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정>은 역사를 토대로 상상력을 가미한 영화다. 일제강점기인 1923년, 종로경찰서에 폭탄이 투척되는 의거가 일어난다. 항일 독립운동단원이 일으킨 의거의 결과물인데, 그 가운데 석연찮은 인물이 한 명 등장한다. 황옥이라는 인물이다.

종로경찰서 폭탄 의거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안둥과 신의주를 거쳐 거사에 사용될 폭탄을 해외에서 국내로 가져와야 가능한데, 의열단의 리더 김시현과 함께한 이들 가운데에는 의열단뿐만 아니라 일본 경부 황옥도 함께 자리하고 있었다고 한다. 조국을 배신한 친일파 일본 경부가 의열단의 리더와 함께 있었다고 한다면, 그는 왜 김시현을 체포하지 않았을까.

영화 <밀정> 스틸 이미지

역사 속에서 황옥은 아이러니한 이중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하나는 그가 독립군이었으나 조선의 독립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판단해 일제 고등경찰 경부로 변절했다는 설. 다른 하나는 그가 일본 경부로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정체성이 친일이 아닌 독립군, 즉 친일로 돌아선 변절자가 아니라 사실은 독립군을 위해 일하며 일본 경부인 척했던 이중첩자였다는 설이 있다.

만일 그가 진짜 일본을 위해 일한 경부였다면 의열단 및 의열단의 리더 김시현을 그냥 두었을 리가 없다. 영화 <밀정>에서 송강호가 연기하는 일본 경찰 이정출은 실존 인물인 황옥을 모티브로 구성된 인물이다.

영화 <밀정> 스틸 이미지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을 통해 ‘김치 웨스턴’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개척한 바 있는 김지운 감독은 이번에도 첫 장면부터 관객의 시선을 압도하는 현란한 액션을 선사한다. <밀정>에서 의열단을 배신하는 인물은 이정출 하나만이 아니다. 의열단 단원 중에도 일본에 정보를 흘리는 첩자가 숨어들어 있기에 공유가 연기하는 의열단원 리더 김우진은 일본 경부 이정출을 경계하면서도 내부에 숨어들어든 첩자도 색출해야 한다.

그런데 이 영화 <밀정>에서 석연찮은 점은, 이정출이 잡아들여야 할 의열단원 핵심 수뇌부 김우진과 정채산(이병헌 분), 셋이서 대작(對酌)을 한 다음에 돌연 일본 경부의 입장에서 벗어나 의열단의 편으로 마음을 돌린다는 점이다.

영화 <밀정> 스틸 이미지

영화에서 정채산이 김우진과 이야기하는 가운데서 이정출이 독립단원에게 진 마음의 빚이 있으니 독립군 편으로 돌아설 것이라는 암시를 하는 장면이 있기는 하지만, 이정출이 당시 황금동앗줄이나 다름없는 일본 경찰의 지위에서 벗어나 위태롭기 그지없는 독립군의 편으로 다시 돌아선다는 회심의 동기가 영화에서는 구체적으로 묘사되지 못한다.

조국이 독립될 기미가 조금이나마 있었다면 이정출은 일본의 편으로 돌아서는 배신을 하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조국의 미래가 암담해 보여서 한 번 일본의 편으로 되돌아간 이정출이 다시 조국의 편으로 돌아선다고 한다면, 이정출이 마음을 돌리게 된 계기가 영화에서 구체적으로, 아니 조금이나마 암시라도 주었어야 하지 않았을까. 친일과 반일 사이에서 위태로운 줄다리기를 하던 이정출이 다시 독립군의 편에 서게 되는 계기를 명확히 다뤘으면 좋았을 영화가 <밀정>이다.

늘 이성과 감성의 공존을 꿈꾸고자 혹은 디오니시즘을 바라며 우뇌의 쿠데타를 꿈꾸지만 항상 좌뇌에 진압당하는 아폴로니즘의 역설을 겪는 비평가. http://blog.daum.net/js7keien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