 지목한 조성경 차관, 법카 부정사용 의혹
- "R&D 예산 복구" 외친 졸업생 끌려나가… 야권 "입틀막 대통령"
- '입틀막' 당한 카이스트 졸업생 "정치적 행동은 헌법적 권리"
- R&D 예산삭감, 때아닌 말잔치 "미션 클리어" "선도형 체계로 탈바꿈"
- '입틀막' 카이스트 졸업생 "신체·표현의 자유 침해" 헌법소원
- 동아일보, 윤 정부 '오락가락' 정책에 "샤워실의 바보"
- 3연속 '정책 리스크'에 보수언론서 울린 '3년차 레임덕' 경고음
- 카이스트 입틀막 대책위, 'R&D 예산 삭감' 국정조사 촉구
- 과기연구노조 "국힘 과방위, 올해 국감 노조탄압의 장 만드나"
- 출연연 떠난 청년연구자 5년 간 788명…"국가 R&D 뿌리 흔들"
- 과학기술연구자들 "윤석열 파면은 끝이 아닌 시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