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오는 29일 이동관 대통령실 대외협력특보를 방송통신위원장에 지명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또 27일 임기가 종료되는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 후임으로 김홍일 전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장이 지명될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중수부장은 방통위원장 후보자로 하마평에 오르기도 했다. 

26일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등 보도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은 이르면 29일 신임 방통위원장 지명, 차관 교체 인사를 단행한다. 차기 방통위원장에 이동관 특보가 내정됐다. 대통령실은 한상혁 전 방통위원장이 제기한 면직 처분 집행정지 신청이 23일 기각되자 본격적인 지명 절차에 착수했다고 한다. 대통령실은 이 특보 아들 폭력·은폐 의혹에 대해 ‘결격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동관 대통령 대외협력특보. (사진=연합뉴스)
이동관 대통령 대외협력특보. (사진=연합뉴스)

이 특보의 아들은 2011년 하나고 학교폭력 사건의 가해자였으며 이와 관련된 은폐 논란이 일고 있다. 언론에 공개된 피해 학생들의 진술 내용에 따르면 이 특보의 아들은 ▲싸움을 지시하고 이행하지 않자 폭행 ▲복싱·헬스 연습을 한다며 침대에 눕혀 폭행 ▲친구의 머리를 책상에 300번 부딪히게 하는 행위 등을 저질렀다. 당시 하나고는 이 특보 아들에 대한 학교폭력대책위원회를 열지 않고, 이 특보 아들을 전학시켰다. 

박성준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25일 서면브리핑에서 “권력의 힘으로 아들 학폭을 무마한 사람은 고위 공직자의 자격이 없다는 것이 국민 상식”이라며 “윤 대통령은 정순신에 이어 이동관까지 학폭 문제에 왜 이렇게 무감각 하냐”고 따져 물었다. 

박 대변인은 “언론 장악 기술자’, ‘방송 장악 배후 설계자’, ‘스핀 닥터’, ‘고소의 달인’, 이동관 대통령 특보가 이명박 정부 대통령실 홍보수석을 하며 떨친 악명”이라며 “절대다수의 국민과 언론인이 이동관 특보의 임명을 반대하고 있다. 조속히 지명 철회 의사를 밝히고 특보직에서도 해임하라. 그것이 국민의 명령”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국민 60%가 이동관 방통위원장 지명에 대해 반대했으며 현직 기자, 언론계, 대학가 등에서 ‘이동관 특보가 차기 방통위원장에 임명돼서는 안 된다’고 촉구하고 있다. 미디어토마토가 19~21일간 진행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59.9%는 이동관 방통위원장 지명에 반대했다. 

또 한국기자협회가 회원을 상대로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80%가 ‘이동관 방통위원장 임명에 반대한다’고 답했다. 11개 대학교에 ‘이동관 특보의 방통위원장 내정 철회 촉구’ 대자보가 붙었으며 민주언론시민연합·언론개혁시민연대 등도 이 같은 내용의 논평을 냈다. 전국언론노동조합은 19일 '이동관 방통위원장 지명 철회를 위한 긴급 투쟁지침 1호'를 내렸다.

한편 차기 권익위원장에 방통위원장 후보로 거론된 바 있는 김홍일 전 중수부장이 유력하다. 김 전 중수부장은 윤 대통령의 ‘멘토’라고 불리는 인물로 지난 대선 당시 윤석열 캠프에서 정치공작 진상규명 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미디어토마토 조사는 ARS(RDD) 무선전화방식으로 진행됐으며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0%p다. 응답률은 3.0%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